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1154. "Hanja Hangul Project v1.01 (파이썬)"의 C# 버전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4603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Hanja Hangul Project v1.01 (파이썬)"의 C# 버전"

아래와 같은 프로젝트가 있군요. ^^

Hanja Hangul Project v1.01 (파이썬)
; https://blog.daum.net/masoris20/187
; https://blog.daum.net/masoris20/186

재미있어서 C#으로도 포팅해봤습니다.

파이썬 코드를 포팅하는데 결정적인 요소는 "unicodedata.name(i)"의 기능을 구현하는 것입니다. 사실 꼭 그것과 동일하게 구현할 필요는 없지만, 어쨌든 유니코드 문자에 대한 코드 포인트 이름을 알려주는 것은 기존 BCL 라이브러리에는 없기 때문에 흥미롭습니다.

검색해 보면, 다행히 이에 대한 프로젝트가 이미 있어서 굳이 만들 필요는 없습니다.

UnicodeInformation
; https://www.nuget.org/packages/UnicodeInformation/

GoldenCrystal/NetUnicodeInfo
; https://github.com/GoldenCrystal/NetUnicodeInfo

따라서 이 패키지를 참조 추가해,

// Install-Package UnicodeInformation -Version 2.6.0

Install-Package UnicodeInformation

유니코드 문자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Console.WriteLine(UnicodeInfo.GetName('蠶')); // CJK IDEOGRAPH-8836
Console.WriteLine(UnicodeInfo.GetName('가')); // HANGUL SYLLABLE GA
Console.WriteLine(UnicodeInfo.GetName('ㄱ')); // HANGUL LETTER KIYEOK

위의 메서드가 파이썬의 "unicodedata.name(i)" 함수와 동일한 결과를 반환하기 때문에 이제 남은 작업은 단순히 소스코드 변환만 하면 됩니다.

using System.Diagnostics;
using System.Text;
using System.Unicode;

namespace HanConv
{
    public static class Hanja2Hangul
    {
        public static List<string> MakeSplittedHanjaList(this string str)
        {
            List<string> list = new List<string>();

            if (string.IsNullOrEmpty(str))
            {
                return list;
            }

            str = str.Normalize(NormalizationForm.FormC);

            bool previous = str[0].IsHanja();
            List<char> word = new List<char>();

            word.Add(str[0]);

            foreach (char ch in str[1..])
            {
                bool current = ch.IsHanja();

                if (current != previous)
                {
                    list.Add(new string(word.ToArray()));
                    word.Clear();
                }

                word.Add(ch);
                previous = current;
            }

            if (word.Count > 0)
            {
                list.Add(new string(word.ToArray()));
            }

            return list;
        }

        public static string HanjaToHangulDueum(this string str)
        {
            str = str.Normalize(NormalizationForm.FormC);

            List<string> splitted = MakeSplittedHanjaList(str);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foreach (string word in splitted)
            {
                if (word.IsHanja())
                {
                    sb.Append(MakeDueum(HanjaToHangulSimple(word)));
                }
                else
                {
                    sb.Append(word);
                }
            }

            return sb.ToString();
        }

        private static string MakeDueum(string str)
        {
            if (string.IsNullOrEmpty(str))
            {
                return "";
            }

            char[] chArray = str.ToArray();
            chArray[0] = make_dueum_a_char(chArray[0]);
            if (chArray.Length == 1)
            {
                return $"{chArray[0]}";
            }

            char previous = chArray[0];
            for (int i = 1; i < chArray.Length; i++)
            {
                char ch = chArray[i];

                if (ch == '렬' && is_vowel_or_nieun(previous))
                {
                    chArray[i] = '열';
                }
                else if (ch == '률' && is_vowel_or_nieun(previous))
                {
                    chArray[i] = '율';
                }

                previous = ch;
            }

            return new string(chArray);
        }

        private static bool is_vowel_or_nieun(char ch)
        {
            if (ch.IsHangul() == false)
            {
                return false;
            }

            int n = ((int)ch - 0xAC00) % 28;
            if (n == 0 || n == 4)
            {
                return true;
            }

            return false;
        }

        private static char make_dueum_a_char(char ch)
        {
            if (ch.IsHangul() == false)
            {
                return ch;
            }

            if (HanConv.HanDict.Dueum.ContainsKey(ch))
            {
                return HanConv.HanDict.Dueum[ch];
            }

            return ch;
        }

        private static string HanjaToHangulSimple(string str)
        {
            char[] chArray = new char[str.Length];

            for (int i = 0; i < chArray.Length; i ++)
            {
                chArray[i] = HanConv.HanDict.Hanja[str[i]];
            }

            return new string(chArray);
        }

        public static bool IsHangul(this char ch)
        {
            return UnicodeInfo.GetName(ch).IndexOf("HANGUL") != -1;
        }

        public static bool IsHangul(this string str)
        {
            if (string.IsNullOrEmpty(str))
            {
                return false;
            }

            return str.Length == len_hangul(str);
        }

        private static int len_hangul(string str)
        {
            int count = 0;

            foreach (char c in str)
            {
                if (c.IsHangul())
                {
                    count++;
                }
            }

            return count;
        }

        public static bool IsHanja(this char ch)
        {
            return UnicodeInfo.GetName(ch) switch
            {
                String txt when txt.Length >= 3 && txt[0..3] == "CJK" => true,
                String txt when txt.Length >= 6 && txt[0..6] == "KANGXI" => true,
                _ => false,
            };
        }

        public static bool IsHanja(this string str)
        {
            if (string.IsNullOrEmpty(str))
            {
                return false;
            }

            return str.Length == len_hanja(str);
        }

        private static int len_hanja(string str)
        {
            int count = 0;

            foreach (char c in str)
            {
                if (c.IsHanja())
                {
                    count++;
                }
            }

            return count;
        }
    }
}

그런데, 실제로 위의 코드를 수행해 보면 처음 한 번의 GetName 호출에서 약간의 멈춤 현상이 발생합니다. 최초 한 번의 호출에서만 참으면 되는 건데, 이게 좀... 은근히 신경 쓰입니다. ^^; 이것의 원인은 UnicodeInformation 프로젝트가 내부에서 유니코드 정보를 가지고 있는 파일인 "ucd.dat"를 압축해서 보관했다가, 최초 GetName 호출에서 압축을 해제하느라 시간이 걸리기 때문입니다.

public static UnicodeData ReadFromResources()
{
    using (var stream = new DeflateStream(typeof(UnicodeData).GetTypeInfo().Assembly.GetManifestResourceStream("ucd.dat"), CompressionMode.Decompress, false))
    {
        return ReadFromStream(stream);
    }
}

Ucd.dat 파일은 압축 해제 시 3MB가 넘는 파일인데, 사실 근래의 스토리지/네트워크 환경에서 그다지 신경 쓰이는 크기는 아닙니다. 따라서, 그냥 저 파일을 압축하지 않고 저장하고 읽으면 되는데요, 재미있는 것은, UnicodeInformation 프로젝트가 저 파일을 수작업으로 생성하지 않고 빌드 프로세스에서 자동으로 생성/압축한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단순히 저 파일을 압축만 해제해서 저장한다고 해도 다음번 빌드에서 다시 압축이 되기 때문에 그런 식으로 수정하면 안 되고, 근본적으로 System.Unicode.Build.Core 프로젝트의 UnicodeDatabaseGenerator.cs 파일의 코드를 (압축하지 않도록) 수정해야 합니다.

public static async ValueTask GenerateDatabase(HttpClient httpClient, string baseDirectory, string outputFilePath, bool? shouldDownloadFiles, bool? shouldSaveFiles, bool? shouldExtractFiles)
{
	UnicodeInfoBuilder data;

	baseDirectory = string.IsNullOrWhiteSpace(baseDirectory) ?
		Environment.CurrentDirectory :
		Path.GetFullPath(baseDirectory);

	using (var ucdSource = await GetDataSourceAsync(httpClient, UnicodeCharacterDataUri, baseDirectory, UcdDataSourceName, UcdRequiredFiles, true, shouldDownloadFiles, shouldSaveFiles, shouldExtractFiles))
	using (var unihanSource = await GetDataSourceAsync(httpClient, UnicodeCharacterDataUri, baseDirectory, UnihanDataSourceName, UnihanRequiredFiles, true, shouldDownloadFiles, shouldSaveFiles, shouldExtractFiles))
	using (var ucdEmojiSource = await GetDataSourceAsync(httpClient, UcdEmojiDataUri, baseDirectory, EmojiDataSourceName, UcdEmojiRequiredFiles, false, shouldDownloadFiles, shouldSaveFiles, shouldExtractFiles))
	//using (var emojiSource = await GetDataSourceAsync(httpClient, EmojiDataUri, baseDirectory, EmojiDataSourceName, EmojiRequiredFiles, false, shouldDownloadFiles, shouldSaveFiles, shouldExtractFiles))
	{
		data = await UnicodeDataProcessor.BuildDataAsync(ucdSource, unihanSource, ucdEmojiSource);
	}

	// This part is actually highly susceptible to framework version. Different frameworks give a different results.
	// In order to consistently produce the same result, the framework executing this code must be fixed.
	using (var stream = File.Create(outputFilePath))
		data.WriteToStream(stream);
}

이와 함께, System.Unicode.Build.Tasks 프로젝트의 GetUnicodeDatabaseVersion.cs 파일의 코드에서 압축 해제 코드도 없애고,

protected override async Task<bool> ExecuteAsync(CancellationToken cancellationToken)
{
	var buffer = new byte[8];

	using (var file = File.OpenRead(DatabasePath))
	{
		await file.ReadAsync(buffer, 0, buffer.Length);
	}

	if (TryReadHeader(buffer, out var version))
	{
		UnicodeDatabaseVersion = version.ToString(3);
		return true;
	}

	Log.LogError("The database contained an invalid header.");

	return false;
}

끝으로 System.Unicode 프로젝트의 UnicodeData.cs 파일에서 리소스에 대한 압축 해제 코드를 없애면 됩니다.

public static UnicodeData ReadFromResources()
{
    using (var stream = typeof(UnicodeData).GetTypeInfo().Assembly.GetManifestResourceStream("ucd.dat"))
    {
        return ReadFromStream(stream);
    }
}

이후 아주 빠르게 GetName 메서드가 수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재 위와 같이 변경한 UnicodeInformation 어셈블리를 참조하는 패키지(nuget)와 소스코드(github)를 올려 두었습니다.

HanConv
; https://www.nuget.org/packages/HanConv/
; https://github.com/stjeong/HanjaHangul

// Install-Package HanConv -Version 1.0.1

Install-Package HanConv

따라서 이를 참조하고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using HanConv;

string text = "蠶段陽物是乎等用良水氣乙厭却桑葉叱分喫破爲遣飮水不冬";
Console.WriteLine(text.HanjaToHangulDueum()); // 잠단양물시호등용량수기을염각상엽질분끽파위견음수불동

단지 아쉬운 것은 두음법칙에 대한 처리가 완벽하지 않습니다. 가령 다음과 같은 테스트는 통과하지만,

[DataRow("羅列", "나열")]
[DataRow("雲量", "운량")]
[DataRow("羅州", "나주")]
[DataRow("靈巖", "영암")]
[DataRow("男女", "남녀")]
[DataRow("讀者欄", "독자란")]
[DataRow("隱匿", "은닉")]
[DataRow("李成桂", "이성계")]
public void HanjaToHangulDueumTest(string input, string expected)
{
    Assert.AreEqual(input.HanjaToHangulDueum(), expected);
}

아래와 같이 중간에 들어가는 두음법칙 단어는 처리하지 않고 있습니다.

[TestMethod()]
[DataRow("新女性", "신여성", "신녀성")]
[DataRow("國際聯合", "국제연합", "국제련합")]
[DataRow("空念佛", "공염불", "공념불")]
[DataRow("會計年度", "회계연도", "회계년도")]
[DataRow("許蘭雪軒", "허난설헌", "허란설헌")]
[DataRow("失樂園", "실낙원", "실락원")]
[DataRow("銃榴彈", "총유탄", "총류탄")]
public void HanjaToHangulDueumTest_ToImprove(string input, string myExpected, string result)
{
    Assert.AreEqual(input.HanjaToHangulDueum(), result);
    Assert.AreNotEqual(input.HanjaToHangulDueum(), myExpected);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2/13/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249정성태7/12/201718518오류 유형: 410. LoadLibrary("[...].dll") failed - The specified procedure could not be found.
11248정성태7/12/201725026오류 유형: 409. pip install pefile - 'cp949' codec can't decode byte 0xe2 in position 208687: illegal multibyte sequence
11247정성태7/12/201719349오류 유형: 408. SqlConnection 객체 생성 시 무한 대기 문제파일 다운로드1
11246정성태7/11/201718115VS.NET IDE: 118. Visual Studio - 다중 폴더에 포함된 파일들에 대한 "Copy to Output Directory"를 한 번에 설정하는 방법
11245정성태7/10/201723738개발 환경 구성: 321. Visual Studio Emulator for Android 소개 [2]
11244정성태7/10/201723294오류 유형: 407. Visual Studio에서 ASP.NET Core 실행할 때 dotnet.exe 프로세스의 -532462766 오류 발생 [1]
11243정성태7/10/201719977.NET Framework: 666. dotnet.exe - 윈도우 운영체제에서의 .NET Core 버전 찾기 규칙
11242정성태7/8/201720266제니퍼 .NET: 27. 제니퍼 닷넷 적용 사례 (7) - 노후된 스토리지 장비로 인한 웹 서비스 Hang (멈춤) 현상
11241정성태7/8/201719004오류 유형: 406. Xamarin 빌드 에러 XA5209, APT0000
11240정성태7/7/201721934.NET Framework: 665. ClickOnce를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지 않고 쿼리 문자열을 전달하면서 실행하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11239정성태7/6/201723404.NET Framework: 664. Protocol Handler - 웹 브라우저에서 데스크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법 [5]파일 다운로드1
11238정성태7/6/201720917오류 유형: 405. NT 서비스 시작 시 "Error 1067: The process terminated unexpectedly." 오류 발생 [2]
11237정성태7/5/201722572.NET Framework: 663. C# - PDB 파일 경로를 PE 파일로부터 얻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236정성태7/4/201725807.NET Framework: 662. C# - VHD/VHDX 가상 디스크를 마운트하지 않고 파일을 복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235정성태6/29/201719957Math: 20. Matlab/Octave로 Gram-Schmidt 정규 직교 집합 구하는 방법
11234정성태6/29/201717302오류 유형: 404. SharePoint 2013 설치 과정에서 "The username is invalid The account must be a valid domain account" 오류 발생
11233정성태6/28/201717201오류 유형: 403. SharePoint Server 2013을 Windows Server 2016에 설치할 때 .NET 4.5 설치 오류 발생
11232정성태6/28/201718210Windows: 144. Windows Server 2016에 Windows Identity Extensions을 설치하는 방법
11231정성태6/28/201718835디버깅 기술: 86. windbg의 mscordacwks DLL 로드 문제 - 세 번째 이야기 [1]
11230정성태6/28/201718006제니퍼 .NET: 26. 제니퍼 닷넷 적용 사례 (6) - 잦은 Recycle 문제
11229정성태6/27/201719225오류 유형: 402. Windows Server Backup 관리 콘솔이 없어진 경우
11228정성태6/26/201716713개발 환경 구성: 320. Visual Basic .NET 프로젝트에서 내장 Manifest 자원을 EXE 파일로부터 제거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227정성태6/19/201724456개발 환경 구성: 319. windbg에서 python 스크립트 실행하는 방법 - pykd [6]
11226정성태6/19/201716326오류 유형: 401. Microsoft Edge를 실행했는데 입력 반응이 없는 경우
11225정성태6/19/201715625오류 유형: 400. Outlook - The required file ExSec32.dll cannot be found in your path. Install Microsoft Outlook again.
11224정성태6/13/201718123.NET Framework: 661. Json.NET의 DeserializeObject 수행 시 속성 이름을 동적으로 바꾸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