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1154. "Hanja Hangul Project v1.01 (파이썬)"의 C# 버전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4619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Hanja Hangul Project v1.01 (파이썬)"의 C# 버전"

아래와 같은 프로젝트가 있군요. ^^

Hanja Hangul Project v1.01 (파이썬)
; https://blog.daum.net/masoris20/187
; https://blog.daum.net/masoris20/186

재미있어서 C#으로도 포팅해봤습니다.

파이썬 코드를 포팅하는데 결정적인 요소는 "unicodedata.name(i)"의 기능을 구현하는 것입니다. 사실 꼭 그것과 동일하게 구현할 필요는 없지만, 어쨌든 유니코드 문자에 대한 코드 포인트 이름을 알려주는 것은 기존 BCL 라이브러리에는 없기 때문에 흥미롭습니다.

검색해 보면, 다행히 이에 대한 프로젝트가 이미 있어서 굳이 만들 필요는 없습니다.

UnicodeInformation
; https://www.nuget.org/packages/UnicodeInformation/

GoldenCrystal/NetUnicodeInfo
; https://github.com/GoldenCrystal/NetUnicodeInfo

따라서 이 패키지를 참조 추가해,

// Install-Package UnicodeInformation -Version 2.6.0

Install-Package UnicodeInformation

유니코드 문자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Console.WriteLine(UnicodeInfo.GetName('蠶')); // CJK IDEOGRAPH-8836
Console.WriteLine(UnicodeInfo.GetName('가')); // HANGUL SYLLABLE GA
Console.WriteLine(UnicodeInfo.GetName('ㄱ')); // HANGUL LETTER KIYEOK

위의 메서드가 파이썬의 "unicodedata.name(i)" 함수와 동일한 결과를 반환하기 때문에 이제 남은 작업은 단순히 소스코드 변환만 하면 됩니다.

using System.Diagnostics;
using System.Text;
using System.Unicode;

namespace HanConv
{
    public static class Hanja2Hangul
    {
        public static List<string> MakeSplittedHanjaList(this string str)
        {
            List<string> list = new List<string>();

            if (string.IsNullOrEmpty(str))
            {
                return list;
            }

            str = str.Normalize(NormalizationForm.FormC);

            bool previous = str[0].IsHanja();
            List<char> word = new List<char>();

            word.Add(str[0]);

            foreach (char ch in str[1..])
            {
                bool current = ch.IsHanja();

                if (current != previous)
                {
                    list.Add(new string(word.ToArray()));
                    word.Clear();
                }

                word.Add(ch);
                previous = current;
            }

            if (word.Count > 0)
            {
                list.Add(new string(word.ToArray()));
            }

            return list;
        }

        public static string HanjaToHangulDueum(this string str)
        {
            str = str.Normalize(NormalizationForm.FormC);

            List<string> splitted = MakeSplittedHanjaList(str);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foreach (string word in splitted)
            {
                if (word.IsHanja())
                {
                    sb.Append(MakeDueum(HanjaToHangulSimple(word)));
                }
                else
                {
                    sb.Append(word);
                }
            }

            return sb.ToString();
        }

        private static string MakeDueum(string str)
        {
            if (string.IsNullOrEmpty(str))
            {
                return "";
            }

            char[] chArray = str.ToArray();
            chArray[0] = make_dueum_a_char(chArray[0]);
            if (chArray.Length == 1)
            {
                return $"{chArray[0]}";
            }

            char previous = chArray[0];
            for (int i = 1; i < chArray.Length; i++)
            {
                char ch = chArray[i];

                if (ch == '렬' && is_vowel_or_nieun(previous))
                {
                    chArray[i] = '열';
                }
                else if (ch == '률' && is_vowel_or_nieun(previous))
                {
                    chArray[i] = '율';
                }

                previous = ch;
            }

            return new string(chArray);
        }

        private static bool is_vowel_or_nieun(char ch)
        {
            if (ch.IsHangul() == false)
            {
                return false;
            }

            int n = ((int)ch - 0xAC00) % 28;
            if (n == 0 || n == 4)
            {
                return true;
            }

            return false;
        }

        private static char make_dueum_a_char(char ch)
        {
            if (ch.IsHangul() == false)
            {
                return ch;
            }

            if (HanConv.HanDict.Dueum.ContainsKey(ch))
            {
                return HanConv.HanDict.Dueum[ch];
            }

            return ch;
        }

        private static string HanjaToHangulSimple(string str)
        {
            char[] chArray = new char[str.Length];

            for (int i = 0; i < chArray.Length; i ++)
            {
                chArray[i] = HanConv.HanDict.Hanja[str[i]];
            }

            return new string(chArray);
        }

        public static bool IsHangul(this char ch)
        {
            return UnicodeInfo.GetName(ch).IndexOf("HANGUL") != -1;
        }

        public static bool IsHangul(this string str)
        {
            if (string.IsNullOrEmpty(str))
            {
                return false;
            }

            return str.Length == len_hangul(str);
        }

        private static int len_hangul(string str)
        {
            int count = 0;

            foreach (char c in str)
            {
                if (c.IsHangul())
                {
                    count++;
                }
            }

            return count;
        }

        public static bool IsHanja(this char ch)
        {
            return UnicodeInfo.GetName(ch) switch
            {
                String txt when txt.Length >= 3 && txt[0..3] == "CJK" => true,
                String txt when txt.Length >= 6 && txt[0..6] == "KANGXI" => true,
                _ => false,
            };
        }

        public static bool IsHanja(this string str)
        {
            if (string.IsNullOrEmpty(str))
            {
                return false;
            }

            return str.Length == len_hanja(str);
        }

        private static int len_hanja(string str)
        {
            int count = 0;

            foreach (char c in str)
            {
                if (c.IsHanja())
                {
                    count++;
                }
            }

            return count;
        }
    }
}

그런데, 실제로 위의 코드를 수행해 보면 처음 한 번의 GetName 호출에서 약간의 멈춤 현상이 발생합니다. 최초 한 번의 호출에서만 참으면 되는 건데, 이게 좀... 은근히 신경 쓰입니다. ^^; 이것의 원인은 UnicodeInformation 프로젝트가 내부에서 유니코드 정보를 가지고 있는 파일인 "ucd.dat"를 압축해서 보관했다가, 최초 GetName 호출에서 압축을 해제하느라 시간이 걸리기 때문입니다.

public static UnicodeData ReadFromResources()
{
    using (var stream = new DeflateStream(typeof(UnicodeData).GetTypeInfo().Assembly.GetManifestResourceStream("ucd.dat"), CompressionMode.Decompress, false))
    {
        return ReadFromStream(stream);
    }
}

Ucd.dat 파일은 압축 해제 시 3MB가 넘는 파일인데, 사실 근래의 스토리지/네트워크 환경에서 그다지 신경 쓰이는 크기는 아닙니다. 따라서, 그냥 저 파일을 압축하지 않고 저장하고 읽으면 되는데요, 재미있는 것은, UnicodeInformation 프로젝트가 저 파일을 수작업으로 생성하지 않고 빌드 프로세스에서 자동으로 생성/압축한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단순히 저 파일을 압축만 해제해서 저장한다고 해도 다음번 빌드에서 다시 압축이 되기 때문에 그런 식으로 수정하면 안 되고, 근본적으로 System.Unicode.Build.Core 프로젝트의 UnicodeDatabaseGenerator.cs 파일의 코드를 (압축하지 않도록) 수정해야 합니다.

public static async ValueTask GenerateDatabase(HttpClient httpClient, string baseDirectory, string outputFilePath, bool? shouldDownloadFiles, bool? shouldSaveFiles, bool? shouldExtractFiles)
{
	UnicodeInfoBuilder data;

	baseDirectory = string.IsNullOrWhiteSpace(baseDirectory) ?
		Environment.CurrentDirectory :
		Path.GetFullPath(baseDirectory);

	using (var ucdSource = await GetDataSourceAsync(httpClient, UnicodeCharacterDataUri, baseDirectory, UcdDataSourceName, UcdRequiredFiles, true, shouldDownloadFiles, shouldSaveFiles, shouldExtractFiles))
	using (var unihanSource = await GetDataSourceAsync(httpClient, UnicodeCharacterDataUri, baseDirectory, UnihanDataSourceName, UnihanRequiredFiles, true, shouldDownloadFiles, shouldSaveFiles, shouldExtractFiles))
	using (var ucdEmojiSource = await GetDataSourceAsync(httpClient, UcdEmojiDataUri, baseDirectory, EmojiDataSourceName, UcdEmojiRequiredFiles, false, shouldDownloadFiles, shouldSaveFiles, shouldExtractFiles))
	//using (var emojiSource = await GetDataSourceAsync(httpClient, EmojiDataUri, baseDirectory, EmojiDataSourceName, EmojiRequiredFiles, false, shouldDownloadFiles, shouldSaveFiles, shouldExtractFiles))
	{
		data = await UnicodeDataProcessor.BuildDataAsync(ucdSource, unihanSource, ucdEmojiSource);
	}

	// This part is actually highly susceptible to framework version. Different frameworks give a different results.
	// In order to consistently produce the same result, the framework executing this code must be fixed.
	using (var stream = File.Create(outputFilePath))
		data.WriteToStream(stream);
}

이와 함께, System.Unicode.Build.Tasks 프로젝트의 GetUnicodeDatabaseVersion.cs 파일의 코드에서 압축 해제 코드도 없애고,

protected override async Task<bool> ExecuteAsync(CancellationToken cancellationToken)
{
	var buffer = new byte[8];

	using (var file = File.OpenRead(DatabasePath))
	{
		await file.ReadAsync(buffer, 0, buffer.Length);
	}

	if (TryReadHeader(buffer, out var version))
	{
		UnicodeDatabaseVersion = version.ToString(3);
		return true;
	}

	Log.LogError("The database contained an invalid header.");

	return false;
}

끝으로 System.Unicode 프로젝트의 UnicodeData.cs 파일에서 리소스에 대한 압축 해제 코드를 없애면 됩니다.

public static UnicodeData ReadFromResources()
{
    using (var stream = typeof(UnicodeData).GetTypeInfo().Assembly.GetManifestResourceStream("ucd.dat"))
    {
        return ReadFromStream(stream);
    }
}

이후 아주 빠르게 GetName 메서드가 수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재 위와 같이 변경한 UnicodeInformation 어셈블리를 참조하는 패키지(nuget)와 소스코드(github)를 올려 두었습니다.

HanConv
; https://www.nuget.org/packages/HanConv/
; https://github.com/stjeong/HanjaHangul

// Install-Package HanConv -Version 1.0.1

Install-Package HanConv

따라서 이를 참조하고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using HanConv;

string text = "蠶段陽物是乎等用良水氣乙厭却桑葉叱分喫破爲遣飮水不冬";
Console.WriteLine(text.HanjaToHangulDueum()); // 잠단양물시호등용량수기을염각상엽질분끽파위견음수불동

단지 아쉬운 것은 두음법칙에 대한 처리가 완벽하지 않습니다. 가령 다음과 같은 테스트는 통과하지만,

[DataRow("羅列", "나열")]
[DataRow("雲量", "운량")]
[DataRow("羅州", "나주")]
[DataRow("靈巖", "영암")]
[DataRow("男女", "남녀")]
[DataRow("讀者欄", "독자란")]
[DataRow("隱匿", "은닉")]
[DataRow("李成桂", "이성계")]
public void HanjaToHangulDueumTest(string input, string expected)
{
    Assert.AreEqual(input.HanjaToHangulDueum(), expected);
}

아래와 같이 중간에 들어가는 두음법칙 단어는 처리하지 않고 있습니다.

[TestMethod()]
[DataRow("新女性", "신여성", "신녀성")]
[DataRow("國際聯合", "국제연합", "국제련합")]
[DataRow("空念佛", "공염불", "공념불")]
[DataRow("會計年度", "회계연도", "회계년도")]
[DataRow("許蘭雪軒", "허난설헌", "허란설헌")]
[DataRow("失樂園", "실낙원", "실락원")]
[DataRow("銃榴彈", "총유탄", "총류탄")]
public void HanjaToHangulDueumTest_ToImprove(string input, string myExpected, string result)
{
    Assert.AreEqual(input.HanjaToHangulDueum(), result);
    Assert.AreNotEqual(input.HanjaToHangulDueum(), myExpected);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2/13/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654정성태3/19/201425220개발 환경 구성: 219. SOS.dll 확장 모듈을 버전 별로 구하는 방법 [4]
1653정성태3/13/201420093.NET Framework: 428. .NET Reflection으로 다차원/Jagged 배열을 구분하는 방법
1652정성태3/12/201421160VC++: 76. Direct Show를 사용하는 다른 프로그램의 필터 그래프를 graphedt.exe에서 확인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651정성태3/11/201424774.NET Framework: 427. C# 컴파일러는 변수를 초기화시키지 않을까요?
1650정성태3/6/201425540VC++: 75. Visual C++ 컴파일 오류 - Cannot use __try in functions that require object unwinding [1]파일 다운로드1
1649정성태3/5/201420228기타: 44. BTN 스토어 앱 개인정보 보호 정책 안내
1648정성태3/5/201420595개발 환경 구성: 218. 스토어 앱 인증 실패 - no privacy statement
1647정성태3/3/201421819오류 유형: 224. 스카이드라이브 비정상 종료 - Error 0x80040A41: No error description available
1646정성태3/3/201431082오류 유형: 223. Microsoft-Windows-DistributedCOM 10016 이벤트 로그 에러 [1]
1645정성태3/1/201420865기타: 43. 마이크로소프트 MVP들이 모여 전국 세미나를 엽니다.
1644정성태2/26/201427825.NET Framework: 426. m3u8 스트리밍 파일을 윈도우 8.1 Store App에서 재생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643정성태2/25/201423644오류 유형: 222. 윈도우 8 Store App - APPX1204 SignTool Error: An unexpected internal error has occurred [1]
1642정성태2/25/201428231Windows: 91. 한글이 포함된 사용자 프로파일 경로 변경 [2]
1641정성태2/24/201425090기타: 42. 클래스 설명 [5]
1640정성태2/24/201446035.NET Framework: 425. C# - VLC(ActiveX) 컨트롤을 레지스트리 등록 없이 사용하는 방법 [15]
1639정성태2/23/201421771기타: 41. BBS 스토어 앱 개인정보 보호 정책 안내
1638정성태2/18/201444428Windows: 90. 실행 파일로부터 관리자 요구 권한을 제거하는 방법(부제: 크랙 버전을 보다 안전하게 실행하는 방법) [8]
1637정성태2/14/201425589Windows: 89. 컴퓨터를 껐는데도 어느 순간 자동으로 켜진다면? - 두 번째 이야기
1636정성태2/14/201421452Windows: 88. Hyper-V가 설치된 컴퓨터의 윈도우 백업 설정
1635정성태2/14/201422382오류 유형: 221. SharePoint - System.InvalidOperationException: The farm is unavailable.
1634정성태2/14/201422519.NET Framework: 424. C# - CSharpCodeProvider로 컴파일한 메서드의 실행이 일반 메서드보다 더 빠르다? [1]파일 다운로드1
1633정성태2/13/201425450오류 유형: 220. 2014년 2월 13일 이후로 Visual Studio 2010 Macro가 동작하지 않는다면? [3]
1632정성태2/12/201443380.NET Framework: 423. C#에서 DirectShow를 이용한 미디어 재생 [2]파일 다운로드1
1631정성태2/11/201422393개발 환경 구성: 217. Realtek 사운드 장치에서 재생되는 오디오를 GraphEditor로 녹음하는 방법
1630정성태2/5/201422710개발 환경 구성: 216. Hyper-V에 올려진 윈도우 XP VM에서 24bit 컬러 및 ClearType 활성화하는 방법
1629정성태2/5/201432549개발 환경 구성: 215. DOS batch - 하나의 .bat 파일에서 다중 .bat 파일을 (비동기로) 실행하는 방법 [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