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1154. "Hanja Hangul Project v1.01 (파이썬)"의 C# 버전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4678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Hanja Hangul Project v1.01 (파이썬)"의 C# 버전"

아래와 같은 프로젝트가 있군요. ^^

Hanja Hangul Project v1.01 (파이썬)
; https://blog.daum.net/masoris20/187
; https://blog.daum.net/masoris20/186

재미있어서 C#으로도 포팅해봤습니다.

파이썬 코드를 포팅하는데 결정적인 요소는 "unicodedata.name(i)"의 기능을 구현하는 것입니다. 사실 꼭 그것과 동일하게 구현할 필요는 없지만, 어쨌든 유니코드 문자에 대한 코드 포인트 이름을 알려주는 것은 기존 BCL 라이브러리에는 없기 때문에 흥미롭습니다.

검색해 보면, 다행히 이에 대한 프로젝트가 이미 있어서 굳이 만들 필요는 없습니다.

UnicodeInformation
; https://www.nuget.org/packages/UnicodeInformation/

GoldenCrystal/NetUnicodeInfo
; https://github.com/GoldenCrystal/NetUnicodeInfo

따라서 이 패키지를 참조 추가해,

// Install-Package UnicodeInformation -Version 2.6.0

Install-Package UnicodeInformation

유니코드 문자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Console.WriteLine(UnicodeInfo.GetName('蠶')); // CJK IDEOGRAPH-8836
Console.WriteLine(UnicodeInfo.GetName('가')); // HANGUL SYLLABLE GA
Console.WriteLine(UnicodeInfo.GetName('ㄱ')); // HANGUL LETTER KIYEOK

위의 메서드가 파이썬의 "unicodedata.name(i)" 함수와 동일한 결과를 반환하기 때문에 이제 남은 작업은 단순히 소스코드 변환만 하면 됩니다.

using System.Diagnostics;
using System.Text;
using System.Unicode;

namespace HanConv
{
    public static class Hanja2Hangul
    {
        public static List<string> MakeSplittedHanjaList(this string str)
        {
            List<string> list = new List<string>();

            if (string.IsNullOrEmpty(str))
            {
                return list;
            }

            str = str.Normalize(NormalizationForm.FormC);

            bool previous = str[0].IsHanja();
            List<char> word = new List<char>();

            word.Add(str[0]);

            foreach (char ch in str[1..])
            {
                bool current = ch.IsHanja();

                if (current != previous)
                {
                    list.Add(new string(word.ToArray()));
                    word.Clear();
                }

                word.Add(ch);
                previous = current;
            }

            if (word.Count > 0)
            {
                list.Add(new string(word.ToArray()));
            }

            return list;
        }

        public static string HanjaToHangulDueum(this string str)
        {
            str = str.Normalize(NormalizationForm.FormC);

            List<string> splitted = MakeSplittedHanjaList(str);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foreach (string word in splitted)
            {
                if (word.IsHanja())
                {
                    sb.Append(MakeDueum(HanjaToHangulSimple(word)));
                }
                else
                {
                    sb.Append(word);
                }
            }

            return sb.ToString();
        }

        private static string MakeDueum(string str)
        {
            if (string.IsNullOrEmpty(str))
            {
                return "";
            }

            char[] chArray = str.ToArray();
            chArray[0] = make_dueum_a_char(chArray[0]);
            if (chArray.Length == 1)
            {
                return $"{chArray[0]}";
            }

            char previous = chArray[0];
            for (int i = 1; i < chArray.Length; i++)
            {
                char ch = chArray[i];

                if (ch == '렬' && is_vowel_or_nieun(previous))
                {
                    chArray[i] = '열';
                }
                else if (ch == '률' && is_vowel_or_nieun(previous))
                {
                    chArray[i] = '율';
                }

                previous = ch;
            }

            return new string(chArray);
        }

        private static bool is_vowel_or_nieun(char ch)
        {
            if (ch.IsHangul() == false)
            {
                return false;
            }

            int n = ((int)ch - 0xAC00) % 28;
            if (n == 0 || n == 4)
            {
                return true;
            }

            return false;
        }

        private static char make_dueum_a_char(char ch)
        {
            if (ch.IsHangul() == false)
            {
                return ch;
            }

            if (HanConv.HanDict.Dueum.ContainsKey(ch))
            {
                return HanConv.HanDict.Dueum[ch];
            }

            return ch;
        }

        private static string HanjaToHangulSimple(string str)
        {
            char[] chArray = new char[str.Length];

            for (int i = 0; i < chArray.Length; i ++)
            {
                chArray[i] = HanConv.HanDict.Hanja[str[i]];
            }

            return new string(chArray);
        }

        public static bool IsHangul(this char ch)
        {
            return UnicodeInfo.GetName(ch).IndexOf("HANGUL") != -1;
        }

        public static bool IsHangul(this string str)
        {
            if (string.IsNullOrEmpty(str))
            {
                return false;
            }

            return str.Length == len_hangul(str);
        }

        private static int len_hangul(string str)
        {
            int count = 0;

            foreach (char c in str)
            {
                if (c.IsHangul())
                {
                    count++;
                }
            }

            return count;
        }

        public static bool IsHanja(this char ch)
        {
            return UnicodeInfo.GetName(ch) switch
            {
                String txt when txt.Length >= 3 && txt[0..3] == "CJK" => true,
                String txt when txt.Length >= 6 && txt[0..6] == "KANGXI" => true,
                _ => false,
            };
        }

        public static bool IsHanja(this string str)
        {
            if (string.IsNullOrEmpty(str))
            {
                return false;
            }

            return str.Length == len_hanja(str);
        }

        private static int len_hanja(string str)
        {
            int count = 0;

            foreach (char c in str)
            {
                if (c.IsHanja())
                {
                    count++;
                }
            }

            return count;
        }
    }
}

그런데, 실제로 위의 코드를 수행해 보면 처음 한 번의 GetName 호출에서 약간의 멈춤 현상이 발생합니다. 최초 한 번의 호출에서만 참으면 되는 건데, 이게 좀... 은근히 신경 쓰입니다. ^^; 이것의 원인은 UnicodeInformation 프로젝트가 내부에서 유니코드 정보를 가지고 있는 파일인 "ucd.dat"를 압축해서 보관했다가, 최초 GetName 호출에서 압축을 해제하느라 시간이 걸리기 때문입니다.

public static UnicodeData ReadFromResources()
{
    using (var stream = new DeflateStream(typeof(UnicodeData).GetTypeInfo().Assembly.GetManifestResourceStream("ucd.dat"), CompressionMode.Decompress, false))
    {
        return ReadFromStream(stream);
    }
}

Ucd.dat 파일은 압축 해제 시 3MB가 넘는 파일인데, 사실 근래의 스토리지/네트워크 환경에서 그다지 신경 쓰이는 크기는 아닙니다. 따라서, 그냥 저 파일을 압축하지 않고 저장하고 읽으면 되는데요, 재미있는 것은, UnicodeInformation 프로젝트가 저 파일을 수작업으로 생성하지 않고 빌드 프로세스에서 자동으로 생성/압축한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단순히 저 파일을 압축만 해제해서 저장한다고 해도 다음번 빌드에서 다시 압축이 되기 때문에 그런 식으로 수정하면 안 되고, 근본적으로 System.Unicode.Build.Core 프로젝트의 UnicodeDatabaseGenerator.cs 파일의 코드를 (압축하지 않도록) 수정해야 합니다.

public static async ValueTask GenerateDatabase(HttpClient httpClient, string baseDirectory, string outputFilePath, bool? shouldDownloadFiles, bool? shouldSaveFiles, bool? shouldExtractFiles)
{
	UnicodeInfoBuilder data;

	baseDirectory = string.IsNullOrWhiteSpace(baseDirectory) ?
		Environment.CurrentDirectory :
		Path.GetFullPath(baseDirectory);

	using (var ucdSource = await GetDataSourceAsync(httpClient, UnicodeCharacterDataUri, baseDirectory, UcdDataSourceName, UcdRequiredFiles, true, shouldDownloadFiles, shouldSaveFiles, shouldExtractFiles))
	using (var unihanSource = await GetDataSourceAsync(httpClient, UnicodeCharacterDataUri, baseDirectory, UnihanDataSourceName, UnihanRequiredFiles, true, shouldDownloadFiles, shouldSaveFiles, shouldExtractFiles))
	using (var ucdEmojiSource = await GetDataSourceAsync(httpClient, UcdEmojiDataUri, baseDirectory, EmojiDataSourceName, UcdEmojiRequiredFiles, false, shouldDownloadFiles, shouldSaveFiles, shouldExtractFiles))
	//using (var emojiSource = await GetDataSourceAsync(httpClient, EmojiDataUri, baseDirectory, EmojiDataSourceName, EmojiRequiredFiles, false, shouldDownloadFiles, shouldSaveFiles, shouldExtractFiles))
	{
		data = await UnicodeDataProcessor.BuildDataAsync(ucdSource, unihanSource, ucdEmojiSource);
	}

	// This part is actually highly susceptible to framework version. Different frameworks give a different results.
	// In order to consistently produce the same result, the framework executing this code must be fixed.
	using (var stream = File.Create(outputFilePath))
		data.WriteToStream(stream);
}

이와 함께, System.Unicode.Build.Tasks 프로젝트의 GetUnicodeDatabaseVersion.cs 파일의 코드에서 압축 해제 코드도 없애고,

protected override async Task<bool> ExecuteAsync(CancellationToken cancellationToken)
{
	var buffer = new byte[8];

	using (var file = File.OpenRead(DatabasePath))
	{
		await file.ReadAsync(buffer, 0, buffer.Length);
	}

	if (TryReadHeader(buffer, out var version))
	{
		UnicodeDatabaseVersion = version.ToString(3);
		return true;
	}

	Log.LogError("The database contained an invalid header.");

	return false;
}

끝으로 System.Unicode 프로젝트의 UnicodeData.cs 파일에서 리소스에 대한 압축 해제 코드를 없애면 됩니다.

public static UnicodeData ReadFromResources()
{
    using (var stream = typeof(UnicodeData).GetTypeInfo().Assembly.GetManifestResourceStream("ucd.dat"))
    {
        return ReadFromStream(stream);
    }
}

이후 아주 빠르게 GetName 메서드가 수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재 위와 같이 변경한 UnicodeInformation 어셈블리를 참조하는 패키지(nuget)와 소스코드(github)를 올려 두었습니다.

HanConv
; https://www.nuget.org/packages/HanConv/
; https://github.com/stjeong/HanjaHangul

// Install-Package HanConv -Version 1.0.1

Install-Package HanConv

따라서 이를 참조하고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using HanConv;

string text = "蠶段陽物是乎等用良水氣乙厭却桑葉叱分喫破爲遣飮水不冬";
Console.WriteLine(text.HanjaToHangulDueum()); // 잠단양물시호등용량수기을염각상엽질분끽파위견음수불동

단지 아쉬운 것은 두음법칙에 대한 처리가 완벽하지 않습니다. 가령 다음과 같은 테스트는 통과하지만,

[DataRow("羅列", "나열")]
[DataRow("雲量", "운량")]
[DataRow("羅州", "나주")]
[DataRow("靈巖", "영암")]
[DataRow("男女", "남녀")]
[DataRow("讀者欄", "독자란")]
[DataRow("隱匿", "은닉")]
[DataRow("李成桂", "이성계")]
public void HanjaToHangulDueumTest(string input, string expected)
{
    Assert.AreEqual(input.HanjaToHangulDueum(), expected);
}

아래와 같이 중간에 들어가는 두음법칙 단어는 처리하지 않고 있습니다.

[TestMethod()]
[DataRow("新女性", "신여성", "신녀성")]
[DataRow("國際聯合", "국제연합", "국제련합")]
[DataRow("空念佛", "공염불", "공념불")]
[DataRow("會計年度", "회계연도", "회계년도")]
[DataRow("許蘭雪軒", "허난설헌", "허란설헌")]
[DataRow("失樂園", "실낙원", "실락원")]
[DataRow("銃榴彈", "총유탄", "총류탄")]
public void HanjaToHangulDueumTest_ToImprove(string input, string myExpected, string result)
{
    Assert.AreEqual(input.HanjaToHangulDueum(), result);
    Assert.AreNotEqual(input.HanjaToHangulDueum(), myExpected);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2/13/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112정성태1/12/202016834오류 유형: 589. PowerShell - 원격 Invoke-Command 실행 시 "WinRM cannot complete the operation" 오류 발생
12111정성태1/12/202020629디버깅 기술: 155. C# - KernelMemoryIO 드라이버를 이용해 실행 프로그램을 숨기는 방법(DKOM: Direct Kernel Object Modification) [16]파일 다운로드1
12110정성태1/11/202020036디버깅 기술: 154. Patch Guard로 인해 블루 스크린(BSOD)가 발생하는 사례 [5]파일 다운로드1
12109정성태1/10/202016719오류 유형: 588. Driver 프로젝트 빌드 오류 - Inf2Cat error -2: "Inf2Cat, signability test failed."
12108정성태1/10/202017552오류 유형: 587. Kernel Driver 시작 시 127(The specified procedure could not be found.) 오류 메시지 발생
12107정성태1/10/202018750.NET Framework: 877. C# - 프로세스의 모든 핸들을 열람 - 두 번째 이야기
12106정성태1/8/202019750VC++: 136. C++ - OSR Driver Loader와 같은 Legacy 커널 드라이버 설치 프로그램 제작 [1]
12105정성태1/8/202018224디버깅 기술: 153. C# - PEB를 조작해 로드된 DLL을 숨기는 방법
12104정성태1/7/202019484DDK: 9. 커널 메모리를 읽고 쓰는 NT Legacy driver와 C#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4]
12103정성태1/7/202022617DDK: 8. Visual Studio 2019 + WDK Legacy Driver 제작- Hello World 예제 [1]파일 다운로드2
12102정성태1/6/202018891디버깅 기술: 152. User 권한(Ring 3)의 프로그램에서 _ETHREAD 주소(및 커널 메모리를 읽을 수 있다면 _EPROCESS 주소) 구하는 방법
12101정성태1/5/202019262.NET Framework: 876. C# - PEB(Process Environment Block)를 통해 로드된 모듈 목록 열람
12100정성태1/3/202016694.NET Framework: 875. .NET 3.5 이하에서 IntPtr.Add 사용
12099정성태1/3/202019579디버깅 기술: 151. Windows 10 - Process Explorer로 확인한 Handle 정보를 windbg에서 조회 [1]
12098정성태1/2/202019324.NET Framework: 874. C# - 커널 구조체의 Offset 값을 하드 코딩하지 않고 사용하는 방법 [3]
12097정성태1/2/202017439디버깅 기술: 150. windbg - Wow64, x86, x64에서의 커널 구조체(예: TEB) 구조체 확인
12096정성태12/30/201919990디버깅 기술: 149. C# - DbgEng.dll을 이용한 간단한 디버거 제작 [1]
12095정성태12/27/201921739VC++: 135. C++ - string_view의 동작 방식
12094정성태12/26/201919471.NET Framework: 873. C# - 코드를 통해 PDB 심벌 파일 다운로드 방법
12093정성태12/26/201919102.NET Framework: 872. C# - 로딩된 Native DLL의 export 함수 목록 출력파일 다운로드1
12092정성태12/25/201917741디버깅 기술: 148. cdb.exe를 이용해 (ntdll.dll 등에 정의된) 커널 구조체 출력하는 방법
12091정성태12/25/201920156디버깅 기술: 147. pdb 파일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symchk.exe 실행에 필요한 최소 파일 [1]
12090정성태12/24/201920202.NET Framework: 871. .NET AnyCPU로 빌드된 PE 헤더의 로딩 전/후 차이점 [1]파일 다운로드1
12089정성태12/23/201919121디버깅 기술: 146. gflags와 _CrtIsMemoryBlock을 이용한 Heap 메모리 손상 여부 체크
12088정성태12/23/201918133Linux: 28. Linux - 윈도우의 "Run as different user" 기능을 shell에서 실행하는 방법
12087정성태12/21/201918570디버깅 기술: 145. windbg/sos - Dictionary의 entries 배열 내용을 모두 덤프하는 방법 (do_hashtable.py) [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