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Visual C++ - "External Dependencies" 노드 비활성화하는 방법 비주얼 스튜디오로 Visual C++ 프로젝트를 개발하는 경우, 심심치 않게 C++ header 파일을 열어보게 되는데요, 그런데 그 상황에서 만약 "Track Active item in Solution Explorer" 기능이 켜져 있으면, 다음과 같이 "External Dependencies" 노드가 쫙 펼쳐지면서 해당 헤더 파일이 선택됩니다. 문제는, 저 "External Dependencies" 노드가 너무 길어서 이후 꼭 접어야 하는 동작을 필요로 한다는 점입니다. 그런데, 사실 헤더 파일의 경우 굳이 "External Dependencies"를 통해 눈여겨볼 필요는 없습니다. 다행히 이것을 끄는 방법을 제공하는데요, 역시나 "Tools" / "Options" 메뉴를 통해 "Text Editor" / "C/C++" / "Advanced" 범주의 "Disable External Dependencies Folder" 옵션을, 위에서 설정한 것처럼 "True"로 두면 됩니다. 재미있는 점은, 어쩌다 비주얼 스튜디오 업데이트를 하거나 하면... 저 옵션이 풀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다시 설정하기를 종종 반복해야 합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다음 글] .NET Framework: 116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qsv 디코딩[이전 글] .NET Framework: 1159.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qsvdec.c 예제 포팅 [최초 등록일: 2/21/2022] [최종 수정일: 2/21/2022]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775정성태9/13/200942322VC++: 37. XmlCodeGenerator를 C/C++ 코드 생성에 적용 [2]1773정성태9/5/200933242오류 유형 : 85. DEP 비호환 ActiveX 오류772정성태9/2/200929504.NET Framework: 161. WPF - 윈도우 이벤트 가로채기 [1]1771정성태8/28/200923443.NET Framework: 160. WPF - 입력 포커스 외곽선 없애는 방법770정성태8/26/200926080.NET Framework: 159. WCF - 같은 컴퓨터에서만 WCF 요청을 서비스하도록 설정769정성태8/25/200929069개발 환경 구성: 49. GAC와 같은 Namespace Extension에 의해서 보여지는 폴더의 원본 확인 방법768정성태8/24/200928491오류 유형: 85. WCF 연결 오류: MessageSecurityException767정성태8/23/200936650.NET Framework: 158. 닷넷 프로파일러 - IL 코드 재작성 [14]766정성태8/23/200937703.NET Framework: 157. C# 4.0 - dynamic 키워드 [4]1765정성태8/22/200931475.NET Framework: 156. XamDataGrid의 UnboundField 사용1764정성태8/21/200925807Windows: 47. Windows Virtual PC에 설치된 Windows 7 VPC에서 Aero 효과 사용 [3]763정성태8/20/200929229Windows: 46. Windows 7 - XP 모드 응용 프로그램 바로가기 만드는 방법 [2]762정성태8/18/200934756개발 환경 구성: 48. 개발자 PC 환경 - 유니코드(Unicode)를 위한 설정 [3]760정성태8/17/200941194개발 환경 구성: 47. XmlCodeGenerator 1.0.0.4 업데이트 [2]759정성태8/16/200932997.NET Framework: 155. 닷넷 프로파일러의 또 다른 응용: Visual Studio 2010 Historical Debugging758정성태8/15/200926607VS.NET IDE: 65. WPF 프로젝트용 Visual Studio 패치들 [2]757정성태8/12/200925934오류 유형: 84. TFS 작업 항목 보기 오류 - WorkItemTypeDeniedOrNotExistException756정성태8/9/200925212오류 유형: 83. A revocation check could not be performed for the certificate.755정성태8/6/200922877.NET Framework: 154. 이벤트 2중 구독754정성태7/16/200935417VS.NET IDE: 64. Visual Studio 2010 - 64bit 혼합 모드 디버깅 지원753정성태7/15/200933864.NET Framework: 153. WPF와 WinForm의 Shown 이벤트 시점752정성태7/14/200929596개발 환경 구성: 46. .NET Service Bus 응용 사례: SocketShifter [2]1751정성태7/9/200930561.NET Framework: 152. 순환 참조와 XmlSerializer1750정성태7/7/200930946.NET Framework: 151. Team Explorer가 설치되지 않은 PC에서 System.InvalidProgramException 예외 발생1748정성태7/2/200929388.NET Framework: 150. WPF - Property Element 사용 의미2747정성태7/1/200948332.NET Framework: 149. WPF - UI 업데이트를 바로 반영하고 싶다면? [3]1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