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mstest.exe - System.IO.FileNotFoundException: Could not load file or assembly 'Microsoft.VisualStudio.QualityTools.Tips.WebLoadTest.Tip

만약 mstest.exe 실행 시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한다면?

c:\temp> mstest /testcontainer:test.loadtest
Microsoft (R) Test Execution Command Line Tool Version 17.0.32113.165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MSTest.exe runner is legacy. Please migrate to vstest.console.exe (https://aka.ms/vstestconsole) or dotnet test (https://aka.ms/dotnettest) instead. You can use /nologo switch to suppress this message.
Loading ..\TestProject1\test.loadtest...
TestTypes\fa4c85ff-1236-4463-b954-3ba2f0eabd95 could not be loaded because the TIP could not be instantiated for the following reason(s): System.IO.FileNotFoundException: Could not load file or assembly 'Microsoft.VisualStudio.QualityTools.Tips.WebLoadTest.Tip, Version=17.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b03f5f7f11d50a3a' or one of its dependencies. The system cannot find the file specified.
File name: 'Microsoft.VisualStudio.QualityTools.Tips.WebLoadTest.Tip, Version=17.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b03f5f7f11d50a3a'
   at System.RuntimeTypeHandle.GetTypeByName(String name, Boolean throwOnError, Boolean ignoreCase, Boolean reflectionOnly, StackCrawlMarkHandle stackMark, IntPtr pPrivHostBinder, Boolean loadTypeFromPartialName, ObjectHandleOnStack type)
   at System.RuntimeTypeHandle.GetTypeByName(String name, Boolean throwOnError, Boolean ignoreCase, Boolean reflectionOnly, StackCrawlMark& stackMark, IntPtr pPrivHostBinder, Boolean loadTypeFromPartialName)
   at System.RuntimeType.GetType(String typeName, Boolean throwOnError, Boolean ignoreCase, Boolean reflectionOnly, StackCrawlMark& stackMark)
   at System.Type.GetType(String typeName, Boolean throwOnError)
   at Microsoft.VisualStudio.TestTools.TestManagement.TipDelayLoader.LoadTip()

WRN: Assembly binding logging is turned OFF.
To enable assembly bind failure logging, set the registry value [HKLM\Software\Microsoft\Fusion!EnableLog] (DWORD) to 1.
Note: There is some performance penalty associated with assembly bind failure logging.
To turn this feature off, remove the registry value [HKLM\Software\Microsoft\Fusion!EnableLog].

Starting execution...
No tests to execute.

아래의 글에서 설명했던 것처럼,

mstest.exe 실행 시 "File extension specified '.loadtest' is not a valid test extension." 오류 발생
; https://www.sysnet.pe.kr/2/0/11885

"Web performance and load testing tools" 항목을 선택해 설치하면 됩니다. 그나저나... 어느새 MStest.exe가 legacy로 분류되는군요.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2/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78정성태11/22/201231633Java: 14. 안드로이드 - Hello World 실습 [7]
1377정성태11/19/201225035.NET Framework: 344. 닷넷 프로파일러 - ICorProfilerInfo::GetILFunctionBody 함수 버그
1376정성태11/15/201230276디버깅 기술: 51.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서 특정 예외가 발생했을 때 풀 덤프 받는 방법 [6]
1375정성태11/15/201226015디버깅 기술: 50. windbg의 mscordacwks DLL 로드 문제 - 두 번째 이야기
1374정성태11/13/201224095개발 환경 구성: 175. Visual Studio의 "Extension Manager"에서 설치된 구성 요소들의 제거 버튼이 비활성화되었다면!
1373정성태11/13/201224620.NET Framework: 343. VB.NET 어셈블리의 .NET Reflector 소스 코드를 분석할 때 알아두면 좋은 사항
1372정성태11/1/2012119496Windows: 67. 64비트 윈도우에서 Internet Explorer 10이 항상 64비트로만 실행된다면? [57]
1371정성태10/31/201227172.NET Framework: 342. Python의 zip과 with 문 context를 C#과 비교하면. [3]파일 다운로드1
1370정성태10/31/201222417VS.NET IDE: 75. Visual Studio - "Active Solution Platform" 변경을 툴바에서 하는 방법
1369정성태10/31/201235769개발 환경 구성: 174. 윈도우에서 Mono 개발 환경 구성 [4]
1368정성태10/31/201227056개발 환경 구성: 173. Windows Phone SDK 8.0 설치
1367정성태10/30/201234770개발 환경 구성: 172. IIS 7.5부터 지원되는 웹 사이트 자동 시작 모드 [1]
1366정성태10/24/201226120개발 환경 구성: 171. GTK+를 윈도우 환경에 수작업 설치
1365정성태10/24/201224967개발 환경 구성: 170. 우분투 데스크톱 Active Directory 가입하기 [2]
1364정성태10/19/201221353Windows: 66. Hyper-V 2012에서 별도의 네트워크 카드를 이용한 Live Migration
1363정성태10/16/201228837개발 환경 구성: 169. Objective-C의 대안 - Xamarin의 Mono를 이용한 C# iOS 개발 환경 [2]
1362정성태10/16/201229134개발 환경 구성: 168. 우분투 서버 Active Directory 가입하기
1361정성태10/12/201222527.NET Framework: 341. .NET COM+ 를 Managed/Native 클라이언트에서 각각 호출했을 때의 콜 스택 비교 [4]파일 다운로드1
1360정성태10/9/201226919.NET Framework: 340. Windows Server 2012 - .NET Framework 1.x 미지원
1359정성태10/9/201263228Windows: 65. 윈도우 8 - Internet Explorer 10을 32비트 또는 64비트로 통합 [5]
1358정성태9/27/201226403.NET Framework: 339. .NET Profiler 주의 사항 - 하나의 exe 프로세스 내에 다중 .NET 런타임 사용
1357정성태9/27/201223462Windows: 64. Hyper-V - Windows XP의 Live Migration 오류
1356정성태9/26/201229606Windows: 63. 윈도우 서버 2012 - Hyper-V의 새로운 기능 Live Migration [6]
1355정성태9/21/201227579Team Foundation Server: 49. TFS 2012 Express의 필수 보완 작업: 데이터베이스 백업 [1]
1354정성태9/19/201224382.NET Framework: 338. .NET CLR GC 시간 측정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53정성태9/17/201225737.NET Framework: 337. Python의 생성기와 코루틴을 C#으로 표현하면. [2]파일 다운로드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