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mstest.exe - System.IO.FileNotFoundException: Could not load file or assembly 'Microsoft.VisualStudio.QualityTools.Tips.WebLoadTest.Tip

만약 mstest.exe 실행 시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한다면?

c:\temp> mstest /testcontainer:test.loadtest
Microsoft (R) Test Execution Command Line Tool Version 17.0.32113.165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MSTest.exe runner is legacy. Please migrate to vstest.console.exe (https://aka.ms/vstestconsole) or dotnet test (https://aka.ms/dotnettest) instead. You can use /nologo switch to suppress this message.
Loading ..\TestProject1\test.loadtest...
TestTypes\fa4c85ff-1236-4463-b954-3ba2f0eabd95 could not be loaded because the TIP could not be instantiated for the following reason(s): System.IO.FileNotFoundException: Could not load file or assembly 'Microsoft.VisualStudio.QualityTools.Tips.WebLoadTest.Tip, Version=17.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b03f5f7f11d50a3a' or one of its dependencies. The system cannot find the file specified.
File name: 'Microsoft.VisualStudio.QualityTools.Tips.WebLoadTest.Tip, Version=17.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b03f5f7f11d50a3a'
   at System.RuntimeTypeHandle.GetTypeByName(String name, Boolean throwOnError, Boolean ignoreCase, Boolean reflectionOnly, StackCrawlMarkHandle stackMark, IntPtr pPrivHostBinder, Boolean loadTypeFromPartialName, ObjectHandleOnStack type)
   at System.RuntimeTypeHandle.GetTypeByName(String name, Boolean throwOnError, Boolean ignoreCase, Boolean reflectionOnly, StackCrawlMark& stackMark, IntPtr pPrivHostBinder, Boolean loadTypeFromPartialName)
   at System.RuntimeType.GetType(String typeName, Boolean throwOnError, Boolean ignoreCase, Boolean reflectionOnly, StackCrawlMark& stackMark)
   at System.Type.GetType(String typeName, Boolean throwOnError)
   at Microsoft.VisualStudio.TestTools.TestManagement.TipDelayLoader.LoadTip()

WRN: Assembly binding logging is turned OFF.
To enable assembly bind failure logging, set the registry value [HKLM\Software\Microsoft\Fusion!EnableLog] (DWORD) to 1.
Note: There is some performance penalty associated with assembly bind failure logging.
To turn this feature off, remove the registry value [HKLM\Software\Microsoft\Fusion!EnableLog].

Starting execution...
No tests to execute.

아래의 글에서 설명했던 것처럼,

mstest.exe 실행 시 "File extension specified '.loadtest' is not a valid test extension." 오류 발생
; https://www.sysnet.pe.kr/2/0/11885

"Web performance and load testing tools" 항목을 선택해 설치하면 됩니다. 그나저나... 어느새 MStest.exe가 legacy로 분류되는군요.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2/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790정성태10/27/20247774Linux: 98. Ubuntu 22.04 - 리눅스 커널 빌드 및 업그레이드
13789정성태10/27/20249170Linux: 97. menuconfig에 CONFIG_DEBUG_INFO_BTF, CONFIG_DEBUG_INFO_BTF_MODULES 옵션이 없는 경우
13788정성태10/26/20247112Linux: 96. eBPF (bpf2go) - fentry, fexit를 이용한 트레이스
13787정성태10/26/20249690개발 환경 구성: 730. github - Linux 커널 repo를 윈도우 환경에서 git clone하는 방법 [1]
13786정성태10/26/20248842Windows: 266. Windows - 대소문자 구분이 가능한 파일 시스템
13785정성태10/23/20248150C/C++: 182. 윈도우가 운영하는 2개의 Code Page [1]파일 다운로드1
13784정성태10/23/20248650Linux: 95. eBPF - kprobe를 이용한 트레이스
13783정성태10/23/20248302Linux: 94. eBPF - vmlinux.h 헤더 포함하는 방법 (bpf2go에서 사용)
13782정성태10/23/20247616Linux: 93. Ubuntu 22.04 - 커널 이미지로부터 커널 함수 역어셈블
13781정성태10/22/20248432오류 유형: 930. WSL + eBPF: modprobe: FATAL: Module kheaders not found in directory
13780정성태10/22/202410132Linux: 92. WSL 2 - 커널 이미지로부터 커널 함수 역어셈블
13779정성태10/22/20247825개발 환경 구성: 729. WSL 2 - Mariner VM 커널 이미지 업데이트 방법
13778정성태10/21/202410367C/C++: 181. C/C++ - 소스코드 파일의 인코딩, 바이너리 모듈 상태의 인코딩
13777정성태10/20/20248380Windows: 265. Win32 API의 W(유니코드) 버전은 UCS-2일까요? UTF-16 인코딩일까요?
13776정성태10/19/20249432C/C++: 180. C++ - 고수준 FILE I/O 함수에서의 Unicode stream 모드(_O_WTEXT, _O_U16TEXT, _O_U8TEXT)파일 다운로드1
13775정성태10/19/20249817개발 환경 구성: 728. 윈도우 환경의 개발자를 위한 UTF-8 환경 설정
13774정성태10/18/20248934Linux: 91. Container 환경에서 출력하는 eBPF bpf_get_current_pid_tgid의 pid가 존재하지 않는 이유
13773정성태10/18/20248329Linux: 90. pid 네임스페이스 구성으로 본 WSL 2 + docker-desktop
13772정성태10/17/20248880Linux: 89. pid 네임스페이스 구성으로 본 WSL 2 배포본의 계층 관계
13771정성태10/17/20248786Linux: 88. WSL 2 리눅스 배포본 내에서의 pid 네임스페이스 구성
13770정성태10/17/20249529Linux: 87. ps + grep 조합에서 grep 명령어를 사용한 프로세스를 출력에서 제거하는 방법
13769정성태10/15/202410886Linux: 86. Golang + bpf2go를 사용한 eBPF 기본 예제파일 다운로드1
13768정성태10/15/20249680C/C++: 179. C++ - _O_WTEXT, _O_U16TEXT, _O_U8TEXT의 Unicode stream 모드파일 다운로드2
13767정성태10/14/20247872오류 유형: 929. bpftrace 수행 시 "ERROR: Could not resolve symbol: /proc/self/exe:BEGIN_trigger"
13766정성태10/14/20247018C/C++: 178. C++ - 파일에 대한 Text 모드의 "translated" 동작파일 다운로드1
13765정성태10/12/20249362오류 유형: 928. go build 시 "package maps is not in GOROOT" 오류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