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1171. C# - BouncyCastle을 사용한 암호화/복호화 예제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2896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C# - BouncyCastle을 사용한 암호화/복호화 예제

마침 질문이 있군요. ^^

RSA 문의드립니다.
; https://www.sysnet.pe.kr/3/0/5619

개인적으로 BouncyCastle은 예전에 PEM 파일 읽는 용도로만 사용해봐서 암/복호화까지 해본 적은 없습니다. 그래도 뭐, 닷넷 BCL의 암/복호화랑 체계는 유사할 테니 비슷하지 않을까요? ^^

테스트를 위해 우선 BouncyCastle을 nuget으로부터 참조 추가하고,

[.NET Framework]
Install-Package BouncyCastle

[.NET Core/5+]
Install-Package BouncyCastle.NetCore

키를 초기화하기 위해 openssl로부터 pem 파일을 생성해 둡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의 글에서 설명했습니다.

openssl의 PEM 개인키 파일을 .NET RSACryptoServiceProvider에서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0926

따라서 genrsa 옵션으로 키를 생성 후,

C:\temp> openssl genrsa 2048

출력되는 내용에서 BEGIN/END RSA PRIVATE KEY 내용을 뽑아,

-----BEGIN RSA PRIVATE KEY-----
MIIEogIBAAKCAQEAwA44z+R/dLyaiiOw3Gf29qtO+bHeVbvC3mKq8bnPTt53uNur
UCBCg1wkZXSCmweetFoZaE6rgAshcbSemKlBus/lkn/BK5ysYbJuXqcTK+oIW48r
...[생략]...
eMsXAoGAeWbmaxQPPdULzNILNzVx0EECtTvkNVprrpNMFdphVr+cC/oWe/velmXB
/6APbZcVCGIykvmZB+TolR/NKmA8vmpTov6HVQoXd3+fBtRziiaM+beb/XVOMdO6
NxRWJ9Max3N2OqgwHJ+AFRnO2aEVp7NcRK8SNXNlKufSSPOpSBo=
-----END RSA PRIVATE KEY-----

key.pem 파일로 저장해 둡니다. 자, 준비 작업은 이제 끝났으니 다음의 코드로 RSA 암/복호화를 할 수 있습니다.

using Org.BouncyCastle.Crypto;
using Org.BouncyCastle.Crypto.Digests;
using Org.BouncyCastle.Crypto.Encodings;
using Org.BouncyCastle.Crypto.Engines;
using Org.BouncyCastle.OpenSsl;
using Org.BouncyCastle.Security;
using System.Text;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var pemReader = new PemReader(File.OpenText(@"key.pem"));
        var rsaKey = pemReader.ReadObject() as Org.BouncyCastle.Crypto.AsymmetricCipherKeyPair;
        if (rsaKey == null)
        {
            return;
        }

        byte[] encrypted = EncryptData(rsaKey.Public, "test is good");
        Console.WriteLine(DecryptData(rsaKey.Private, encrypted)); // 출력 결과 "test is good"
    }

    private static byte[] EncryptData(ICipherParameters keyParam, string data)
    {
        var cipher = CipherUtilities.GetCipher("RSA/NONE/OAEPWITHSHA256ANDMGF1PADDING");
        cipher.Init(true, keyParam);

        byte[] plain = Encoding.UTF8.GetBytes(data);
        return cipher.DoFinal(plain);
    }

    private static string DecryptData(ICipherParameters keyParam, byte [] encrypted)
    {
        var cipher = CipherUtilities.GetCipher("RSA/NONE/OAEPWITHSHA256ANDMGF1PADDING");
        cipher.Init(false, keyParam);

        return Encoding.UTF8.GetString(cipher.DoFinal(encrypted));
    }
}

간단하죠? ^^




그나저나, "RSA/NONE/OAEPWITHSHA256ANDMGF1PADDING"라는 문자열 구성이 궁금해지는데요, 이에 대해 잘 설명한 문서가 있을까요? ^^ (아시는 분은 덧글 부탁드립니다.)

대신 CipherUtilities.GetCipher의 소스 코드를 보면 대략적인 해석이 나옵니다.

bouncycastle/crypto/src/security/CipherUtilities.cs 
; https://github.com/neoeinstein/bouncycastle/blob/master/crypto/src/security/CipherUtilities.cs

위의 소스 코드를 "RSA/NONE/OAEPWITHSHA256ANDMGF1PADDING" 옵션으로 축약해 보면 다음과 같이 OaepEncoding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것과 같습니다.

var encrypter = new OaepEncoding(new RsaBlindedEngine(), new Sha256Digest(), new Sha256Digest(), null);

var decrypter = new OaepEncoding(new RsaBlindedEngine(), new Sha256Digest(), new Sha256Digest(), null);

따라서, EncryptData, DecryptData 코드를 다음과 같이 변경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byte[] encrypted = EncryptData(rsaKey.Public, "test is good");
Console.WriteLine(DecryptData(rsaKey.Private, encrypted));

private static byte[] EncryptData(ICipherParameters keyParam, string data)
{
    var encrypter = new OaepEncoding(new RsaBlindedEngine(), new Sha256Digest(), new Sha256Digest(), null);
    encrypter.Init(true, keyParam);

    byte[] plain = Encoding.UTF8.GetBytes(data);
    return encrypter.ProcessBlock(plain, 0, plain.Length);
}

private static string DecryptData(ICipherParameters keyParam, byte[] encrypted)
{
    var decrypter = new OaepEncoding(new RsaBlindedEngine(), new Sha256Digest(), new Sha256Digest(), null);
    decrypter.Init(false, keyParam);

    byte [] decrypted = decrypter.ProcessBlock(encrypted, 0, encrypted.Length);
    return Encoding.UTF8.GetString(decrypted);
}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2/6/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847정성태2/3/201526429기타: 50. C# - 윈도우에서 dropbox 동기화 폴더 경로 및 종료하는 방법
1846정성태2/2/201535552Windows: 102. 제어판의 프로그램 추가/삭제 항목을 수동으로 실행하고 싶다면? [1]
1845정성태1/26/201537241Windows: 101. 제어판의 "Windows 자격 증명 관리(Manage your credentials)"를 금지시키는 방법
1844정성태1/26/201534261오류 유형: 269. USB 메모리의 용량이 비정상적으로 보여진다면? [7]
1843정성태1/24/201525579VC++: 87. 무시할 수 없는 Visual C++ 런타임 함수 성능
1842정성태1/23/201549400개발 환경 구성: 255. 노트북 키보드에 없는 BREAK 키를 다른 키로 대체하는 방법
1841정성태1/21/201522944오류 유형: 268. Win32 핸들 관련 CLR4 보안 오류 사례
1840정성태1/8/201531221오류 유형: 267. Visual Studio - CodeLens 사용 시 CPU 100% 현상
1839정성태1/5/201523612디버깅 기술: 69. windbg 분석 사례 - cpu 100% 현상 (2)
1838정성태1/4/201544410기타: 49. 윈도우 내레이터(Narrator) 기능 끄는 방법(윈도우에 파란색의 굵은 테두리 선이 나타난다면?) [4]
1837정성태1/4/201530480디버깅 기술: 68. windbg 분석 사례 - 메모리 부족 [1]
1836정성태1/4/201530411디버깅 기술: 67. windbg - 덤프 파일과 handle 정보
1835정성태1/3/201531250개발 환경 구성: 254. SQL 서버 역시 SSL 3.0/TLS 1.0만을 지원하는 듯!
1834정성태1/3/201555800개발 환경 구성: 253. TLS 1.2를 적용한 IIS 웹 사이트 구성
1833정성태1/3/201532163.NET Framework: 490. System.Data.SqlClient는 SSL 3.0/TLS 1.0만 지원하는 듯! [3]
1832정성태1/2/201523710오류 유형: 266. Azure에 응용 프로그램 게시 중 로그인 오류
1831정성태1/1/201532549디버깅 기술: 66. windbg 분석 사례 - cpu 100% 현상 (1) [1]
1830정성태1/1/201531932오류 유형: 265. svchost.exe 프로세스(IP Helper: IPHLPSVC)의 CPU 100% 현상
1829정성태12/16/201435522VC++: 86. Windows Vista부터 바뀐 Credential Provider 예제 분석 (2) [2]파일 다운로드1
1828정성태12/15/201432148VC++: 85. Windows Vista부터 바뀐 Credential Provider 예제 분석 (1) [4]파일 다운로드1
1827정성태12/12/201428380VC++: 84. CredUIPromptForWindowsCredentials Win32 API 사용법 정리
1826정성태12/11/201432713.NET Framework: 489. Socket.Listen에 전달된 backlog 인자의 의미 [6]
1825정성태12/11/201480581.NET Framework: 488. TCP 소켓 연결의 해제를 알 수 있는 방법 [10]파일 다운로드1
1824정성태12/10/201429702.NET Framework: 487. Socket.Receive 메서드의 SocketFlags.Peek 동작을 이용해 소켓 연결 유무를 확인? [8]파일 다운로드1
1823정성태12/10/201426900.NET Framework: 486. Java의 ScheduledExecutorService에 대응하는 C#의 System.Threading.Timer [2]
1822정성태12/3/201428199개발 환경 구성: 252. Xamarin 라이선스 관리 [8]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