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1173. .NET에서 Producer/Consumer를 구현한 BlockingCollection<T>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6173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4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209. AutoReset, ManualReset, Monitor.Wait의 차이
; https://www.sysnet.pe.kr/2/0/1015

.NET Framework: 1120. C# - BufferBlock<T> 사용 예제
; https://www.sysnet.pe.kr/2/0/12845

.NET Framework: 1172. .NET에서 Producer/Consumer를 구현하는 기초 인터페이스 - IProducerConsumerCollection<T>
; https://www.sysnet.pe.kr/2/0/12993

.NET Framework: 1173. .NET에서 Producer/Consumer를 구현한 BlockingCollection<T>
; https://www.sysnet.pe.kr/2/0/12995




.NET에서 Producer/Consumer를 구현한 BlockingCollection<T>

지난 글에서,

.NET에서 Producer/Consumer를 구현하는 기초 인터페이스 - IProducerConsumerCollection<T>
; https://www.sysnet.pe.kr/2/0/12993

IProducerConsumerCollection<T> 인터페이스를 다뤘는데요, 사실 저 인터페이스만 구현해서는 현실적으로 Producer/Consumer 모델에 사용하기가 좀 번거롭습니다. 가령, 데이터를 생성하는 측면에서 보면 단순히 Concurrent 컬렉션에 값을 넣기만 하면 되므로 그다지 문제가 안 되지만, 데이터를 소비하는 측면에서 보면 언제 데이터가 올지 알 수 없으므로 폴링 방식으로 데이터를 계속 체크하든가, 아니면 signal을 이용해 데이터의 유무를 확인하는 부가 코드를 넣어야 합니다.

바로 그러한 부가 작업을 담당하도록 마이크로소프트가 미리 제공하는 클래스가 BlockingCollection<T>입니다. 사실 이전 글에서 IProducerConsumerCollection을 IConcurrentCollection의 의미로 봐야 한다고 했는데요, 그렇게 따졌을 때 사실상 BlockingCollection이야말로 IProducerConsumerCollection 인터페이스라는 이름을 상속받는 것이 더 어울릴 것입니다.

간단하게 필요한 부분만 내부 구현 방식을 살펴볼까요?

BlockingCollection.cs
; https://referencesource.microsoft.com/#system/sys/system/collections/concurrent/BlockingCollection.cs

BlockingCollection<T>는 이미 thread-safe하게 구현한, 즉 IProducerConsumerCollection<T>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타입의 내부 필드를 선언해 두고 관련한 작업들은 그것에 맡깁니다. 단지, 추가된 것이라면 SemaphoreSlim을 이용해 해당 자료 구조에서 값을 넣고 빼는 것에 대한 blocking 기능을 제공하는 정도입니다. 즉, 스레드 대기 기능만 추가된 것입니다.

사용자가 명시하지 않은 경우, 기본적으로 BlockingCollection<T>는 (Queue<T>의 thread-safe 버전인) ConcurrentQueue<T>를 사용하기 때문에 FIFO 구조의 Producer/Consumer 동작을 하게 됩니다.

public class BlockingCollection<T> : IEnumerable<T>, ICollection, IDisposable, IReadOnlyCollection<T>
{
    public BlockingCollection() : this(new ConcurrentQueue<T>())
    {
    }

    // ...[생략]...
}

물론, BlockingCollection<T> 생성자에 ConcurrentStack<T>을 전달한다면 FILO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좀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글을 확인하시고,

BlockingCollection Overview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standard/collections/thread-safe/blockingcollection-overview

BlockingCollection 컬렉션 소개
; https://forum.dotnetdev.kr/t/blockingcollection/512

참고로, 예전에 저는 화면 캡처한 것을 Queue에 넣고, 다른 스레드에서 그것을 받아 처리하는 용도로 BlockingCollection을 사용한 적이 있습니다.

C# - OpenCvSharp을 이용한 Webcam 영상 처리 + Direct2D
; https://www.sysnet.pe.kr/2/0/11405

// 기타 사용 예제
SingleThreadTaskScheduler에서 사용한 예제
; https://www.sysnet.pe.kr/2/0/13188#SingleThreadTaskScheduler

그리고, Win32 메시지도 처리한다는데,

72. Thread.Yield나 Thread.Join은 COM 메시지를 처리할까?
; https://www.sysnet.pe.kr/2/0/11879#72

이것은 BlockingCollection이 사용하는 SemaphoreSlim이 결국 Monitor.Enter 등을 사용하기 때문으로 얻어지는 효과로 보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10/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42정성태4/14/200517862    답변글 VS.NET IDE: 36.1. 메모리 구성에 대한 추가 내용
137정성태3/31/200522180.NET Framework: 35. XP SP2 팝업 뚫은 소스
135정성태3/31/200520916VS.NET IDE: 26. SQL Server 2000구성이 실패
134정성태3/31/200518122COM 개체 관련: 16. Microsoft.XMLHTTP 개체에서 Microsoft.XMLDOM 개체를 전송할 때 charset 지정 문제? [2]
128정성태3/30/200516470.NET Framework: 34. VC++에서 Managed 타입의 메서드에 BSTR을 넘기는 경우의 오류(!)
129정성태3/30/200518581    답변글 .NET Framework: 34.1. 위의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나온 것입니다.
130정성태3/30/200515902        답변글 .NET Framework: 34.2. 다시... 제가 질문한 내용입니다. ^^
131정성태3/30/200516413            답변글 .NET Framework: 34.3. 다시... 정봉겸님이 하신... 명확한 답변입니다.
126정성태3/26/200516261.NET Framework: 33. Proxy 환경에서의 Smart Client 업데이트 문제 [1]
133정성태3/31/200517406    답변글 .NET Framework: 33.1. [추가]: Proxy 환경에서의 Smart Client 업데이트 문제 [2]
125정성태3/26/200516387VC++: 15. VC++ Keyword
124정성태3/25/200516896.NET Framework: 32. 네트워크 공유 없이 상대 컴퓨터에 프로그램 설치
119정성태3/21/200516484.NET Framework: 31. 소스세이프 오류현상: 웹 프로젝트를 열수 없습니다.
120정성태3/21/200517795    답변글 .NET Framework: 31.1. 소스세이프 오류현상: PDB 파일이 잠기는 문제
121정성태3/21/200517850    답변글 .NET Framework: 31.2. 소스세이프 오류현상: VS.NET 2003 IDE 와 연동되는 소스세이프 버전 문제
122정성태3/21/200516534    답변글 .NET Framework: 31.3. 소스세이프 관련 사이트
160정성태11/14/200519423    답변글 VS.NET IDE: 31.4. [추가]: 웹 애플리케이션 로드시 "_1"을 붙여서 묻는 경우. [1]
196이문석12/23/200516250        답변글 .NET Framework: 31.8. [답변]: [추가]: 웹 애플리케이션 로드시 "_1" 을 붙여서 묻는 경우.
167정성태10/10/200515821    답변글 .NET Framework: 31.5. [추가]: 삭제한 웹 가상 디렉터리에 대해 동일한 이름으로 웹 공유를 설정할 때 - 이미 있다고 오류발생
190정성태12/11/200515112    답변글 VC++: 31.6. ASP.NET 소스세이프 오류현상: 다른 사람이 체크아웃 한 것을 또 다른 사람이 체크아웃 가능!
191정성태12/11/200517560    답변글 VC++: 31.7. 소스 세이프 사용 시, 특정 프로젝트의 빌드 체크가 솔루션 로드할 때마다 해제되는 경우
118정성태3/30/200623339VC++: 14. TCP through HTTP tunneling: 기업 내 Proxy 서버 제한에서 벗어나는 방법 [2]
117정성태3/19/200524457.NET Framework: 30. Process.Start에서의 인자 길이 제한 [4]
116정성태3/14/200516976.NET Framework: 29. [.NET WebService] 자동생성되는 WSDL 을 막는 방법.
115정성태3/13/200517509VS.NET IDE: 25. [IIS 서버] ODBC 로그 남기기 [1]
195정성태12/21/200516748    답변글 VC++: 25.1. ODBC 로그를 못 남길 때의 오류 화면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