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1174. C# - ELEMENT_TYPE_FNPTR 유형의 사용 예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3309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9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491. 닷넷 Generic 타입의 메타 데이터 토큰 값 알아내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848

.NET Framework: 494. 값(struct) 형식의 제네릭(Generic) 타입이 박싱되는 경우의 메타데이터 토큰 값
; https://www.sysnet.pe.kr/2/0/1857

.NET Framework: 495. CorElementType의 요소 값 설명
; https://www.sysnet.pe.kr/2/0/1860

.NET Framework: 509. ELEMENT_TYPE_MODIFIER의 조합
; https://www.sysnet.pe.kr/2/0/2894

.NET Framework: 510. 제네릭(Generic) 인자에 대한 메타데이터 등록 확인
; https://www.sysnet.pe.kr/2/0/2907

.NET Framework: 844. C# - 박싱과 언박싱
; https://www.sysnet.pe.kr/2/0/11943

.NET Framework: 955.  .NET 메서드의 Signature 바이트 코드 분석
; https://www.sysnet.pe.kr/2/0/12379

.NET Framework: 1130. C# - ELEMENT_TYPE_INTERNAL 유형의 사용 예
; https://www.sysnet.pe.kr/2/0/12903

.NET Framework: 1174. C# - ELEMENT_TYPE_FNPTR 유형의 사용 예
; https://www.sysnet.pe.kr/2/0/12998




C# - ELEMENT_TYPE_FNPTR 유형의 사용 예

그동안 제가 알고 있는 한 .NET BCL에서는 ELEMENT_TYPE_FNPTR이 사용된 적이 없었습니다. 하지만, C# 9.0의 함수 포인터가 나오면서,

C# 9.0 - (6) 함수 포인터(Function pointers)
; https://www.sysnet.pe.kr/2/0/12374

이것이 .NET 6의 BCL에도 적용되기 시작했고 그로 인해 Microsoft.AspNetCore.Server.IIS 어셈블리에 함수 포인터를 인자로 한 메서드가 추가됐습니다.

// Assembly Microsoft.AspNetCore.Server.IIS, Version=6.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adb9793829ddae60

// 타입: "Microsoft.AspNetCore.Server.IIS.Core.IISNativeApplication"

public unsafe void RegisterCallbacks(
    delegate* unmanaged<IntPtr, IntPtr, NativeMethods.REQUEST_NOTIFICATION_STATUS> requestCallback,
    delegate* unmanaged<IntPtr, int> shutdownCallback,
    delegate* unmanaged<IntPtr, void> disconnectCallback,
    delegate* unmanaged<IntPtr, int, int, NativeMethods.REQUEST_NOTIFICATION_STATUS> asyncCallback,
    delegate* unmanaged<IntPtr, void> requestsDrainedHandler,
    IntPtr pvRequestContext,
    IntPtr pvShutdownContext)
{
    NativeMethods.HttpRegisterCallbacks(
        _nativeApplication,
        requestCallback,
        shutdownCallback,
        disconnectCallback,
        asyncCallback,
        requestsDrainedHandler,
        pvRequestContext,
        pvShutdownContext);
}

그리고 저 RegisterCallbacks의 매개변수 signature에 ELEMENT_TYPE_FNPTR이 포함됩니다. 여기서 재미있는 점은, 그동안 한 번도 ELEMENT_TYPE_FNPTR 유형이 signature에 사용된 적이 없다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마이크로소프트는 C# 9.0/.NET 6에서나 추가하게 될 기능을 미리 염두에 두고 ELEMENT_TYPE_FNPTR을 .NET Framework 시절부터 만들어 두었던 것일까요? ^^




이것으로, 지난 글까지 합치면,

ELEMENT_TYPE_MODIFIER의 조합
; https://www.sysnet.pe.kr/2/0/2894

C# - ELEMENT_TYPE_INTERNAL 유형의 사용 예
; https://www.sysnet.pe.kr/2/0/12903

그런대로 CorElementType에 대한 사용법들이 많이 풀린 것 같습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10/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0873정성태11/25/201525470.NET Framework: 540. C# - 부동 소수 계산 왜 이렇게 나오죠? (2) [3]파일 다운로드1
10872정성태11/24/201532439.NET Framework: 539. C# - 부동 소수 계산 왜 이렇게 나오죠? (1) [1]
10871정성태11/23/201528061오류 유형: 313. SignTool Error: No certificates were found that met all the given criteria.
10870정성태11/23/201528923오류 유형: 312. 윈도우 10 TH2 (버전 1511) 업데이트가 안되는 경우 [1]
10869정성태11/23/201524688오류 유형: 311. certutil 실행 오류 - 0x80070057 [1]
10868정성태11/20/201524566제니퍼 .NET: 25. 제니퍼 닷넷 적용 사례 (5) - RestSharp 라이브러리의 CPU High 현상파일 다운로드1
10867정성태10/18/201527129.NET Framework: 538. Thread.Abort로 인해 프로세스가 종료되는 현상
10866정성태10/14/201523341.NET Framework: 537. C# - Reflection의 박싱 없이 값 형식을 다루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0865정성태10/13/201523117.NET Framework: 536. Thread.Abort의 스레드 종료 지연파일 다운로드1
10864정성태10/12/201521328.NET Framework: 535. aspnet.config 파일의 설정을 읽는 방법
10863정성태10/9/201526136.NET Framework: 534. ASP.NET 응용 프로그램이 예외로 프로세스가 종료된다면?
10862정성태10/9/201524487오류 유형: 310. 비주얼 스튜디오 - Unspecified error (Exception from HRESULT: 0x80004005 (E_FAIL))
10861정성태10/9/201529144기타: 54. 도서: 시작하세요! C# 6.0 프로그래밍: 기본 문법부터 실전 예제까지 (2)
10860정성태10/5/201526596개발 환경 구성: 277. IIS AppPool의 시작/중단에 대한 이벤트 로그 확인 방법
10859정성태10/5/201527790.NET Framework: 533. C#에서 string 형식이 primitive일까요? [6]
10858정성태10/2/201524289VS.NET IDE: 105. Visual Studio의 단위 테스트 작성 시 Fakes를 이용한 메서드 재정의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0857정성태10/1/201520321VS.NET IDE: 104. Visual C++ 프로젝트의 빌드 이벤트에서 환경 변수 사용하는 방법
10856정성태9/30/201531585.NET Framework: 532. WPF DataGrid의 데이터 바인딩 시 리플렉션의 부하는 어느 정도일까요?파일 다운로드1
10855정성태9/30/201521299.NET Framework: 531. C# - XSLT 내의 javascript에 전달한 XML 노드의 타입은?
10854정성태9/30/201521813오류 유형: 309. C# - 포인터를 쓰는 경우 VerificationException이 발생한다면?
10853정성태9/21/201519481오류 유형: 308. 공백 문자를 포함한 계정명의 권한으로 Visual Studio 확장을 설치할 때 오류 발생
10852정성태9/17/201524526VC++: 92. C++ 생성자를 DLL로부터 동적 로드해 객체를 생성한다면? [2]파일 다운로드1
10851정성태9/15/201524271.NET Framework: 530. C# - 중위식을 후위식으로 변환하는 예제파일 다운로드1
10850정성태9/14/201522947.NET Framework: 529. C# - volatile 키워드로 인한 차이점을 발생시키는 예제 [1]파일 다운로드1
10849정성태9/14/201557053오류 유형: 307. CLR20r3 오류 해결을 위해 mscorlib.dll을 덮어쓸때 주의할 점 [12]
10848정성태9/8/201527426VS.NET IDE: 103. Visual Studio의 Ctrl + F5 실행 동작파일 다운로드1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