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Win32 Message를 Code로부터 메시지 이름 자체를 텍스트로 구하고 싶다면?

테스트를 하다 보면 가끔, C#에서 Win32 메시지를 다룰 때 코드값으로부터 메시지의 이름을 텍스트로 구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가령, Message 코드가 0x0010인 경우 그것은 "WM_CLOSE"에 해당하는데,

WM_CLOSE message
; https://docs.microsoft.com/en-us/windows/win32/winmsg/wm-close

이 값을 찾으려면 C++ 빈 프로젝트를 하나 열어 Windows.h 헤더 파일을 포함시킨 후 winuser.h 파일로부터 그 값에 해당하는 메시지를 찾는 식으로 작업을 했는데요.

오늘은 갑자기 그게 귀찮다는 생각이 드는군요. ^^; 차라리, dictionary 타입으로 미리 구성해 놓고 싶어졌습니다. 가령 WinUser.h 파일을 보면,

...[생략]...
#define WM_SETTEXT                      0x000C
#define WM_GETTEXT                      0x000D
#define WM_GETTEXTLENGTH                0x000E
#define WM_PAINT                        0x000F
#define WM_CLOSE                        0x0010
...[생략]...

위와 같은 식인데, 따라서 라인 하나를 읽어서 공백 문자로 분리한 후 3번째 숫자 값을 기준으로 2번째 WM_ 문자열을 매핑시켜 놓으면 되는 것입니다. 실제로 아래와 같은 정도로 간단하게 구할 수 있습니다.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sb.AppendLine("public class Win32MessageMap");
        sb.AppendLine("{");

        {
            sb.AppendLine("\tpublic static Dictionary<uint, string> codes = new ()");
            sb.AppendLine("{");
            foreach (string line in File.ReadAllLines(@"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10\Include\10.0.22000.0\um\WinUser.h"))
            {
                string text = line.Trim();

                if (text.StartsWith("#define ") == false)
                {
                    continue;
                }

                string[] tokens = text.Split(' ', StringSplitOptions.RemoveEmptyEntries);
                if (tokens.Length != 3)
                {
                    continue;
                }

                if (tokens[1].StartsWith("WM_") == false)
                {
                    continue;
                }

                sb.AppendLine($"\t\t[{tokens[2]}] = \"{tokens[1]}\",");
            }

            sb.AppendLine("\t};");

        }
        sb.AppendLine("}");

        Console.WriteLine(sb.ToString());
    }
}

그럼 다음과 같은 텍스트가 구해지므로,

public class Win32MessageMap
{
    public static Dictionary codes = new()
    {
        [0x0000] = "WM_NULL",
        [0x0001] = "WM_CREATE",
        [0x0002] = "WM_DESTROY",
        [0x0003] = "WM_MOVE",
        [0x0005] = "WM_SIZE",
        [0x0006] = "WM_ACTIVATE",
        [0x0007] = "WM_SETFOCUS",
        ...[생략]...
        [0x0360] = "WM_AFXFIRST",
        [0x037F] = "WM_AFXLAST",
        [0x0380] = "WM_PENWINFIRST",
        [0x038F] = "WM_PENWINLAST",
        [0x8000] = "WM_APP",
        [0x0400] = "WM_USER",
    };
}

복사해서 붙여넣기 하면 됩니다. ^^ 단지, 유일하게 하나의 예외 케이스가 나오는데요,

#if(WINVER >= 0x0400)
#define WM_SETTINGCHANGE                WM_WININICHANGE
#endif /* WINVER >= 0x0400 */

위와 같은 경우 다음과 같이 출력이 되는데,

[0x001A] = "WM_WININICHANGE",
[WM_WININICHANGE] = "WM_SETTINGCHANGE",
[0x001B] = "WM_DEVMODECHANGE",

WINVER이 0x0400이라는 것은 WIN NT 4.0 버전을 의미하는데요, 따라서 근래에는 WM_WININICHANGE의 의미보다는 WM_SETTINGCHANGE가 더 맞으므로 그 부분만 이렇게 바꿔주면 되겠습니다.

// [0x001A] = "WM_WININICHANGE",
[0x001A] = "WM_SETTINGCHANGE",




기왕 하는 김에 Win32 메시지만을 담은 enum도 이런 식으로 나오게 출력할 수 있습니다.

public enum Win32Message : uint
{
    // ...[생략]...
    WM_IME_COMPOSITION = 0x010F,
    WM_IME_KEYLAST = 0x010F,
    WM_INITDIALOG = 0x0110,
    // ...[생략]...
}

위와 같이 enum을 생성하는 경우에는 이런 문제가 있습니다.

#if(_WIN32_WINNT >= 0x0501)
#define WM_UNICHAR                      0x0109
#define WM_KEYLAST                      0x0109
#define UNICODE_NOCHAR                  0xFFFF
#else
#define WM_KEYLAST                      0x0108

_WIN32_WINNT 값이 0x0501이, 5.1 버전으로 Windows XP 이상을 의미하니까, 역시 WM_KEYLAST 값도 0x0109로 맞춰주시면 됩니다.

마찬가지로 WM_MOUSELAST 값도,

#if (_WIN32_WINNT >= 0x0600)
#define WM_MOUSELAST                    0x020E
#elif (_WIN32_WINNT >= 0x0500)
#define WM_MOUSELAST                    0x020D
#elif (_WIN32_WINNT >= 0x0400) || (_WIN32_WINDOWS > 0x0400)
#define WM_MOUSELAST                    0x020A
#else
#define WM_MOUSELAST                    0x0209
#endif /* (_WIN32_WINNT >= 0x0600) */

_WIN32_WINNT 값이 0x0600은, 6.0 버전으로 Windows Vista와 Windows Server 2008에 해당하니까, 역시 근래의 환경을 생각하면 0x020E로 맞추면 되겠습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에서 생성한 enum과 Dictionary 클래스 코드와, 그것을 생성하는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참고로, 테스트를 하다 보면 Message 코드 값이 C0F4와 같은 값이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 경우는 RegisterWindowMessage를 이용해 등록한,

RegisterWindowMessage
; https://docs.microsoft.com/en-us/windows/win32/api/winuser/nf-winuser-registerwindowmessagea

0xC000-0xFFFF 범위의 사용자 정의 메시지일 수 있습니다.




위의 코드를 담아서 일일이 쓰기 귀찮은 분은, 해당 코드와 관련된 helper 클래스를 nuget 패키지에 추가했으니,

Install-Package CustomMessageLoop -Version 1.0.2

이런 용도로 쓰면 되겠습니다. ^^

void OnThreadFilterMessage(ref System.Windows.Interop.MSG msg, ref bool handled)
{
    switch (msg.message)
    {
        case (int)Win32Message.WM_CLOSE:
            break;
    }

    string text = Win32MessageMap.GetText(msg.message);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21/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183정성태3/11/202017695오류 유형: 601. Warning: DsGetDcName returned information for \\[...], when we were trying to reach [...].
12182정성태3/11/202019202.NET Framework: 901. C# Windows Forms - Vista/7 이후의 Progress Bar 업데이트가 느린 문제파일 다운로드1
12181정성태3/11/202019475기타: 76. 재현 가능한 최소한의 예제 프로젝트란? - 두 번째 예제파일 다운로드1
12180정성태3/10/202015941오류 유형: 600. "Docker Desktop for Windows" - EXPOSE 포트가 LISTENING 되지 않는 문제
12179정성태3/10/202027673개발 환경 구성: 481. docker - PostgreSQL 컨테이너 실행
12178정성태3/10/202019732개발 환경 구성: 480. Linux 운영체제의 docker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1]
12177정성태3/9/202018952개발 환경 구성: 479. docker - MySQL 컨테이너 실행
12176정성태3/9/202018466개발 환경 구성: 478. 파일의 (sha256 등의) 해시 값(checksum) 확인하는 방법
12175정성태3/8/202018500개발 환경 구성: 477. "Docker Desktop for Windows"의 "Linux Container" 모드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12174정성태3/7/202017891개발 환경 구성: 476. DockerDesktopVM의 파일 시스템 접근 [3]
12173정성태3/7/202019195개발 환경 구성: 475. docker - SQL Server 2019 컨테이너 실행 [1]
12172정성태3/7/202023740개발 환경 구성: 474. docker - container에서 root 권한 명령어 실행(sudo)
12171정성태3/6/202018858VS.NET IDE: 143. Visual Studio - ASP.NET Core Web Application의 "Enable Docker Support" 옵션으로 달라지는 점 [1]
12170정성태3/6/202016880오류 유형: 599. "Docker Desktop is switching..." 메시지와 DockerDesktopVM CPU 소비 현상
12169정성태3/5/202019386개발 환경 구성: 473. Windows nanoserver에 대한 docker pull의 태그 사용 [1]
12168정성태3/5/202020564개발 환경 구성: 472. 윈도우 환경에서의 dockerd.exe("Docker Engine" 서비스)가 Linux의 것과 다른 점
12167정성태3/5/202019030개발 환경 구성: 471. C# -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서 DB2 Express-C 데이터베이스 사용 (3) - ibmcom/db2express-c 컨테이너 사용
12166정성태3/4/202019405개발 환경 구성: 470. Windows Server 컨테이너 - DockerMsftProvider 모듈을 이용한 docker 설치
12165정성태3/2/202018372.NET Framework: 900.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 CLR Injection: Runtime Method Replacer 개선 - 네 번째 이야기(Monitor.Enter 후킹)파일 다운로드1
12164정성태2/29/202019486오류 유형: 598. Surface Pro 6 - Windows Hello Face Software Device가 인식이 안 되는 문제
12163정성태2/27/202017817.NET Framework: 899. 익명 함수를 가리키는 delegate 필드에 대한 직렬화 문제
12162정성태2/26/202021664디버깅 기술: 166. C#에서 만든 COM 객체를 C/C++로 P/Invoke Interop 시 메모리 누수(Memory Leak) 발생 [6]파일 다운로드2
12161정성태2/26/202017644오류 유형: 597. manifest - The value "x64" of attribute "processorArchitecture" in element "assemblyIdentity" is invalid.
12160정성태2/26/202018151개발 환경 구성: 469. Reg-free COM 개체 사용을 위한 manifest 파일 생성 도구 - COMRegFreeManifest
12159정성태2/26/202015206오류 유형: 596. Visual Studio - The project needs to include ATL support
12158정성태2/25/202017750디버깅 기술: 165. C# - Marshal.GetIUnknownForObject/GetIDispatchForObject 사용 시 메모리 누수(Memory Leak) 발생파일 다운로드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