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1187. RDP 접속 시 WPF UserControl의 Unloaded 이벤트 발생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7335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RDP 접속 시 WPF UserControl의 Unloaded 이벤트 발생

재미있는 질문이 있군요. ^^

Remote Desktop으로 접속시 WPF UI 가 다시 그려지는 이벤트를 막을 수 없을까요?
; https://www.sysnet.pe.kr/3/0/5632

질문하신 분이 부연 설명을 댓글로 하고 있는데요, 간단하게 재현을 해볼까요? ^^

아래와 같이 WPF UserControl을 추가하고 Unloaded를 걸어둔 후,

using CustomMessageLoop;
using System;
using System.Threading;
using System.Windows;
using System.Windows.Controls;
using System.Windows.Interop;

namespace WpfControlLibrary1
{
    public partial class UserControl1 : UserControl
    {
        public UserControl1()
        {
            InitializeComponent();

            this.Unloaded += UserControl1_Unloaded;
        }

        private void UserControl1_Unloaded(object sender, RoutedEventArgs e)
        {
            MessageBox.Show($"TEST: {Environment.StackTrace}");
        }
    }
}

RDP로 연결한 환경에서 실행해 둡니다. 그런 다음 RDP 연결을 끊고, 다시 접속을 하면... ^^ 화면에는 다음과 같은 식의 호출 스택이 뜨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at System.Environment.get_StackTrace()
at WpfControlLibrary1.UserControl1.UserControl1_Unloaded(Object sender, RoutedEventArgs e) in C:\...\WpfControlLibrary1\UserControl1.xaml.cs:line 33
at System.Windows.EventRoute.InvokeHandlersImpl(Object source, RoutedEventArgs args, Boolean reRaised)
at System.Windows.UIElement.RaiseEventImpl(DependencyObject sender, RoutedEventArgs args)
at System.Windows.UIElement.RaiseEvent(RoutedEventArgs e)
at System.Windows.BroadcastEventHelper.BroadcastEvent(DependencyObject root, RoutedEvent routedEvent)
at System.Windows.BroadcastEventHelper.BroadcastUnloadedEvent(Object root)
at System.Windows.Media.MediaContext.FireLoadedPendingCallbacks()
at System.Windows.Media.MediaContext.FireInvokeOnRenderCallbacks()
at System.Windows.Media.MediaContext.RenderMessageHandlerCore(Object resizedCompositionTarget)
at System.Windows.Media.MediaContext.RenderMessageHandler(Object resizedCompositionTarget)
at System.Windows.Threading.ExceptionWrapper.InternalRealCall(Delegate callback, Object args, Int32 numArgs)
at System.Windows.Threading.ExceptionWrapper.TryCatchWhen(Object source, Delegate callback, Object args, Int32 numArgs, Delegate catchHandler)
at System.Windows.Threading.DispatcherOperation.InvokeImpl()
at MS.Internal.CulturePreservingExecutionContext.CallbackWrapper(Object obj)
at 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RunInternal(ExecutionContext executionContext, ContextCallback callback, Object state)
at MS.Internal.CulturePreservingExecutionContext.Run(CulturePreservingExecutionContext executionContext, ContextCallback callback, Object state)
at System.Windows.Threading.DispatcherOperation.Invoke()
at System.Windows.Threading.Dispatcher.ProcessQueue()
at System.Windows.Threading.Dispatcher.WndProcHook(IntPtr hwnd, Int32 msg, IntPtr wParam, IntPtr lParam, Boolean& handled)
at MS.Win32.HwndWrapper.WndProc(IntPtr hwnd, Int32 msg, IntPtr wParam, IntPtr lParam, Boolean& handled)
at MS.Win32.HwndSubclass.DispatcherCallbackOperation(Object o)
at System.Windows.Threading.ExceptionWrapper.InternalRealCall(Delegate callback, Object args, Int32 numArgs)
at System.Windows.Threading.ExceptionWrapper.TryCatchWhen(Object source, Delegate callback, Object args, Int32 numArgs, Delegate catchHandler)
at System.Windows.Threading.Dispatcher.LegacyInvokeImpl(DispatcherPriority priority, TimeSpan timeout, Delegate method, Object args, Int32 numArgs)
at MS.Win32.HwndSubclass.SubclassWndProc(IntPtr hwnd, Int32 msg, IntPtr wParam, IntPtr lParam)
at MS.Win32.UnsafeNativeMethods.DispatchMessage(MSG& msg)
at MS.Win32.UnsafeNativeMethods.DispatchMessage(MSG& msg)
at System.Windows.Threading.Dispatcher.PushFrameImpl(DispatcherFrame frame)
at System.Windows.Threading.Dispatcher.PushFrame(DispatcherFrame frame)
at System.Windows.Threading.Dispatcher.Run()
at System.Windows.Application.RunDispatcher(Object ignore)
at System.Windows.Application.RunInternal(Window window)
at System.Windows.Application.Run()
at WpfApp1.App.Main()

그러니까, RDP 재접속만으로 UserControl이 내려갔다 다시 올라오는 것입니다. 오~~~ 신기하군요. ^^




일단, 저걸 막는 방법은 없습니다. 보는 바와 같이 마이크로소프트의 내부 구현으로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딱히 저걸 손볼 여지가 없습니다.

단지, 약간의 테스트는 할 수 있는데요, 호출 스택을 보면 MS.Win32.HwndWrapper.WndProc 메서드가 보이는 걸로 봐서, 분명히 이것은 Win32 메시지와 관련된 것임을 짐작게 합니다.

따라서, 아마도 특정 메시지를 무시하면 될 것도 같은데요, 이를 위해 ThreadFilterMessage를 이용해,

WPF - 윈도우 이벤트 가로채기
; https://www.sysnet.pe.kr/2/0/772

이런 식으로 걸어두면 어떨까요?

public UserControl1()
{
    InitializeComponent();
    timer.Change(0, 1000);

    this.Unloaded += UserControl1_Unloaded;

    ComponentDispatcher.ThreadFilterMessage += new ThreadMessageEventHandler(ComponentDispatcher_ThreadFilterMessage);
}

private void UserControl1_Unloaded(object sender, RoutedEventArgs e)
{
    ComponentDispatcher.ThreadFilterMessage -= new ThreadMessageEventHandler(ComponentDispatcher_ThreadFilterMessage);
    MessageBox.Show($"TEST: {Environment.StackTrace}");
}

RDP 재접속 시 발생하는 이벤트를 기록해 보면,

void ComponentDispatcher_ThreadFilterMessage(ref System.Windows.Interop.MSG msg, ref bool handled)
{
    string txt = $"[{this.GetHashCode()}] msg == {Win32MessageMap.GetText(msg.message)}, {msg.wParam}, {msg.lParam}, {msg.time}, {msg.ToString()}";
    using (var w = File.AppendText("C:\\temp\\test.txt"))
    {
        w.WriteLine(txt);
    }
}

몇몇 메시지들이 보일 텐데요, 해당 메시지들의 실행을 다음과 같은 식으로 막으면서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void ComponentDispatcher_ThreadFilterMessage(ref System.Windows.Interop.MSG msg, ref bool handled)
{
    uint code = (uint)msg.message;

    if (code == (uint)Win32Message.WM_WTSSESSION_CHANGE)
    {
        handled = true;
    }
}

다소 무식하지만... ^^ 저런 방법으로 범인을 찾다 보면 정규 Win32 메시지가 아닌, 0xc0eb 값의 특별한 메시지를 막는 경우 UserControl의 Unloaded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void ComponentDispatcher_ThreadFilterMessage(ref System.Windows.Interop.MSG msg, ref bool handled)
{
    if (msg.message == 0xc0eb)
    {
        // 이후, Unloaded가 발생하지 않음.
        handled = true;
    }
}

문제는, (RDP 환경에서) 이후로는 응용 프로그램의 컨트롤들이 동작하지 않습니다. 게다가 응용 프로그램을 종료해도 윈도우만 닫히고 프로세스는 종료가 안 됩니다.

어떤 메시지가 원인인지는 추적했지만, 결국 WPF 프레임워크상 필요해서 만들었을 테니... 저걸 외부 개발자가 막기에는 정보가 너무 없습니다. ^^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21/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0865정성태10/13/201526355.NET Framework: 536. Thread.Abort의 스레드 종료 지연파일 다운로드1
10864정성태10/12/201523960.NET Framework: 535. aspnet.config 파일의 설정을 읽는 방법
10863정성태10/9/201529751.NET Framework: 534. ASP.NET 응용 프로그램이 예외로 프로세스가 종료된다면?
10862정성태10/9/201527842오류 유형: 310. 비주얼 스튜디오 - Unspecified error (Exception from HRESULT: 0x80004005 (E_FAIL))
10861정성태10/9/201532580기타: 54. 도서: 시작하세요! C# 6.0 프로그래밍: 기본 문법부터 실전 예제까지 (2)
10860정성태10/5/201531086개발 환경 구성: 277. IIS AppPool의 시작/중단에 대한 이벤트 로그 확인 방법
10859정성태10/5/201530122.NET Framework: 533. C#에서 string 형식이 primitive일까요? [6]
10858정성태10/2/201526729VS.NET IDE: 105. Visual Studio의 단위 테스트 작성 시 Fakes를 이용한 메서드 재정의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0857정성태10/1/201524204VS.NET IDE: 104. Visual C++ 프로젝트의 빌드 이벤트에서 환경 변수 사용하는 방법
10856정성태9/30/201536360.NET Framework: 532. WPF DataGrid의 데이터 바인딩 시 리플렉션의 부하는 어느 정도일까요?파일 다운로드1
10855정성태9/30/201524766.NET Framework: 531. C# - XSLT 내의 javascript에 전달한 XML 노드의 타입은?
10854정성태9/30/201524031오류 유형: 309. C# - 포인터를 쓰는 경우 VerificationException이 발생한다면?
10853정성태9/21/201523526오류 유형: 308. 공백 문자를 포함한 계정명의 권한으로 Visual Studio 확장을 설치할 때 오류 발생
10852정성태9/17/201528913VC++: 92. C++ 생성자를 DLL로부터 동적 로드해 객체를 생성한다면? [2]파일 다운로드1
10851정성태9/15/201527703.NET Framework: 530. C# - 중위식을 후위식으로 변환하는 예제파일 다운로드1
10850정성태9/14/201527444.NET Framework: 529. C# - volatile 키워드로 인한 차이점을 발생시키는 예제 [1]파일 다운로드1
10849정성태9/14/201561617오류 유형: 307. CLR20r3 오류 해결을 위해 mscorlib.dll을 덮어쓸때 주의할 점 [12]
10848정성태9/8/201530285VS.NET IDE: 103. Visual Studio의 Ctrl + F5 실행 동작파일 다운로드1
10847정성태9/8/201527985VS.NET IDE: 102. 목록(List) 타입의 값을 디버깅 중 Watch 창에서 확인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0846정성태9/8/201524146오류 유형: 306. "query user" 명령어에 공백 문자가 포함된 계정을 전달하는 경우
10845정성태9/3/201525892오류 유형: 305. 윈도우 백업 시 오류 - 0x80780166
10844정성태9/2/201526451.NET Framework: 528. C# - 상호 참조하는 경우의 정적 생성자 동작 방식 [4]파일 다운로드1
10843정성태9/1/201526521VS.NET IDE: 101. Visual Studio 2015의 솔루션 탐색기가 클래스 뷰 정보로 인해 느려지는 현상
10842정성태9/1/201524271.NET Framework: 527. 닷넷 사용자 정의 예외 클래스의 최소 구현 코드 - 세 번째 이야기
10841정성태8/31/201534272개발 환경 구성: 276. Visual Studio 2013에서 C# 6과 닷넷 4.6 기능을 사용하려면?
10839정성태8/22/201532805Windows: 112. 윈도우 10에서 터치 키보드를 안 뜨게 할 수 있는 방법 [5]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