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Windows: 201. Windows - INF 파일을 이용한 장치 제거 방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0310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Windows - INF 파일을 이용한 장치 제거 방법

Windows 11로 업데이트를 하는 중에, "C:\$WINDOWS.~BT\Sources\Panther" 디렉터리에 생성되는 "CompatData_[날짜_시간].xml" 파일에 다음의 내용이 있습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CompatReport xmlns="http://www.microsoft.com/ApplicationExperience/UpgradeAdvisor/01012009" MigXmlFile="FIuAiWjNpESBtTb8.9.24.0.0_APPRAISER_Migration.xml"><System X64Capable="True" X64Running="True"/><Hardware><HardwareItem HardwareType="Setup_BitlockerNoTargetSupport"><CompatibilityInfo BlockingType="None"/></HardwareItem><HardwareItem HardwareType="Setup_TargetIsNonStagedBuild"><CompatibilityInfo BlockingType="None"/></HardwareItem><HardwareItem HardwareType="Setup_LanguagePackDetected"><CompatibilityInfo BlockingType="None"/></HardwareItem><HardwareItem HardwareType="Setup_LicenseActivation"><CompatibilityInfo BlockingType="None"/></HardwareItem><HardwareItem HardwareType="Setup_FeaturesOnDemandDetected"><CompatibilityInfo BlockingType="None"/></HardwareItem><HardwareItem HardwareType="Setup_FlightSigningEnabled"><CompatibilityInfo BlockingType="None"/></HardwareItem><HardwareItem HardwareType="Setup_SecureBoot"><CompatibilityInfo BlockingType="None"/></HardwareItem><HardwareItem HardwareType="Generic">
            <CompatibilityInfo BlockingType="Hard" Message="Your PC has hardware that isn't ready for this version of Windows. Windows Update will automatically offer you this version of Windows once the issue has been resolved." Title="This PC can't be upgraded to this version of Windows."/>
            <Link Target="https://go.microsoft.com/fwlink/?LinkId=2183543" Value="Learn More"/>
        </HardwareItem>
    </Hardware><SystemInfo UplevelEdition="Windows 10" OSMajorVersion="10" OSMinorVersion="0"/>
    <Devices/>
    <DriverPackages>
        <DriverPackage Inf="oem51.inf" BlockMigration="False" HasSignedBinaries="True"/>
        <DriverPackage Inf="oem50.inf" BlockMigration="False" HasSignedBinaries="True"/>
        <DriverPackage Inf="oem6.inf" BlockMigration="False" HasSignedBinaries="True"/>
        <DriverPackage Inf="oem38.inf" BlockMigration="False" HasSignedBinaries="True"/>
        <DriverPackage Inf="oem37.inf" BlockMigration="False" HasSignedBinaries="True"/>
        <DriverPackage Inf="oem49.inf" BlockMigration="False" HasSignedBinaries="True"/>
        <DriverPackage Inf="oem17.inf" BlockMigration="False" HasSignedBinaries="True"/>
        <DriverPackage Inf="oem19.inf" BlockMigration="False" HasSignedBinaries="True"/>
        <DriverPackage Inf="oem53.inf" BlockMigration="False" HasSignedBinaries="True"/>
        <DriverPackage Inf="oem52.inf" BlockMigration="False" HasSignedBinaries="True"/>
        <DriverPackage Inf="oem26.inf" BlockMigration="False" HasSignedBinaries="True"/>
        <DriverPackage Inf="oem40.inf" BlockMigration="False" HasSignedBinaries="True"/>
        <DriverPackage Inf="oem11.inf" BlockMigration="False" HasSignedBinaries="True"/>
        <DriverPackage Inf="oem1.inf" BlockMigration="True" HasSignedBinaries="False"/>
        <DriverPackage Inf="oem0.inf" BlockMigration="True" HasSignedBinaries="False"/>
        <DriverPackage Inf="oem33.inf" BlockMigration="False" HasSignedBinaries="True"/>
        <DriverPackage Inf="oem7.inf" BlockMigration="False" HasSignedBinaries="True"/>
        <DriverPackage Inf="oem41.inf" BlockMigration="False" HasSignedBinaries="True"/>
        <DriverPackage Inf="oem10.inf" BlockMigration="False" HasSignedBinaries="True"/>
    </DriverPackages>
    <Programs/>
</CompatReport>

해당 INF 장치를 확인해 보면, 각각 "Microsoft Print To PDF", "Microsoft XPS Document Writer v4"로 별거 아닌 듯합니다. 하지만 그래도 BlockMigration 조건에 걸린다고 하니 찝찝해서 제거를 하고 싶었는데요, 검색해보면 아래의 글이 나옵니다.

Uninstalling inf files related to a driver file
; https://www.codeproject.com/Articles/440648/Uninstalling-inf-files-related-to-a-driver-file

setupapi.dll을 이용하는 방법인데요, 가령 다음과 같이 실행했더니,

c:\temp> RUNDLL32.EXE SETUPAPI.DLL,InstallHinfSection DefaultUninstall 132 C:\Windows\INF\oem0.inf

"Installation failed." 창이 뜹니다. 음... 가만 보니까 일반 사용자 권한으로 했군요. ^^ 다시 "관리자 권한"의 cmd.exe에서 실행하면 아무런 오류 메시지 없이, 그렇다고 성공 메시지도 없이 끝났습니다.

그런데, 실제로 해당 INF 파일은 그대로 있습니다. 게다가 윈도우 11 업그레이드를 다시 시도했더니 여전히 compat xml 파일에는 저 내용이 그대로 있었습니다. 그래서 다른 방법을 찾아봤는데요, pnputil.exe 사용법이 나오는군요. ^^

pnputil
; https://docs.microsoft.com/en-us/windows-server/administration/windows-commands/pnputil

그래서 2개의 inf 파일을 다음의 명령어로 삭제했습니다.

C:\Windows\System32> pnputil -f -d oem0.inf
Microsoft PnP Utility

Driver package deleted successfully.


C:\Windows\System32> pnputil -f -d oem1.inf
Microsoft PnP Utility

Driver package deleted successfully.

이후로 compat xml에 저 항목은 더 이상 보이지 않는 걸로 봐서 삭제는 잘 되었습니다. 그래도 윈도우 11 업그레이드는 실패하는데요, 일단 INF 파일을 이용한 장치 제거를 할 수 있다는 것에 만족해야겠습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31/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328정성태8/20/200639380개발 환경 구성: 8. AppVerifier 사용법 [1]
327정성태8/16/200636123개발 환경 구성: 7. ActiveX 서명 과정 자동화 [1]
326정성태8/16/200630002Team Foundation Server: 13. Sysnet 웹 사이트 TFS Migration
322정성태8/15/200624802개발 환경 구성: 6. 4GB 메모리 구성 [1]
316정성태9/20/200644444디버깅 기술: 6. .NET 예외 처리 정리 [6]
309정성태12/27/200645225디버깅 기술: 5. PDB 이야기 [7]
310정성태8/5/200632150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WinForm + Library 유형의 프로젝트파일 다운로드1
311정성태8/10/200632100    답변글 디버깅 기술: 5.2.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NET 2.0 Web Application Project + Library 유형의 프로젝트
312정성태8/5/200634360    답변글 디버깅 기술: 5.3.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NET 2.0 Web Site Model 유형의 프로젝트
313정성태8/12/200633322    답변글 디버깅 기술: 5.4. VS.NET 2005 디버그 모드에서의 PDB 파일 사용 차이 (1)
317정성태8/12/200630484    답변글 디버깅 기술: 5.5. VS.NET 2005 디버그 모드에서의 PDB 파일 사용 차이 (2)
318정성태8/12/200637142    답변글 디버깅 기술: 5.6. VS.NET 2005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1)
319정성태8/12/200632135    답변글 디버깅 기술: 5.7. VS.NET 2005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2) [1]
320정성태8/12/200636205    답변글 디버깅 기술: 5.8. WinDBG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1]
321정성태8/13/200641092    답변글 디버깅 기술: 5.9. Microsoft의 PDB 파일 관리
323정성태8/15/200642316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0. Symbol Server 생성 [4]
324정성태8/15/200638485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1. PDB 파일과 소스 코드
325정성태9/8/200631572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2. CCP를 이용한 Windows Source Code 수준의 디버깅
329정성태8/19/200630259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3. 소스 서버 구성 [1]
332정성태8/20/200631899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4. GAC 에 등록된 Assembly 디버그 [2]
341정성태9/16/200624142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5. [내용 예약]
342정성태9/16/200642034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6. ASP.NET 디버깅 환경 구성 [1]파일 다운로드1
306정성태2/13/200721207기타: 15. .NET 이 생산성이 높다는 증거(!)
304정성태7/21/200623412VS.NET IDE: 41. 하위 폴더의 모든 프로젝트의 출력물을 제거 (Clean)
305정성태7/21/200623162    답변글 VS.NET IDE: 41.1. 하위 폴더의 모든 프로젝트의 출력물을 제거 (Clean) [1]
303정성태7/20/200621041Team Foundation Server: 12. 사용자 계정 재생성에 따른 Version Control 영향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