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윈도우 11 업그레이드 - "PC Health Check"를 통과했지만 여전히 업그레이드가 안 되는 경우 해결책

주의 사항: 이 글에서 쓴 방법이 효과는 있겠지만, 어떤 부작용이 있을지는 알 수 없습니다. 따라서 그 점을 감안해 업그레이드 진행을 "스스로" 선택해야 합니다.




이상하군요, UEFI / Secure Boot 설정도,

UEFI / Secure Boot 상태인지 확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212

이렇게 되어 있고,

win11_upgrade_3.png

하드 디스크도 GPT 파티션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C:\Windows\System32> diskpart

Microsoft DiskPart version 10.0.19041.964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On computer: TESTPC

DISKPART> list disk

  Disk ###  Status         Size     Free     Dyn  Gpt
  --------  -------------  -------  -------  ---  ---
  Disk 0    Online         1863 GB  1024 KB        *
  Disk 1    Online          953 GB  1024 KB        *

DISKPART> exit

Leaving DiskPart...

C:\Windows\System32> powershell
Windows PowerShell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Try the new cross-platform PowerShell https://aka.ms/pscore6

PS C:\Windows\System32> Confirm-SecureBootUEFI
True

PS C:\Windows\System32> Get-SecureBootPolicy

Publisher                            Version
---------                            -------
77fa9abd-0359-4d32-bd60-28f4e78f784b       1

그런데도, Windows 11 업그레이드를 위해 setup.exe를 실행, 진행하면 다음과 같은 메시지와 함께 막힙니다.

win11_upgrade_1.png

This PC can't be upgraded to this version of Windows.

Your PC has hardware that isn't ready for this version of Windows. Windows Update will automatically offer you this version of Windows once the issue has been resolved.

혹시 몰라 "PC Health Check"를 해봤지만,

PC Health Check
; https://aka.ms/GetPCHealthCheckApp

이렇게 모든 게 정상적입니다. ^^;

win11_upgrade_4.png




이와 관련해 검색해 보면 다음의 글이 나옵니다.

Windows 11 upgrade fails at 35% even though it passes the PC Health Check - "Your PC has hardware that isn't ready for this version of Windows"
; https://docs.microsoft.com/en-us/answers/questions/731078/windows-11-upgrade-fails-at-35-even-though-it-pass.html

위의 덧글에 따라, "C:\$WINDOWS.~BT\Sources\Panther" 디렉터리로 이동하면 "compatscancache.dat" 파일이 보일 것입니다. 그 파일을 삭제하면 된다는 것인데요, 위의 글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은 식입니다.

  1. setup.exe를 실행해 Windows 11 업그레이드 시작
  2. "This PC can't be upgraded to this version of Windows." 오류가 발생하는 단계까지 진행 (위의 Windows 11 Setup 이미지 참조)
  3. 그 상태에서 탐색기를 실행시켜 compatscancache.dat 파일을 삭제
  4. 방금 전 실패했던 상황에서 "Refresh" 버튼을 눌러 진행

그럼, 언제 그랬냐는 듯이 윈도우 11 업데이트가 진행됩니다. ^^; 실제로 제 경우에 저렇게 해서 성공적으로 설치를 했고 현재 문제가 없는 상태입니다. compatscancache.dat 파일의 어떤 것으로 인해 진행을 못한 것인지는 알 수 없으나, 어쨌든 이것은 어떤 문제가 있었던 것인지 확인할 수 없는 상태에서 업그레이드를 진행한 것이므로 여러분들의 경우에도 이 방법이 100% 통할지는 장담할 수 없습니다.




참고로, C:\$WINDOWS.~BT\Sources\Panther 디렉터리에 가보면 좀 더 자세한 오류 상황을 "CompatData_[날짜]_[시간].xml" 파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에 관해서는 지난 글에 설명을 했는데요,

Windows - INF 파일을 이용한 장치 제거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021

제 경우에는 그 파일의 BlockMigration 원인을 모두 해결했어도 윈도우 11 업그레이드 진행이 안 됐습니다.
/p>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1/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358정성태11/15/201726720사물인터넷: 9. Visual Studio 2017에서 Raspberry Pi C++ 응용 프로그램 제작 [1]
11357정성태11/15/201727220개발 환경 구성: 336. 윈도우 10 Bash 쉘에서 C++ 컴파일하는 방법
11356정성태11/15/201728826사물인터넷: 8.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 + 키보드로 쓰는 방법 [4]
11355정성태11/15/201724515사물인터넷: 7.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로 쓰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2
11354정성태11/14/201728766사물인터넷: 6.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키보드로 쓰는 방법 [8]
11353정성태11/14/201725917사물인터넷: 5.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이더넷 카드로 쓰는 방법 [1]
11352정성태11/14/201722049사물인터넷: 4. Samba를 이용해 윈도우와 Raspberry Pi간의 파일 교환 [1]
11351정성태11/7/201725244.NET Framework: 698. C# 컴파일러 대신 직접 구현하는 비동기(async/await) 코드 [6]파일 다운로드1
11350정성태11/1/201721240디버깅 기술: 108. windbg 분석 사례 - Redis 서버로의 호출을 기다리면서 hang 현상 발생
11349정성태10/31/201721757디버깅 기술: 107. windbg - x64 SOS 확장의 !clrstack 명령어가 출력하는 Child SP 값의 의미 [1]파일 다운로드1
11348정성태10/31/201718187디버깅 기술: 106. windbg - x64 역어셈블 코드에서 닷넷 메서드 호출의 인자를 확인하는 방법
11347정성태10/28/201721806오류 유형: 424. Visual Studio - "클래스 다이어그램 보기" 시 "작업을 완료할 수 없습니다. 해당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오류 발생
11346정성태10/25/201718374오류 유형: 423. Windows Server 2003 - The client-side extension could not remove user policy settings for 'Default Domain Policy {...}' (0x8007000d)
11338정성태10/25/201716777.NET Framework: 697. windbg - SOS DumpMT의 "BaseSize", "ComponentSize" 값에 대한 의미파일 다운로드1
11337정성태10/24/201718932.NET Framework: 696. windbg - SOS DumpClass/DumpMT의 "Vtable Slots", "Total Method Slots", "Slots in VTable" 값에 대한 의미파일 다운로드1
11336정성태10/20/201719736.NET Framework: 695. windbg - .NET string의 x86/x64 메모리 할당 구조
11335정성태10/18/201718720.NET Framework: 694. 닷넷 - <Module> 클래스의 용도
11334정성태10/18/201719740디버깅 기술: 105. windbg - k 명령어와 !clrstack을 조합한 호출 스택을 얻는 방법
11333정성태10/17/201718896오류 유형: 422. 윈도우 업데이트 - Code 9C48 Windows update encountered an unknown error.
11332정성태10/17/201719824디버깅 기술: 104. .NET Profiler + 디버거 연결 + .NET Exceptions = cpu high
11331정성태10/16/201718155디버깅 기술: 103. windbg - .NET 4.0 이상의 환경에서 모든 DLL에 대한 심벌 파일을 로드하는 파이썬 스크립트
11330정성태10/16/201717445디버깅 기술: 102. windbg - .NET 4.0 이상의 환경에서 DLL의 심벌 파일 로드 방법 [1]
11329정성태10/15/201721640.NET Framework: 693. C# - 오피스 엑셀 97-2003 .xls 파일에 대해 32비트/64비트 상관없이 접근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328정성태10/15/201724531.NET Framework: 692. C# - 하나의 바이너리로 환경에 맞게 32비트/64비트 EXE를 실행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327정성태10/15/201718346.NET Framework: 691. AssemblyName을 .csproj에서 바꾼 경우 빌드 오류 발생하는 문제파일 다운로드1
11326정성태10/15/201718643.NET Framework: 690. coreclr 소스코드로 알아보는 .NET 4.0의 모듈 로딩 함수 [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