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24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1129.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인코딩 예제(encode_video.c) ; https://www.sysnet.pe.kr/2/0/12898 .NET Framework: 1134.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decode_video.c) ; https://www.sysnet.pe.kr/2/0/12924 .NET Framework: 1135. C# - ffmpeg(FFmpeg.AutoGen)로 하드웨어 가속기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hw_decode.c) ; https://www.sysnet.pe.kr/2/0/12932 .NET Framework: 1136.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해 MP2 오디오 파일 디코딩 예제(decode_audio.c) ; https://www.sysnet.pe.kr/2/0/12933 .NET Framework: 1137. ffmpeg의 파일 해시 예제(ffhash.c)를 C#으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35 .NET Framework: 1138.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해 멀티미디어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보여주는 예제(metadata.c) ; https://www.sysnet.pe.kr/2/0/12936 .NET Framework: 1139.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해 오디오(mp2) 인코딩하는 예제(encode_audio.c) ; https://www.sysnet.pe.kr/2/0/12937 .NET Framework: 1147.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오디오 필터링 예제(filtering_audio.c) ; https://www.sysnet.pe.kr/2/0/12951 .NET Framework: 1148.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오디오 필터 예제(filter_audio.c) ; https://www.sysnet.pe.kr/2/0/12952 .NET Framework: 115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decode_video.c)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2959 개발 환경 구성: 637.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decode_video.c) - 세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2960 .NET Framework: 1151.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프레임의 크기 및 포맷 변경 예제(scaling_video.c) ; https://www.sysnet.pe.kr/2/0/12961 .NET Framework: 1153.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avio_reading.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64 .NET Framework: 1157.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muxing.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71 .NET Framework: 1159.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qsvdec.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75 .NET Framework: 1161.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resampling_audio.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78 .NET Framework: 1166.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filtering_video.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84 .NET Framework: 1169.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demuxing_decoding.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87 .NET Framework: 117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transcode_aac.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91 .NET Framework: 1178.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http_multiclient.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3002 .NET Framework: 118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remuxing.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3006 .NET Framework: 1188.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transcoding.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3023 .NET Framework: 119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vaapi_encode.c, vaapi_transcode.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3025 .NET Framework: 1191. C 언어로 작성된 FFmpeg Examples의 C# 포팅 전체 소스 코드 ; https://www.sysnet.pe.kr/2/0/13026 C 언어로 작성된 FFmpeg Examples의 C# 포팅 전체 소스 코드 ffmpeg 공식 사이트에 나온 C 언어 예제를, FFmpeg - Examples ; https://ffmpeg.org/doxygen/trunk/examples.html 이제야 모두 C#으로 포팅을 했습니다.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avio_reading.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64 ; avio_reading.c - https://github.com/stjeong/ffmpeg_autogen_cs/tree/master/avio_reading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해 MP2 오디오 파일 디코딩 예제(decode_audio.c) ; https://www.sysnet.pe.kr/2/0/12933 ; decode_audio.c - https://github.com/stjeong/ffmpeg_autogen_cs/tree/master/decode_audio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decode_video.c) ; https://www.sysnet.pe.kr/2/0/12924 ; decode_video.c - https://github.com/stjeong/ffmpeg_autogen_cs/tree/master/decode_video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demuxing_decoding.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87 ; demuxing_decoding.c - https://github.com/stjeong/ffmpeg_autogen_cs/tree/master/demuxing_decoding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해 오디오(mp2) 인코딩하는 예제(encode_audio.c) ; https://www.sysnet.pe.kr/2/0/12937 ; encode_audio.c - https://github.com/stjeong/ffmpeg_autogen_cs/tree/master/encode_audio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인코딩 예제(encode_video.c) ; https://www.sysnet.pe.kr/2/0/12898 ; encode_video.c - https://github.com/stjeong/ffmpeg_autogen_cs/tree/master/encode_video ffmpeg의 파일 해시 예제(ffhash.c)를 C#으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35 ; ffhash.c - https://github.com/stjeong/ffmpeg_autogen_cs/tree/master/ffhash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오디오 필터 예제(filter_audio.c) ; https://www.sysnet.pe.kr/2/0/12952 ; filter_audio.c - https://github.com/stjeong/ffmpeg_autogen_cs/tree/master/filter_audio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오디오 필터링 예제(filtering_audio.c) ; https://www.sysnet.pe.kr/2/0/12951 ; filtering_audio.c - https://github.com/stjeong/ffmpeg_autogen_cs/tree/master/filtering_audio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filtering_video.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84 ; filtering_video.c - https://github.com/stjeong/ffmpeg_autogen_cs/tree/master/filtering_video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http_multiclient.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3002 ; http_multiclient.c - https://github.com/stjeong/ffmpeg_autogen_cs/tree/master/http_multiclient C# - ffmpeg(FFmpeg.AutoGen)로 하드웨어 가속기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hw_decode.c) ; https://www.sysnet.pe.kr/2/0/12932 ; hw_decode.c - https://github.com/stjeong/ffmpeg_autogen_cs/tree/master/hw_decode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해 멀티미디어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보여주는 예제(metadata.c) ; https://www.sysnet.pe.kr/2/0/12936 ; metadata.c - https://github.com/stjeong/ffmpeg_autogen_cs/tree/master/metadata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muxing.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71 ; muxing.c - https://github.com/stjeong/ffmpeg_autogen_cs/tree/master/muxing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qsvdec.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75 ; qsvdec.c - https://github.com/stjeong/ffmpeg_autogen_cs/tree/master/qsvdec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remuxing.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3006 ; remuxing.c - https://github.com/stjeong/ffmpeg_autogen_cs/tree/master/remuxing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resampling_audio.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78 ; resampling_audio.c - https://github.com/stjeong/ffmpeg_autogen_cs/tree/master/resampling_audio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프레임의 크기 및 포맷 변경 예제(scaling_video.c) ; https://www.sysnet.pe.kr/2/0/12961 ; scaling_video.c - https://github.com/stjeong/ffmpeg_autogen_cs/tree/master/scaling_video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transcode_aac.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2991 ; transcode_aac.c - https://github.com/stjeong/ffmpeg_autogen_cs/tree/master/transcode_aac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transcoding.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3023 ; transcoding.c - https://github.com/stjeong/ffmpeg_autogen_cs/tree/master/transcoding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vaapi_encode.c, vaapi_transcode.c 예제 포팅 ; https://www.sysnet.pe.kr/2/0/13025 ; vaapi_encode.c - https://github.com/stjeong/ffmpeg_autogen_cs/tree/master/vaapi_encode ; vaapi_transcode.c - https://github.com/stjeong/ffmpeg_autogen_cs/tree/master/vaapi_transcode 그리고, 모든 소스 코드는 아래의 github에 올려져 있습니다. stjeong / ffmpeg_autogen_cs ; https://github.com/stjeong/ffmpeg_autogen_cs (찾아보진 않았는데, 아마 다른 어떤 분도 C# 포팅을 한 repo를 공유하고 있을 것입니다. ^^;) 사실, C# 언어에서 포인터를 지원하기 때문에 C 코드를 거의 그대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딱히 어려운 작업은 아니어서 이렇게나 시간이 걸릴 일은 아니었는데, 개인적으로 너무 동영상 처리 분야를 몰라 학습 시간이 필요한 탓에 속도가 많이 더뎠습니다. 참고로, 제가 저걸 포팅했다고 해서 ffmpeg에 대해 전문가라고 착각하실 분이 계실지 몰라 미리 말씀드리자면, 저는 동영상 처리에 대해 거의 문외한에 가깝기 때문에 가능한 질문보다는 정보성 덧글을 (이렇게!) 달아주시길 바랍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다음 글] .NET Framework: 1192. C# - 환경 변수의 변화를 알리는 WM_SETTINGCHANGE Win32 메시지 사용법[이전 글] .NET Framework: 119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vaapi_encode.c, vaapi_transcode.c 예제 포팅 [연관 글] .NET Framework: 1145. C# - ffmpeg(FFmpeg.AutoGen) - Codec 정보 열람 및 사용 준비.NET Framework: 1148. C# - ffmpeg(FFmpeg.AutoGen) - decoding 과정 [최초 등록일: 4/11/2022] [최종 수정일: 4/11/2022]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2-07-12 11시01분 Run FFMPEG on the Windows Container; https://blog.devgenius.io/run-ffmpeg-on-the-windows-container-771fdabd5e00 정성태 2022-11-11 09시22분 jellyfin/jellyfin - The Free Software Media System; https://github.com/jellyfin/jellyfinBuild Your Own Video Streaming Server with Node.js and Koa; https://www.codeproject.com/Articles/5350209/Build-Your-Own-Video-Streaming-Server-with-Node-jsRemove noise from voice recordings with speech enhancement; https://podcast.adobe.com/enhance 정성태 2023-03-17 01시53분 UPDATE: This tutorial is up to date as of February 2015.; http://dranger.com/ffmpeg/leandromoreira/ffmpeg-libav-tutorial; https://github.com/leandromoreira/ffmpeg-libav-tutorial/blob/master/README-ko.mdFFmpeg 강좌; http://www.soen.kr/lecture/library/FFmpeg/FFmpeg.htm 정성태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126정성태9/15/202217944.NET Framework: 2049. C# 11 - 정적 메서드에 대한 delegate 처리 시 cache 적용13125정성태9/14/202218215.NET Framework: 2048. C# 11 - 구조체 필드의 자동 초기화(auto-default structs)13124정성태9/13/202218834.NET Framework: 2047. Golang, Python, C#에서의 CRC32 사용13123정성태9/8/202218544.NET Framework: 2046. C# 11 - 멤버(속성/필드)에 지정할 수 있는 required 예약어 추가13122정성태8/26/202219459.NET Framework: 2045. C# 11 - 메서드 매개 변수에 대한 nameof 지원13121정성태8/23/202213803C/C++: 157. Golang - 구조체의 slice 필드를 Reflection을 이용해 변경하는 방법13120정성태8/19/202219197Windows: 209. Windows NT Service에서 UI를 다루는 방법 [3]13119정성태8/18/202218649.NET Framework: 2044. .NET Core/5+ 프로젝트에서 참조 DLL이 보관된 공통 디렉터리를 지정하는 방법13118정성태8/18/202214391.NET Framework: 2043. WPF Color의 기본 색 영역은 (sRGB가 아닌) scRGB [2]13117정성태8/17/202219375.NET Framework: 2042. C# 11 - 파일 범위 내에서 유효한 타입 정의 (File-local types)113116정성태8/4/202220001.NET Framework: 2041. C# - Socket.Close 시 Socket.Receive 메서드에서 예외가 발생하는 문제113115정성태8/3/202220813.NET Framework: 2040. C# - ValueTask와 Task의 성능 비교 [1]113114정성태8/2/202220189.NET Framework: 2039. C# - Task와 비교해 본 ValueTask 사용법113113정성태7/31/202220064.NET Framework: 2038. C# 11 - Span 타입에 대한 패턴 매칭 (Pattern matching on ReadOnlySpan<char>)13112정성태7/30/202221101.NET Framework: 2037. C# 11 - 목록 패턴(List patterns) [1]113111정성태7/29/202220347.NET Framework: 2036. C# 11 - IntPtr/UIntPtr과 nint/nuint의 통합113110정성태7/27/202218976.NET Framework: 2035. C# 11 - 새로운 연산자 ">>>" (Unsigned Right Shift)113109정성태7/27/202221517VS.NET IDE: 177. 비주얼 스튜디오 2022를 이용한 (소스 코드가 없는) 닷넷 모듈 디버깅 - "외부 원본(External Sources)" [1]13108정성태7/26/202218460Linux: 53. container에 실행 중인 Golang 프로세스를 디버깅하는 방법 [1]13107정성태7/25/202217335Linux: 52. Debian/Ubuntu 계열의 docker container에서 자주 설치하게 되는 명령어13106정성태7/24/202215756오류 유형: 819. 닷넷 6 프로젝트의 "Conditional compilation symbols" 기본값 오류13105정성태7/23/202219853.NET Framework: 2034. .NET Core/5+ 환경에서 (프로젝트가 아닌) C# 코드 파일을 입력으로 컴파일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13104정성태7/23/202223690Linux: 51. WSL - init에서 systemd로 전환하는 방법13103정성태7/22/202218959오류 유형: 818. WSL - systemd-genie와 관련한 2가지(systemd-remount-fs.service, multipathd.socket) 에러13102정성태7/19/202218136.NET Framework: 2033. .NET Core/5+에서는 구할 수 없는 HttpRuntime.AppDomainAppId13101정성태7/15/202232221도서: 시작하세요! C# 10 프로그래밍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