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8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614. C# - DateTime.Ticks의 정밀도
; https://www.sysnet.pe.kr/2/0/11082

.NET Framework: 827. C# - 인터넷 시간 서버로부터 받은 시간을 윈도우에 적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883

스크립트: 33. JavaScript와 C#의 시간 변환
; https://www.sysnet.pe.kr/2/0/12849

Windows: 204.  Windows 10부터 바뀐 QueryPerformanceFrequency, QueryPerformanceCounter
; https://www.sysnet.pe.kr/2/0/13035

.NET Framework: 1997. C# - nano 시간을 가져오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036

스크립트: 47. 파이썬의 time.time() 실숫값을 GoLang / C#에서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308

닷넷: 2143. C# - 시스템 Time Zone 변경 시 이벤트 알림을 받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413

닷넷: 2309. C# - .NET Core에서 바뀐 DateTime.Ticks의 정밀도
; https://www.sysnet.pe.kr/2/0/13803




Windows 10부터 바뀐 QueryPerformanceFrequency, QueryPerformanceCounter

예전 글에서,

윈도우 운영체제의 시간 함수 (5) - TSC(Time Stamp Counter)와 QueryPerformanceCounter
; https://www.sysnet.pe.kr/2/0/11068

제가 QueryPerformanceFrequency는 초당 틱 수를 반환한다고 했고, QueryPerformanceCounter는 그 틱의 단위가 적용된다고 했습니다.

재미있는 것은, 그 당시 QueryPerformanceFrequency는 (시스템마다 다를 수 있는) 3,328,129라는 값을 반환했는데요, 최근에 다시 소스 코드를 돌려 보니,

using System;
using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internal class Program
{
    [DllImport("Kernel32.dll")]
    static extern bool QueryPerformanceFrequency(out long lpFrequency);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long lpFrequency;
        QueryPerformanceFrequency(out lpFrequency);
        Console.WriteLine($"QueryPerformanceFrequency == {lpFrequency}");
    }
}

고정적으로 10,000,000 값이 나옵니다. ^^; 검색 결과 이런 글이 나오는군요.

QueryPerformanceFrequency returns 10mhz on Windows 10 Build 1809+, causing performance loss/increased jitter/latency
; https://answers.microsoft.com/en-us/windows/forum/all/queryperformancefrequency-returns-10mhz-on-windows/44946807-5355-4b36-ba3e-43aa86ce30c0?auth=1

그러니까, Windows 10 build 1809부터 고정적으로 저 값이 나오도록 바뀐 것입니다. 아마도 frequency의 값을 운영체제 차원에서 정규화를 시도해 보정한 값이 나오는 듯합니다.

따라서, 이제는 QueryPerformanceFrequency에서 고정적으로 10,000,000 값을 반환해 주기 때문에 QueryPerformanceCounter의 1차이는,

T = 1 / 10,000,000 = 0.0000001초
                   = 0.0001밀리초
                   = 0.1마이크로초
                   = 100나노초

100나노초 단위가 된 것입니다. 이런 의미에서 봤을 때 다음의 Win32 API들이,

윈도우 운영체제의 시간 함수 (3) - QueryInterruptTimePrecise, QueryInterruptTime 함수
; https://www.sysnet.pe.kr/2/0/11066

문서에서 100나노초라고 일관되게 정한 것이 이해가 갑니다. ^^

lpInterruptTimePrecise [out]

A pointer to a ULONGLONG in which to receive the interrupt-time count in system time units of 100 nanoseconds. Divide by ten million, or 1e7, to get seconds (there are 1e9 nanoseconds in a second, so there are 1e7 100-nanoseconds in a second).


개인적으로는, 이런 변화는 나쁘지 않다고 봅니다. 향후에는 더 이상 QueryPerformanceFrequency 값을 구할 필요 없이 10,000,000으로 고정해도 되고, QueryPerformanceCounter의 단위를 100나노초라고 가정하고 계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단지, 한동안은 Windows 10 build 1809 미만의 컴퓨터도 고려를 해야 한다면 QueryPerformanceFrequency에 따른 계산을 병행할 필요는 있겠습니다. ^^




그런데, 실제로 테스트를 해보면 Windows 10뿐만 아니라 (VM에서 테스트했지만) Windows 7 x64, Windows Server 2012 R2에서도 동일하게 QueryPerformanceFrequency == 10,000,000 값이 나옵니다.

굳이 짜 맞춰 본다면, 저 당시에 Windows 10을 필두로 하위 운영체제에도 점차로 적용된 것이 아닌가... 예상하는데요, 그렇다고는 하지만 이것을 100%라고 가정할 수는 없으므로 쉽사리 10,000,000 값을 고정적으로 쓰기에는 다소 불안한 면이 있습니다. ^^




그러고 보니, 최근에 썼던 마이크로초 단위의 sleep 기능을 설명한 코드가,

C# - 윈도우 환경에서 usleep을 호출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980

이랬는데,

static internal class NativeMethods
{
    [DllImport("Kernel32.dll")]
    static extern bool QueryPerformanceCounter(out long lpPerformanceCount);

    public static void uSleep(long waitTime) 
    {
        long time1 = 0, time2 = 0;

        QueryPerformanceCounter(out time1);

        do
        {
            QueryPerformanceCounter(out time2);
        } while ((time2 - time1) < waitTime);
    }
}

왜 제가 QueryPerformanceCounter의 반환값을 마이크로초 단위라고 가정했을까요? ^^; 이것을 범용적으로 만들려면 이렇게 작성해야 하고,

static internal class NativeMethods
{
    [DllImport("Kernel32.dll")]
    static extern bool QueryPerformanceCounter(out long lpPerformanceCount);

    [DllImport("Kernel32.dll")]
    static extern bool QueryPerformanceFrequency(out long ticksPerSecond);

    static long _ticksPerMicroSeconds;

    static NativeMethods()
    {
        long ticksPerSecond = 0;
        QueryPerformanceFrequency(out ticksPerSecond);
        _ticksPerMicroSeconds = ticksPerSecond / 1000 / 1000;
    }

    public static void uSleep(long waitTime)
    {
        long utime1 = 0, utime2 = 0;

        QueryPerformanceCounter(out utime1);
        utime1 = utime1 / _ticksPerMicroSeconds;

        do
        {
            QueryPerformanceCounter(out utime2);
            utime2 = utime2 / _ticksPerMicroSeconds;
        } while ((utime2 - utime1) < waitTime);
    }
}

Windows 10 이상의 PC에서 동작하는 것을 가정한다면 다음과 같이 만들어도 됩니다.

static internal class NativeMethods
{
    [DllImport("Kernel32.dll")]
    static extern bool QueryPerformanceCounter(out long lpPerformanceCount);

    public static void uSleep(long waitTime)
    {
        waitTime = waitTime * 10; // 100나노초 단위를 갖는 QueryPerformanceCounter 값과 비교하기 위해!
        long time1 = 0, time2 = 0;

        QueryPerformanceCounter(out time1);

        do
        {
            QueryPerformanceCounter(out time2);
        } while ((time2 - time1) < waitTime);
    }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22/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95정성태12/21/200516806    답변글 VC++: 25.1. ODBC 로그를 못 남길 때의 오류 화면
113정성태3/13/200517567VS.NET IDE: 24. [VPC] 타이머 동기화 기능 제거
110정성태11/14/200516528.NET Framework: 28. VS.NET 2005 / SQL Server 2005 베타 버전 재설치 또는 업그레이드 [1]
111정성태3/7/200515368    답변글 VS.NET IDE: 28.1. [추가] SQL 2005 / VS.NET 2005 2005-02 CTP 버전이 올라왔네요. [1]
112정성태11/14/200516640        답변글 VS.NET IDE: 28.2. [추가] VS.NET 2005 2005-02 CTP 버전에서 달라진 점 ( VC++ )
127정성태3/29/200514694        답변글 VS.NET IDE: 28.4. [추가] SQL 2005 2005-02 CTP 버전에서 달라진 점
123정성태3/25/200518578    답변글 .NET Framework: 28.3. Uninstalling software without using Add Remove Programs...
108정성태3/4/200518021.NET Framework: 27. 시스템 이벤트 로그에 쌓이는 {00020906-0000-0000-C000-000000000046} 보안에러
107정성태3/1/200518245COM 개체 관련: 15. COM: Control 유형인 경우, IObjectWithSite 를 구현해도 SetSite/GetSite 가 호출이 안됨
106정성태2/28/200517578COM 개체 관련: 14. 탐색기 "처럼" 파일 열기
105정성태2/28/200516639.NET Framework: 26. VS.NET 2005 : 설치 프로젝트 - .NET Framework 설치 강제화
139정성태11/14/200514825    답변글 .NET Framework: 26.1. ^^ 역시, 배려가 되어 있네요. 제가 못 찾은 것이었습니다.
104정성태2/27/200517512VS.NET IDE: 23. MSI 설치 중에 GetLocalTime / GetSystemTime API 사용
132정성태3/30/200517162    답변글 VS.NET IDE: 23.1. [추가]: MSI 설치 동작 원리
102정성태2/16/200519787.NET Framework: 25. Verify that you are a member of the 'Debugger Users' group on the server. [2]
101정성태2/15/200517543.NET Framework: 24. WMI Win32_NTLogEvent 관리 이벤트를 Windows 2000 에서는 "Access Denied" 가 발생하는 문제파일 다운로드1
100정성태2/15/200523615VS.NET IDE: 22. 방화벽 환경에서의 WMI 연결을 위한 포트 설정 [2]
99정성태2/15/200521583COM 개체 관련: 13. 비동기 Drag & Drop 구현 : IAsyncOperation
103정성태2/23/200517813    답변글 COM 개체 관련: 13.1. [관련 자료] 그외 Drag & Drop 링크파일 다운로드1
97정성태2/14/200520786VS.NET IDE: 21. 설치된 Platform SDK 버전확인 방법
96정성태2/14/200522820기타: 9. http://www.google.com/webhp?complete=1&hl=en 검색에 관해서.
95정성태2/14/200532168VS.NET IDE: 20. Win32 특권 정리 [1]
94정성태1/29/200523457VC++: 13. VS.NET 2005 VC++ 컴파일러 에러 : cannot instantiate abstract class
93정성태1/29/200519337VS.NET IDE: 19. 혹시 VS.NET 2005 Beta2(2004/12 CTP Team System 버전)이 다운이 자주 되나요? [2]
92정성태1/29/200518130.NET Framework: 23. Unmanaged 환경에서 Managed DLL에 정의된 메서드 호출 시 오류 확인하는 방법
91정성태11/14/200518744VC++: 12. VS.NET 2005 VC++ Debug: Expression: ( (state != ST_INVALID ) )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