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13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397. C# - OCX 컨트롤에 구현된 메서드에 배열을 in, out으로 전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547

.NET Framework: 652. C# 개발자를 위한 C++ COM 객체의 기본 구현 방식 설명
; https://www.sysnet.pe.kr/2/0/11175

.NET Framework: 792. C# COM 서버가 제공하는 COM 이벤트를 C++에서 받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679

.NET Framework: 907. C# DLL로부터 TLB 및 C/C++ 헤더 파일(TLH)을 생성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220

.NET Framework: 977. C# PInvoke - C++의 매개변수에 대한 마샬링을 tlbexp.exe를 이용해 확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443

.NET Framework: 1008. 배열을 반환하는 C# COM 개체의 메서드를 C++에서 사용 시 메모리 누수 현상
; https://www.sysnet.pe.kr/2/0/12491

.NET Framework: 1064. C# COM 개체를 PIA(Primary Interop Assembly)로써 "Embed Interop Types" 참조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662

.NET Framework: 1069. C# - DLL Surrogate를 이용한 Out-of-process COM 개체 제작
; https://www.sysnet.pe.kr/2/0/12668

.NET Framework: 1095. C# COM 개체를 C++에서 사용하는 예제
; https://www.sysnet.pe.kr/2/0/12791

.NET Framework: 2003. C# - COM 개체의 이벤트 핸들러에서 발생하는 예외에 대한 CLR의 특별 대우
; https://www.sysnet.pe.kr/2/0/13050

닷넷: 2177. C# - (Interop DLL 없이) CoClass를 이용한 COM 개체 생성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469

닷넷: 2248. C# - 인터페이스 타입의 다중 포인터를 인자로 갖는 C/C++ 함수 연동
; https://www.sysnet.pe.kr/2/0/13607

닷넷: 2254. C# - COM 인터페이스의 상속 시 중복으로 메서드를 선언
; https://www.sysnet.pe.kr/2/0/13614




C# - COM 개체의 이벤트 핸들러에서 발생하는 예외에 대한 CLR의 특별 대우

재미있는 질문이 있었습니다.

UI 스레드 관련 질문드립니다.
; https://www.sysnet.pe.kr/3/0/5655

저도 그동안 인지를 못했었는데, 웹 브라우저의 DocumentCompleted 이벤트 핸들러에서 발생한 예외의 경우 catch를 하지 않아도 응용 프로그램은 종료하지 않습니다. 즉, 내부적으로 예외를 무시하기 때문에 Application.ThreadException에서도 잡히지 않는 것입니다.

이에 대한 테스트는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할 수 있습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Windows.Forms;

namespace WindowsFormsApp1
{
    public partial class Form1 : Form
    {
        public Form1()
        {
            InitializeComponent();
        }

        private void webBrowser1_DocumentCompleted(object sender, WebBrowserDocumentCompletedEventArgs e)
        {
            throw new ApplicationException("TEST");
        }

        private void button1_Click(object sender, EventArgs e)
        {
            this.webBrowser1.Navigate("https://www.naver.com");
        }
    }
}

저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button1을 누르면 DocumentCompleted가 호출되면서 예외가 발생할 텐데, 저렇게 try/catch로 처리하지 않아도 응용 프로그램은 종료하지 않습니다. 도대체 여기에는 어떤 특별함이 있을까요?

우선, DocumentCompleted 콜백이 발생했을 때의 호출 스택을 보면,

>    WindowsFormsApp1.exe!WindowsFormsApp1.Form1.webBrowser1_DocumentCompleted(object sender, System.Windows.Forms.WebBrowserDocumentCompletedEventArgs e) Line 17   C#  Symbols loaded.
    System.Windows.Forms.dll!System.Windows.Forms.WebBrowser.OnDocumentCompleted(System.Windows.Forms.WebBrowserDocumentCompletedEventArgs e)   Unknown Non-user code. Skipped loading symbols.
    [Native to Managed Transition]      Annotated Frame
    [Managed to Native Transition]      Annotated Frame
    [Native to Managed Transition]      Annotated Frame
    [Managed to Native Transition]      Annotated Frame
    System.Windows.Forms.dll!System.Windows.Forms.Application.ComponentManager.System.Windows.Forms.UnsafeNativeMethods.IMsoComponentManager.FPushMessageLoop(System.IntPtr dwComponentID, int reason, int pvLoopData)  Unknown Non-user code. Skipped loading symbols.
    System.Windows.Forms.dll!System.Windows.Forms.Application.ThreadContext.RunMessageLoopInner(int reason, System.Windows.Forms.ApplicationContext context)    Unknown Non-user code. Skipped loading symbols.
    System.Windows.Forms.dll!System.Windows.Forms.Application.ThreadContext.RunMessageLoop(int reason, System.Windows.Forms.ApplicationContext context) Unknown Non-user code. Skipped loading symbols.
    WindowsFormsApp1.exe!WindowsFormsApp1.Program.Main() Line 20    C#  Symbols loaded.

중간에 Interop Ax DLL에 해당하는 OnDocumentCompleted의 역어셈블 코드를 봐도 별도의 try/catch는 없습니다. 그리고 그 하위에 CCW/RCW로 예측되는 Transition 계층이 나오고, 마지막의 System.Windows.Forms 호출 스택은 일반적인 메시지 루프에 불과합니다.

그렇다면, 이제 문제를 살짝 좁힐 수 있습니다. 즉, 예외를 무시하도록 COM 개체 측에서 처리했거나, 아니면 Transition 계층에서 그렇게 처리하고 있는 것입니다. 과연 어느 쪽일까요? ^^




혹시 WebBrowser와 같은 ActiveX는 마이크로소프트가 만들었기 때문에 예외 처리를 잘 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요? 이에 대한 테스트를 위해 간단한 COM 개체를 만들고,

// ...[생략]...

// 참고: https://www.sysnet.pe.kr/2/0/588
interface IATLSimpleObject : IDispatch
{
    [id(1)] HRESULT DoMethod([in] LONG lParam);
};

dispinterface _IATLSimpleObjectEvents
{
    properties:
    methods:
        [id(1)] HRESULT DoCallback();
};

// ...[생략]...

// ...[생략]...

STDMETHODIMP CATLSimpleObject::DoMethod(LONG lParam)
{
    Fire_DoCallback();
    return S_OK;
}

C# 측에서는 DoMethod 코드를 호출해 DoCallback 이벤트를 수신하는 코드를 다음과 같이 작성해 줍니다.

private void Form1_Load(object sender, EventArgs e)
{
    Guid objGuid = new Guid("{043c73f1-f1c6-4004-8c8a-c14901b492da}");
    Type type = Type.GetTypeFromCLSID(objGuid);

    object obj = Activator.CreateInstance(type);

    IConnectionPointContainer connectionPoint = obj as IConnectionPointContainer;

    IConnectionPoint point;
    Guid guid = new Guid("{c8fadc19-aec4-48e1-997c-6167b80b07c9}");

    connectionPoint.FindConnectionPoint(ref guid, out point);

    int dwCookie;
    point.Advise(this, out dwCookie);

    dynamic dn = obj;
    dn.DoMethod(5);
}

public void DoCallback()
{
    throw new ApplicationException("TEST");
}

그럼, Form1.Load가 실행되면서 COM 개체를 생성해 DoMethod를 호출하는데, C++ COM의 DoMethod 내부에서는 DoCallback 이벤트를 발생시키므로 WinForm 측에서 지정한 DoCallback 이벤트 핸들러 코드가 실행됩니다.

확인 결과, 이렇게 간단한 COM 개체조차도 이벤트 핸들러에서의 "throw" 예외 발생은 Windows Forms의 실행을 종료시키지 못했습니다. 따라서, 아마도 CCW/RCW 계층에서 예외를 무시하는 코드가 있을 거라는... 짐작이 가능합니다.

(이 글의 예제 코드는 첨부 파일에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7/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358정성태11/15/201726673사물인터넷: 9. Visual Studio 2017에서 Raspberry Pi C++ 응용 프로그램 제작 [1]
11357정성태11/15/201727169개발 환경 구성: 336. 윈도우 10 Bash 쉘에서 C++ 컴파일하는 방법
11356정성태11/15/201728740사물인터넷: 8.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 + 키보드로 쓰는 방법 [4]
11355정성태11/15/201724505사물인터넷: 7.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로 쓰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2
11354정성태11/14/201728702사물인터넷: 6.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키보드로 쓰는 방법 [8]
11353정성태11/14/201725889사물인터넷: 5.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이더넷 카드로 쓰는 방법 [1]
11352정성태11/14/201721973사물인터넷: 4. Samba를 이용해 윈도우와 Raspberry Pi간의 파일 교환 [1]
11351정성태11/7/201725225.NET Framework: 698. C# 컴파일러 대신 직접 구현하는 비동기(async/await) 코드 [6]파일 다운로드1
11350정성태11/1/201721207디버깅 기술: 108. windbg 분석 사례 - Redis 서버로의 호출을 기다리면서 hang 현상 발생
11349정성태10/31/201721690디버깅 기술: 107. windbg - x64 SOS 확장의 !clrstack 명령어가 출력하는 Child SP 값의 의미 [1]파일 다운로드1
11348정성태10/31/201718149디버깅 기술: 106. windbg - x64 역어셈블 코드에서 닷넷 메서드 호출의 인자를 확인하는 방법
11347정성태10/28/201721761오류 유형: 424. Visual Studio - "클래스 다이어그램 보기" 시 "작업을 완료할 수 없습니다. 해당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오류 발생
11346정성태10/25/201718333오류 유형: 423. Windows Server 2003 - The client-side extension could not remove user policy settings for 'Default Domain Policy {...}' (0x8007000d)
11338정성태10/25/201716720.NET Framework: 697. windbg - SOS DumpMT의 "BaseSize", "ComponentSize" 값에 대한 의미파일 다운로드1
11337정성태10/24/201718849.NET Framework: 696. windbg - SOS DumpClass/DumpMT의 "Vtable Slots", "Total Method Slots", "Slots in VTable" 값에 대한 의미파일 다운로드1
11336정성태10/20/201719622.NET Framework: 695. windbg - .NET string의 x86/x64 메모리 할당 구조
11335정성태10/18/201718639.NET Framework: 694. 닷넷 - <Module> 클래스의 용도
11334정성태10/18/201719665디버깅 기술: 105. windbg - k 명령어와 !clrstack을 조합한 호출 스택을 얻는 방법
11333정성태10/17/201718834오류 유형: 422. 윈도우 업데이트 - Code 9C48 Windows update encountered an unknown error.
11332정성태10/17/201719813디버깅 기술: 104. .NET Profiler + 디버거 연결 + .NET Exceptions = cpu high
11331정성태10/16/201718147디버깅 기술: 103. windbg - .NET 4.0 이상의 환경에서 모든 DLL에 대한 심벌 파일을 로드하는 파이썬 스크립트
11330정성태10/16/201717419디버깅 기술: 102. windbg - .NET 4.0 이상의 환경에서 DLL의 심벌 파일 로드 방법 [1]
11329정성태10/15/201721570.NET Framework: 693. C# - 오피스 엑셀 97-2003 .xls 파일에 대해 32비트/64비트 상관없이 접근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328정성태10/15/201724482.NET Framework: 692. C# - 하나의 바이너리로 환경에 맞게 32비트/64비트 EXE를 실행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327정성태10/15/201718224.NET Framework: 691. AssemblyName을 .csproj에서 바꾼 경우 빌드 오류 발생하는 문제파일 다운로드1
11326정성태10/15/201718530.NET Framework: 690. coreclr 소스코드로 알아보는 .NET 4.0의 모듈 로딩 함수 [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