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눈으로 확인하는 connectionManagement의 maxconnection 설정값


"눈으로 확인하는..." 시리즈 물이 될 것 같군요. ^^

눈으로 확인하는 maxWorkerThreads, minFreeThreads 설정값
; https://www.sysnet.pe.kr/2/0/983

이번에는 connectionManagement 노드에서 제공되는 maxconnection 값에 대한 테스트를 해보겠습니다. 이 값은 .NET 응용 프로그램에서 특정 호스트로 보내는 "동시 연결 수"를 제어합니다. 쉽게 풀어보면, 여러분들의 .NET 응용 프로그램에서 HttpWebRequest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연결을 한다고 가정할 때,

string url = "http://testhost/test.aspx";
HttpWebRequest req = WebRequest.Create(url) as HttpWebRequest;
                
using (HttpWebResponse httpResponse = req.GetResponse() as HttpWebResponse)
using (Stream stream = httpResponse.GetResponseStream())
using (StreamReader sr = new StreamReader(stream, Encoding.Default))
{
    string txt = sr.ReadToEnd();
}

만약, test.aspx 내의 코드 수행 시간이 10초가 걸리는 상황에서 위의 코드를 스레드 100개로 돌리면 maxconnection에 지정된 수의 스레드만 testhost 컴퓨터에 연결이 되고 나머지 스레드들의 HttpWebRequest 개체들은 10초가 지난 후 기존 연결들이 해제되고 나서야 하나씩 차례대로 접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습니다.

덧붙여, 아래의 문서에 보면 maxconnection에 대한 설명이 잘 나와 있습니다.

<add> Element for connectionManagement (Network Settings)
; https://docs.microsoft.com/en-us/dotnet/framework/configure-apps/file-schema/network/add-element-for-connectionmanagement-network-settings

Don't forget to tune your application 
; http://weblogs.asp.net/johnbilliris/archive/2010/06/30/don-t-forget-to-tune-your-application.aspx

대부분의 app/web.config 파일에는 connectionManagement 설정이 없는데요. 그렇다면 기본값은 몇일까요?




확인을 위해 간단한 테스트 환경을 구성했습니다.

A, B 호스트를 마련했고, A 호스트의 test.aspx는 B 호스트의 delay.aspx를 호출하도록 했습니다. delay.aspx는 일부러 Page_Load에서 Thread.Sleep(60 * 1000)을 해서 60초의 지연 시간을 갖고!

(별다른 의미는 없지만, B 호스트는 Web Garden == 2로 설정했습니다.)

부하 발생기를 이용해서 A 호스트의 test.aspx에 요청을 집중했더니 아래와 같이 maxconnection == 10의 결과가 나왔습니다.

maxconnection_settings_affect_1.png

위의 그림에서 "W11"이 "A 호스트"이고, "W21", "W22"는 "Web Garden"이 2개로 설정된 "B 호스트"의 웹 응용 프로그램을 나타냅니다.

보시는 것처럼, test.aspx에서 HttpWebRequest를 이용하여 "http://bhost/delay.aspx"로 호출했을 때 최대 10개의 연결만 맺어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즉, connectionManagement의 maxconnection 기본값은 10이 됩니다.

확실히 하기 위해 이 값을 30으로 바꿔보았습니다.

<system.net>
    <connectionManagement>
        <add address="*" maxconnection="30" />
    </connectionManagement>
</system.net>

자, 그럼 결과가 어떻게 나올까요? ^^ 예상하시는 것처럼 "B 호스트"로의 연결은 각각 15개씩 총 30개의 연결로 제한이 됩니다.

maxconnection_settings_affect_2.png




한 가지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이 있는데요. 문서가 약간 혼동스럽다는 점입니다. maxconnection이 지정되어 있지 않으면 기본값이 2라고 되어 있는데요.

maxconnection - The maximum number of connections allowed to a server. If not supplied, the default is 2.


"%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tudio 10.0\xml\Schemas\DotNetConfig35.xsd" 파일에 명시된 바에 의하면 maxconnection은 생략할 수 없는 "required" 속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xs:element name="connectionManagement" vs:help="configuration/system.net/connectionManagement">
    <xs:complexType>
        <xs:choice minOccurs="0" maxOccurs="unbounded">
            <xs:element name="add" vs:help="configuration/system.net/connectionManagement/add">
                <xs:complexType>
                    <xs:attribute name="address" type="xs:string" use="required" />
                    <xs:attribute name="maxconnection" type="xs:int" use="required" />
                    <xs:attribute name="lockAttributes" type="xs:string" use="optional" />
            ...[생략]...

그런데, 실제로 ^^; 생략이 되어 다음과 같이 설정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system.net>
    <connectionManagement>
        <add address="*" />
    </connectionManagement>
</system.net> 

다시 부하 발생기로 테스트해 보면 값이 어떻게 나올까요?

예상했던 2가 아니라... 1입니다. (혹시, 제가 테스트를 잘못한 것 같다면 덧글 부탁드립니다.)

maxconnection_settings_affect_3.png




고객사에서 오류 문의가 왔습니다. 제니퍼 닷넷에서 다음과 같은 오류가 보고된 것입니다.

...[생략]...
[0005][13:39:23 477][ 15][ 15] TX-CALL[WebReq.http://[...this_public_domain_name...]/top.aspx] [15 ms]
[0006][13:39:23 477][ 0][ 0] SOCKET-CLOSE R=52174,W=106,uid=7568243 
[0007][13:40:03 523][40,046][ 16] TX-CALL[WebReq.http://[...this_public_domain_name...]/bottom.aspx] [40,046 ms]
[0008][13:40:03 523][ 0][ 0] TX-EXCEPTION [System.Net.WebException: 작업 시간이 초과되었습니다. ...[이하 콜스택 생략]... 

그런데... 가만 보면 해당 웹 페이지의 구성 자체가 재미있습니다. 보통 웹 페이지를 만들면 내부에 레이아웃을 구성하게 되는데요. 위의 고객 사이트는 웹 페이지의 top과 bottom에 해당하는 내용을 별도의 aspx로 빼고 사용자로부터 요청이 왔을 때 HttpWebRequest 개체를 이용해서 직접 top/bottom 관련해서 aspx를 호출하여 내용을 가져온 후 화면에 추가하는 것이었습니다.

위와 같은 구성이 성능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1) 우선, 해당 고객 사이트가 web.config에 connectionManagement / maxconnection 설정을 하지 않았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이 글의 처음에 설명했던 것처럼 특정 호스트에 대해 동시 연결이 기본값 10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위의 웹 사이트는 마치 10개의 상한을 가진 세마포어를 사용하는 효과를 가지게 됩니다. 동시 연결 10개 이후부터는 쓰레드들이 대기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사용자가 폭주하는 시간에는 그 현상이 더욱 심하게 됩니다.

게다가 위에서는 top과 bottom에 대해 각각 요청을 보냈기 때문에 스레드 대기 현상은 더욱 심해집니다.

2) 두 번째 문제는, HttpWebRequest 요청의 URL에 내부 IP가 아닌, 일반 사용자들이 접근할 때와 동일한 공용 DNS 이름을 사용했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내부 IP가 아닌 외부 공용 IP가 구해지게 되고, 방화벽/NAT/L4 장비를 거쳐서 호출이 되어 응답 시간이 늘어나게 됩니다.

3) 세 번째 문제는, dead-lock 문제에 빠질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지난번에도 한번 사례를 설명했었습니다.

제니퍼 닷넷 적용 사례 (2) - 웹 애플리케이션 hang의 원인을 알려주다.
; https://www.sysnet.pe.kr/2/0/1117

위의 글에서는 config.xml 파일 하나를 서비스하는 유형이라서 간단하게 AppPool을 별도로 생성하여 스레드 풀을 새롭게 할당함으로써 해결을 했는데요. System.Net.WebException 예외가 발생한 이번 글의 고객사 경우에는 문제가 좀 복잡해 질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top/bottom.aspx 요청을 받는 그 웹 사이트는 그 외에도 많은 요청을 받아서 처리할 수 있는 구조였기 때문입니다.

가정을 해볼까요? 사용자가 갑자기 몰려서 L4로 묶인 호스트 중에서 "192.168.0.10" 서버가 동시에 1,200개의 요청을 받았다고 해보겠습니다. 그 서버는 maxWorkerThreads == 100 상태에서 쿼드 코어라면 총 400개의 동시 요청만을 처리할 수가 있습니다. 나머지 800개는 IIS가 요청 대기 큐에 쌓아두고 앞서의 처리가 끝나면 차례대로 처리를 할 텐데요. 설상 가상으로 DB까지 지연되면서 하나의 aspx 처리 시간이 5초가 걸리는 상황이 발생한다고 하면?

그런 와중에 "192.168.0.11" 서버로 top/bottom.aspx를 포함한 웹 페이지 요청이 발생했고 하필 그것이 "192.168.0.10" 서버로 전달되었다고 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현재 10번 서버에 발생한 요청만 처리하는데 1,200 / 400 = 3 * 5초 == 15초가 소요되어 11번 서버로 요청을 보냈던 사용자는 11번 서버가 한가로운데도 불구하고 15초를 대기한 후에야 정상적인 aspx 웹 페이지를 볼 수 있게 됩니다.

결론적으로, 아무리 어떤 이유를 갖다댄다 해도... 하나의 aspx에서 top/bottom.aspx의 내용을 별도의 HTTP 요청으로 분리해서 구하는 것은 꽤나 불합리한 구조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6/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7-12-26 09시45분
[몬난아] 예전글이라 답변이 달릴지 모르겠군요..
https://docs.microsoft.com/en-us/aspnet/web-forms/overview/performance-and-caching/using-asynchronous-methods-in-aspnet-45 게시글을 보다가 여기까지 왔습니다.

하단에 maxconnection관련 해서 12 * 4(cpu) = 48 부분인데요.

이게 기본설정이면 2008r2이상에서는 4cpu에서 48개정도의 동시 처리가 불가능한것인가요? 좀 혼란스러운게.. IIS같은경우는 1개의 프로세스에 25개의 Thread설정이 기본값인데. 이것과상관관계가 어떻게 되는지 머리속에 그려지지 않내요..

이럴경우 서비스 4.0으로 서비스하고 있는 프로젝트들은 좀 수동으로 늘려주는게 유리한것인지 해서 질문드립니다. 4.5가 5000이 기본값이면, 48이 아닌 여유있게 1000~3000을 줘도 여유로울것 같은설정인데..

그리고 .NET 4.5이상에서는 5000개가 기본값인것도 갭이 상당하내요..

질문이 두서없군요.. 저는 여태까지는 IIS에 1개의 어플리케이션은 별도로 옵션을 수정하지 않는다면
1개프로세스안에서 > 25개의 Thread가 대기중인상태이고 3000개 까지 큐를 받을수 있으며 큐에 쌓인순서대로 25개의 Thread 25개가 순차적으로 처리해나간다였는데.
여기 개념사이에 CPU별로 12개씩 동시 처리 여부가 어디에? 들어가야하는걸로 계산해야하는지... 그게 좀 혼란스럽내요..
[guest]
2017-12-26 09시53분
[몬난아] 큐길이 설정이.. IIS에서도 ASP 하위에 큐길이의 기본값은 3천이고.. 응용프로그램풀의 기본값은 1000이군요.
이럴경우 ASP쪽의 설정은 Classic ASP에서이고.. 닷넷은 응용프로그램풀의 큐설정을 따르는것인가요... 이게 질문의 범위가 커져버렸습니다.

만약그런것이라면 ASP 하위에 프로세스 당 Thread제한역시 ASP전용이 되는것이고 .NET은 maxconnection 인것인지..
몇가지가 기존에 알던것과 틀리고 중복된.. 혼란스럽네요.. 시간이 나시면 간단히 답변부탁드립니다
수고하세요
[guest]
2017-12-26 02시03분
[몬난아] 아 다시 차근히 읽으니 해당설정은 응용에서 특정호스트로 보내는 작업에 제한이군요....
[guest]
2019-07-30 12시57분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v2.0.50727\Aspnet.config

<system.web>
  <applicationPool
       maxConcurrentRequestsPerCPU="12"
       maxConcurrentThreadsPerCPU="0"
       requestQueueLimit="5000"/>
</system.web>
정성태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755정성태9/22/201434238오류 유형: 241. Unity Web Player를 설치해도 여전히 설치하라는 화면이 나오는 경우 [4]
1754정성태9/22/201424570VC++: 80. 내 컴퓨터에서 C++ AMP 코드가 실행이 될까요? [1]
1753정성태9/22/201420595오류 유형: 240. Lync로 세미나 참여 시 소리만 들리지 않는 경우 [1]
1752정성태9/21/201441057Windows: 100. 윈도우 8 - RDP 연결을 이용해 VNC처럼 사용자 로그온 화면을 공유하는 방법 [5]
1751정성태9/20/201438916.NET Framework: 464. 프로세스 간 통신 시 소켓 필요 없이 간단하게 Pipe를 열어 통신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750정성태9/20/201423827.NET Framework: 463. PInvoke 호출을 이용한 비동기 파일 작업파일 다운로드1
1749정성태9/20/201423728.NET Framework: 462. 커널 객체를 위한 null DACL 생성 방법파일 다운로드1
1748정성태9/19/201425377개발 환경 구성: 238. [Synergy] 여러 컴퓨터에서 키보드, 마우스 공유
1747정성태9/19/201428386오류 유형: 239. psexec 실행 오류 - The system cannot find the file specified.
1746정성태9/18/201426071.NET Framework: 461. .NET EXE 파일을 닷넷 프레임워크 버전에 상관없이 실행할 수 있을까요? - 두 번째 이야기 [6]파일 다운로드1
1745정성태9/17/201423028개발 환경 구성: 237. 리눅스 Integration Services 버전 업그레이드 하는 방법 [1]
1744정성태9/17/201431032.NET Framework: 460. GetTickCount / GetTickCount64와 0x7FFE0000 주솟값 [4]파일 다운로드1
1743정성태9/16/201420980오류 유형: 238. 설치 오류 - Failed to get size of pseudo bundle
1742정성태8/27/201426946개발 환경 구성: 236. Hyper-V에 설치한 리눅스 VM의 VHD 크기 늘리는 방법 [2]
1741정성태8/26/201421327.NET Framework: 459. GetModuleHandleEx로 알아보는 .NET 메서드의 DLL 모듈 관계파일 다운로드1
1740정성태8/25/201432493.NET Framework: 458. 닷넷 GC가 순환 참조를 해제할 수 있을까요? [2]파일 다운로드1
1739정성태8/24/201426489.NET Framework: 457. 교착상태(Dead-lock) 해결 방법 - Lock Leveling [2]파일 다운로드1
1738정성태8/23/201422040.NET Framework: 456. C# - CAS를 이용한 Lock 래퍼 클래스파일 다운로드1
1737정성태8/20/201419736VS.NET IDE: 93. Visual Studio 2013 동기화 문제
1736정성태8/19/201425564VC++: 79. [부연] CAS Lock 알고리즘은 과연 빠른가? [2]파일 다운로드1
1735정성태8/19/201418148.NET Framework: 455. 닷넷 사용자 정의 예외 클래스의 최소 구현 코드 - 두 번째 이야기
1734정성태8/13/201419801오류 유형: 237. Windows Media Player cannot access the file. The file might be in use, you might not have access to the computer where the file is stored, or your proxy settings might not be correct.
1733정성태8/13/201426326.NET Framework: 454. EmptyWorkingSet Win32 API를 사용하는 C# 예제파일 다운로드1
1732정성태8/13/201434452Windows: 99. INetCache 폴더가 다르게 보이는 이유
1731정성태8/11/201427049개발 환경 구성: 235. 점(.)으로 시작하는 파일명을 탐색기에서 만드는 방법
1730정성태8/11/201422137개발 환경 구성: 234. Royal TS의 터미널(Terminal) 연결에서 한글이 깨지는 현상 해결 방법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