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2021. WPF - UI Thread와 Render Thread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6178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WPF - UI Thread와 Render Thread

문서를 보면,

Threading Model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desktop/wpf/advanced/threading-model

WPF에는 2가지 유형의 스레드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Typically, UI. The rendering thread effectively runs hidden in the background while the UI thread receives input, handles events, paints the screen, and runs application code. Most applications use a single UI thread, although in some situations it is best to use several. We’ll discuss this with an example later.


위의 글에서 언급한 UI 스레드는 전통적으로 Windows Forms의 UI Thread와 그 의미는 유사합니다. 단지 WPF에서는 운영 방식이 Dispatcher가 더 추가된 형태입니다. 이에 대해서는 예전에도 설명한 적이 있습니다.

WPF - UI 업데이트를 바로 반영하고 싶다면?
; https://www.sysnet.pe.kr/2/0/747

반면, rendering thread는 딱히 개발자가 작성한 WPF 코드상으로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좀 모호합니다. 관련해서 찾을 수 있는 공식 자료에 따르면,

Description of the WPF render thread and how it differs from the UI thread
; https://learn.microsoft.com/en-us/troubleshoot/developer/dotnet/framework/general/wpf-render-thread-failures#description-of-the-wpf-render-thread-and-how-it-differs-from-the-ui-thread

Each WPF application may have one or more UI threads running their own message pump (Dispatcher.Run). Each UI thread is responsible for processing window messages from the thread's message queue and dispatching them to windows owned by that thread. Each WPF application has just one render thread. It's a separate thread that communicates with DirectX/D3D (and/or GDI if the software rendering pipeline is being used). For WPF content, each UI thread sends detailed instructions to the render thread on what to draw. The render thread then takes those instructions and renders the content.


UI 스레드는 기존처럼 개발자가 생성할 수 있는 반면, Render Thread는 WPF 프레임워크 내부에서 단 하나 생성돼 동작합니다.

이에 대한 실체를 눈으로 확인하고 싶다면 그나마 sysinternals의 process explorer를 이용할 수는 있습니다. 가령 WPF 윈도우를 마우스로 잡아 흔들면 다음과 같이 2개의 스레드가 일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wpf_thread_ui_1.png

위에서 "WpfApp1.exe!COM+_Entry_Point"로 식별되는 것이 UI Thread이고, 그 아래의 wpfgfx_v0400.dll!MilVersionCheck"가 (유일한) Rendering Thread입니다.

여기서 주의할 것은, "Render Thread"라고 해서 WPF 응용 프로그램 내에 개발자가 작성한 그리기 작업 코드를 수행해 주는 것은 아니라는 점입니다. 가령, 예전에 소개한 예제 프로젝트에서,

WPF - Grid 컨트롤의 ShowGridLine 개선
; https://www.sysnet.pe.kr/2/0/739

OnRender 메서드를 재정의해 코드를 작성해 두었는데요,

public class CustomGrid : Grid  
{  
    Pen line = new Pen(Brushes.Black, 1);  
    
    protected override void OnRender(System.Windows.Media.DrawingContext dc)  
    {  
        base.OnRender(dc);  
        dc.DrawRectangle(null, line, new Rect(0,0,this.ActualWidth, this.ActualHeight));  
        double height = 0;  
        foreach (var r in this.RowDefinitions)  
        {  
            height += r.ActualHeight;  
            dc.DrawLine(line, new Point(0, height), new Point(this.ActualWidth,height));  
        }  
        double width = 0;  
        foreach (var c in this.ColumnDefinitions)  
        {  
            width += c.ActualWidth;  
            dc.DrawLine(line, new Point(width, this.ActualHeight), new Point(width, 0));  
        }  
    }  
}  

저런 코드들은 여전히 UI Thread에서 수행합니다. 그렇다면 Render thread는 도대체 무엇을 한다는 것일까요? 문서에서 언급하고 있는 것처럼,

For WPF content, each UI thread sends detailed instructions to the render thread on what to draw. The render thread then takes those instructions and renders the content.


UI Thread는 그리기 명령을 수행하지만 실제로 그리는 작업은 하지 않고 그 명령어 셋을 생성해 render thread에 전달하는 것입니다.

이 부분을 좀 더 자세하게 볼까요?

우선, OnRender(System.Windows.Media.DrawingContext dc)에 전달된 dc 인스턴스는 System.Windows.Media.VisualDrawingContext 타입이고, 그것은 다시 DrawLine을 구현한 System.Windows.Media.RenderDataDrawingContext를 상속받습니다.

RenderDataDrawingContext.cs
; https://referencesource.microsoft.com/#PresentationCore/Core/CSharp/System/Windows/Media/Generated/RenderDataDrawingContext.cs,1f9d94479f73234e

해당 코드를 보면,

public override void DrawLine(Pen pen, Point point0, Point point1)
{
    // ...[생략]...
 
    MILCMD_DRAW_LINE record =
        new MILCMD_DRAW_LINE (
            _renderData.AddDependentResource(pen),
            point0,
            point1
            );
 
    _renderData.WriteDataRecord(MILCMD.MilDrawLine,
                                (byte*)&record,
                                40 /* sizeof(MILCMD_DRAW_LINE) */);
 
    // ...[생략]...
}

이렇게 그리기 명령어 셋을 _renderData에 넣는 역할을 하고 끝내는 것입니다. 그리고 저렇게 전달된 record 셋을 DirectX 엔진을 사용해 실제 pixel로 그려내는 것이 바로 render thread입니다.

이와 관련해 상당히 심도 있게 분석한 글이 하나 있으니 ^^ 시간 나실 때 읽어보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A Critical Deep Dive into the WPF Rendering System
; https://jeremiahmorrill.wordpress.com/2011/02/14/a-critical-deep-dive-into-the-wpf-rendering-system/

그런 의미에서 봤을 때, 사실상 WPF 개발자에게는 Render thread의 유무를 고민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지 pixel로의 렌더링 작업이 분리되었다는 의미에서 성능 향상이 있다는 것에 감사하면 되고, 그것이 잘 동작한다는 가정이라면 개발자가 작성한 코드에 어떤 영향도 끼치지 않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20/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69정성태10/14/200520789    답변글 VS.NET IDE: 33.1. Enable rapid-fail protection 상황 재현 방법
166정성태11/14/200518014.NET Framework: 48. IE를 죽이는 스크립트 소스
165정성태11/14/200518645.NET Framework: 47. MOM (Microsoft Operations Manager) 2005 서버 설치 가이드
164정성태11/14/200515901.NET Framework: 46. 도메인에 속한 컴퓨터의 Local Computer Policy 변경 방법
162정성태10/3/200518613.NET Framework: 45. VS.NET 2005 IDE에서 Web App를 .NET 2.0 (x64) 머신에 배포
161정성태11/14/200521476.NET Framework: 44. IIS 관리자에서 ASP.NET 탭이 없는 경우.
159정성태9/28/200517418VS.NET IDE: 32. Virtual Server 2005 64bit SP1 Beta 테스트 [2]
163정성태10/3/200515495    답변글 VS.NET IDE: 32.1. 왜...?
158정성태11/14/200517931VS.NET IDE: 31. SQL 2005 - A connection was successfully established with the server
157정성태9/21/200517709기타: 10. SQL2000 설치 시, Invalid Product Key 오류
156정성태9/16/200519658.NET Framework: 43. Wisptis.exe 프로세스
155정성태5/31/200516014.NET Framework: 42. .NET Installer Class에서 Install 메서드 - 설정 사항들 알아내는 코드
154정성태5/13/200514950VS.NET IDE: 30. Windows 2003 for x64에 추가된 레지스트리 Run 노드
152정성태5/5/200518383VC++: 18. VC++ 7.0에서부터 ? : 연산자 처리가 바뀌었습니다.
153정성태5/12/200518529    답변글 VC++: 18.1. VC++ 8.0에서부터 바뀐 CRT 소개
151정성태5/5/200521473VC++: 17. DLL에 export 된 C++ 클래스 멤버 함수 파라미터형 정보 알아내는 방법
150정성태5/5/200522699.NET Framework: 41. 태그 사이의 값을 추출하는 정규식
149정성태5/5/200519120.NET Framework: 40. 데이터그리드에서 콤보박스 쓸 수 있는 방법
148정성태5/5/200519688.NET Framework: 39. DataSet 방식을 RecordSet으로 구현하는 방법.
147정성태5/7/200617242VC++: 16. 클래스 멤버 함수에 대한 포인터를 받는 표현.
146정성태4/29/200516222VS.NET IDE: 29. 네트워크 공유를 다른 사용자 계정으로 다시 로그인을 원하는 경우.
144정성태4/14/200516675VS.NET IDE: 28. Windows 2003 SP1을 설치하고.
143정성태5/5/200517834.NET Framework: 38. DSL (Domain Specific Language)
141정성태4/14/200518778VS.NET IDE: 27. 64bit 컴퓨터 사용 평가 [3]
140정성태4/14/200515859.NET Framework: 37. String.GetHashCode의 리턴값. 그때그때 다릅니다.
138정성태4/12/200516718.NET Framework: 36. 64bit 시스템 구성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