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817. Golang - binary.Read: invalid type int32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3545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Golang - binary.Read: invalid type int32

GoLang은... 뭐랄까, 좀 이상합니다. ^^;

int32를 int64에 넣으려는 코드조차도 형변환을 해야 할 정도로 딱딱하게 구는데,

value1 := int32(0)
value2 := int64(0)

value2 = value1 // 컴파일 오류: cannot use value (variable of type int32) as type int64 in assignment

경우에 따라서는 (심각하게 차이가 나는) 포인터와 일반 변수의 구분을 할 수 없어 컴파일을 통과시키는 바람에 런타임에서 오류가 발생하게 만듭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코드인데요,

package main

import (
    "bytes"
    "encoding/binary"
    "fmt"
)

func main() {
    buf := bytes.NewBuffer(nil)

    var value int32 = 4
    binary.Write(buf, binary.BigEndian, value)

    value = 0
    buf2 := bytes.NewBuffer(buf.Bytes())
    err := binary.Read(buf2, binary.BigEndian, value)
    fmt.Printf("%v", err)
}

위의 코드는 컴파일 오류 없이 런타임에 binary.Read에서 err를 반환하고 그 출력은 "invalid type int32" 문자열이 나옵니다. 물론, 이해는 합니다. 같은 이름의 메서드를 허용하지 않는 제한 내에서 binary.Read 단 하나로 읽기 동작을 통합하기 위해 3번째 인자의 타입을 any(interface {})로 결정했을 것입니다.

음... 그럼 오류 메시지라도 잘 보여주면 좋을 텐데... ^^; pointer라는 한 마디만 있었어도 그렇게 헤매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binary.Read(buf2, binary.BigEndian, &value)

차라리 저런 거에 신경 쓰고 int32 => int64 변환 정도는 허용했으면 어땠을까... 싶군요.




이 외에도, 소켓 통신 관련해서는 GoLang의 추상화가 Native 단계를 완전하게 관리화를 못해서인지 간혹 오류 메시지만 봐서는 문제의 원인을 찾기 힘든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제 테스트 머신에서는 Socket 통신 시 (확률적으로) 다음과 같은 호출 스택이 남는 상황이 있었는데요,

2022/06/12 19:44:30 TestApp: failed - runtime error: invalid memory address or nil pointer dereference goroutine 354 [running]:
runtime/debug.Stack()
        E:/Go/src/runtime/debug/stack.go:24 +0x7a
runtime/debug.PrintStack()
        E:/Go/src/runtime/debug/stack.go:16 +0x19
...[생략]...
panic({0x611fc0, 0x7331a0})
        E:/Go/src/runtime/panic.go:844 +0x25a
bufio.(*Reader).Read(0x0, {0xc00045d0ec, 0x4, 0x4})
        E:/Go/src/bufio/bufio.go:215 +0x109
io.ReadAtLeast({0x6536a0, 0x0}, {0xc00045d0ec, 0x4, 0x4}, 0x4)
        E:/Go/src/io/io.go:331 +0x15c
io.ReadFull({0x6536a0, 0x0}, {0xc00045d0ec, 0x4, 0x4})
        E:/Go/src/io/io.go:350 +0xa5
testapp/net.(*MyType).Read(0xc000202000, 0x4)
        D:/testapp/net/test.go:251 +0xd1
...[생략]...

보는 바와 같이 bufio.Read 함수에서 "invalid memory address or nil pointer dereference goroutine" 오류가 발생했는데... 닷넷의 경우라면 "An existing connection was forcibly closed by the remote host."라는 오류에 해당하는 것입니다. 즉, 서버에서 연결을 끊어버린 상황인데 저렇게 "invalid memory address"라는 Acess Violation에 해당하는 오류 메시지가 뜨니, 이런 상황을 잘 모른다면 뭔가 심각한 결함이라도 있다고 생각하게 될 정도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3/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972정성태1/7/201124185개발 환경 구성: 95. SQL Server 2008 R2 이하 버전 정보 확인
971정성태1/5/201133760.NET Framework: 199. .NET 코드 - Named Pipe 닷넷 서버와 VC++ 클라이언트 제작 [2]파일 다운로드1
970정성태1/4/201134291.NET Framework: 198. 윈도우 응용 프로그램에 Facebook 로그인 연동 [1]파일 다운로드1
969정성태12/31/201040365VC++: 45. Winsock 2 Layered Service Provider - Visual Studio 2010용 프로젝트 [1]파일 다운로드1
968정성태12/30/201026649개발 환경 구성: 94. 개발자가 선택할 수 있는 윈도우에서의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기술 [2]
967정성태12/27/201028422.NET Framework: 197. .NET 코드 - 단일 Process 실행파일 다운로드1
966정성태12/26/201026374.NET Framework: 196. .NET 코드 - 창 흔드는 효과파일 다운로드1
965정성태12/25/201027886개발 환경 구성: 93. MSBuild를 이용한 닷넷 응용프로그램의 다중 어셈블리 출력 빌드파일 다운로드1
964정성태12/21/2010143038개발 환경 구성: 92. 윈도우 서버 환경에서, 최대 생성 가능한 소켓(socket) 연결 수는 얼마일까? [14]
963정성태12/13/201027905개발 환경 구성: 91. MSBuild를 이용한 닷넷 응용프로그램의 플랫폼(x86/x64)별 빌드 [2]파일 다운로드1
962정성태12/10/201022766오류 유형: 110. GAC 등록 - Failure adding assembly to the cache: Invalid file or assembly name.
961정성태12/10/201099809개발 환경 구성: 90. 닷넷에서 접근해보는 PostgreSQL DB [5]
960정성태12/8/201045131.NET Framework: 195. .NET에서 코어(Core) 관련 CPU 정보 알아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959정성태12/8/201031953.NET Framework: 194. Facebook 연동 - API Error Description: Invalid OAuth 2.0 Access Token
958정성태12/7/201028949개발 환경 구성: 89. 배치(batch) 파일에서 또 다른 배치 파일을 동기 방식으로 실행 및 반환값 얻기 [2]
957정성태12/6/201031709디버깅 기술: 31. Windbg - Visual Studio 디버그 상태에서 종료해 버리는 응용 프로그램 [3]
953정성태11/28/201036922.NET Framework: 193. 페이스북(Facebook) 계정으로 로그인하는 C# 웹 사이트 제작 [5]
952정성태11/25/201025355.NET Framework: 192. GC의 부하는 상대적인 것! [4]
950정성태11/18/201076725.NET Framework: 191. ClickOnce - 관리자 권한 상승하는 방법 [17]파일 다운로드2
954정성태11/29/201048711    답변글 .NET Framework: 191.1. [답변] 클릭원스 - 요청한 작업을 수행하려면 권한 상승이 필요합니다. (Exception from HRESULT: 0x800702E4) [2]
949정성태11/16/201027254오류 유형: 109. System.ServiceModel.Security.SecurityNegotiationException
948정성태11/16/201036079.NET Framework: 190. 트위터 계정으로 로그인하는 C# 웹 사이트 제작 [7]파일 다운로드1
947정성태11/14/201041695.NET Framework: 189. Mono Cecil로 만들어 보는 .NET Decompiler [1]파일 다운로드1
946정성태11/11/201041554.NET Framework: 188. .NET 64비트 응용 프로그램에서 왜 (2GB) OutOfMemoryException 예외가 발생할까? [1]파일 다운로드1
945정성태11/11/201025048VC++: 44. C++/CLI 컴파일 오류 - error C4368: mixed types are not supported
944정성태11/11/201031584VC++: 43. C++/CLI 컴파일 오류 - error C2872: 'IServiceProvider' : ambiguous symbol could be ...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