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2036. C# 11 - IntPtr/UIntPtr과 nint/nuint의 통합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7153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18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1110. C# 11 - 인터페이스 내에 정적 추상 메서드 정의 가능 (DIM for Static Members)
; https://www.sysnet.pe.kr/2/0/12814

.NET Framework: 1118. C# 11 - 제네릭 타입의 특성 적용
; https://www.sysnet.pe.kr/2/0/12839

.NET Framework: 1182. C# 11  - ref struct에 ref 필드를 허용
; https://www.sysnet.pe.kr/2/0/13015

.NET Framework: 2025. C# 11  - 원시 문자열 리터럴(raw string literals)
; https://www.sysnet.pe.kr/2/0/13085

.NET Framework: 2026. C# 11 - 문자열 보간 개선 2가지
; https://www.sysnet.pe.kr/2/0/13086

.NET Framework: 2030. C# 11 - UTF-8 문자열 리터럴
; https://www.sysnet.pe.kr/2/0/13096

.NET Framework: 2031. C# 11 - 사용자 정의 checked 연산자
; https://www.sysnet.pe.kr/2/0/13099

.NET Framework: 2032. C# 11 - shift 연산자 재정의에 대한 제약 완화 (Relaxing Shift Operator)
; https://www.sysnet.pe.kr/2/0/13100

.NET Framework: 2035. C# 11 - 새로운 연산자 ">>>" (Unsigned Right Shift)
; https://www.sysnet.pe.kr/2/0/13110

.NET Framework: 2036. C# 11 - IntPtr/UIntPtr과 nint/nuint의 통합
; https://www.sysnet.pe.kr/2/0/13111

.NET Framework: 2037. C# 11 - 목록 패턴(List patterns)
; https://www.sysnet.pe.kr/2/0/13112

.NET Framework: 2038. C# 11 - Span 타입에 대한 패턴 매칭 (Pattern matching on ReadOnlySpan<char>)
; https://www.sysnet.pe.kr/2/0/13113

.NET Framework: 2042. C# 11 - 파일 범위 내에서 유효한 타입 정의 (File-local types)
; https://www.sysnet.pe.kr/2/0/13117

.NET Framework: 2045. C# 11 - 메서드 매개 변수에 대한 nameof 지원
; https://www.sysnet.pe.kr/2/0/13122

.NET Framework: 2046. C# 11 - 멤버(속성/필드)에 지정할 수 있는 required 예약어 추가
; https://www.sysnet.pe.kr/2/0/13123

.NET Framework: 2048. C# 11 - 구조체 필드의 자동 초기화(auto-default structs)
; https://www.sysnet.pe.kr/2/0/13125

.NET Framework: 2049. C# 11 - 정적 메서드에 대한 delegate 처리 시 cache 적용
; https://www.sysnet.pe.kr/2/0/13126

.NET Framework: 2102. C# 11 - ref struct/ref field를 위해 새롭게 도입된 scoped 예약어
; https://www.sysnet.pe.kr/2/0/13276




C# 11 - IntPtr/UIntPtr과 nint/nuint의 통합

(Visual Studio 2022 17.3 이후 버전에서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C# 9에 추가되었던 nint/nuint 타입은,

C# 9.0 - (4) 원시 크기 정수(Native ints)
; https://www.sysnet.pe.kr/2/0/12366

그 타입의 바탕이 각각 IntPtr/UIntPtr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각각 따로 개념을 유지했었습니다.

즉, IntPtr/UIntPtr은 여전히 포인터 연산을 위한 용도를 유지했고, nint/nuint는 단순히 플랫폼에 따라 바뀌는 "정수 타입"이라는 용도로 분리됐었습니다. 실제로 IntPtr/UIntPtr은 메모리의 포인터를 가리키는 것이므로 일반적인 정수형 타입에 적용되는 4칙 연산 등의 기능을 제공하지는 않았습니다.

IntPtr p1 = new IntPtr(5);
IntPtr p2 = new IntPtr(6);

// C# 10 이하에서는 아래의 코드가 모두 컴파일 오류
IntPtr p3 = p1 + p2; // error CS0019: Operator '+' cannot be applied to operands of type 'IntPtr' and 'IntPtr'
IntPtr p4 = p1 - p2; // error CS0019: Operator '-' cannot be applied to operands of type 'IntPtr' and 'IntPtr'
IntPtr p5 = p1 * p2; // error CS0019: Operator '*' cannot be applied to operands of type 'IntPtr' and 'IntPtr'
IntPtr p6 = p1 / p2; // error CS0019: Operator '/' cannot be applied to operands of type 'IntPtr' and 'IntPtr'

// 대신 +, -의 경우에는 IntPtr.AddIntPtr.Subtract 정적 메서드로 우회
//     /의 경우에는 .NET 7부터 IntPtr.DivRem 제공

반면 nint/nuint에 대해서는 기반 구현체였던 IntPtr/UIntPtr과는 달리 개념적으로는 정수형으로 취급했으므로 이것을 허용했습니다.

nint p1 = 5;
nint p2 = 6;

// 컴파일 가능
nint p3 = p1 + p2;
nint p4 = p1 - p2;
nint p5 = p1 * p2;
nint p6 = p1 / p2;

저렇게 개념적으로 나눴던 것을 C# 11부터는 동일한 타입으로 바꿨습니다. 즉, int 타입이 System.Int32의 C# alias였던 것처럼 nint와 nuint를 IntPtr/UIntPtr에 대한 alias로 취급하고, 이에 맞춰 기존의 IntPtr/UIntPtr 연산에 제한을 두었던 것을 말 그대로 정수형 타입으로 취급해 모두 허용하도록 바꿨습니다.

따라서 C# 11부터는 다음의 코드까지 모두 컴파일 가능합니다.

IntPtr p1 = new IntPtr(5);
IntPtr p2 = new IntPtr(6);

IntPtr p3 = p1 + p2; // C# 10 이하에서는 컴파일 오류
IntPtr p4 = p1 - p2; // C# 10 이하에서는 컴파일 오류
IntPtr p5 = p1 * p2; // C# 10 이하에서는 컴파일 오류
IntPtr p6 = p1 / p2; // C# 10 이하에서는 컴파일 오류
IntPtr p7 = p1 % p2; // C# 10 이하에서는 컴파일 오류

p1++; // C# 10 이하에서는 컴파일 오류
p1--; // C# 10 이하에서는 컴파일 오류

IntPtr p8 = -p1; // C# 10 이하에서는 컴파일 오류
IntPtr p9 = ~p1; // C# 10 이하에서는 컴파일 오류
IntPtr p10 = p1 << 2; // C# 10 이하에서는 컴파일 오류
IntPtr p11 = p1 >> 2; // C# 10 이하에서는 컴파일 오류
IntPtr p12 = p1 >>> 2; // C# 10 이하에서는 컴파일 오류

Console.WriteLine(p1 > p2); // C# 10 이하에서는 컴파일 오류
Console.WriteLine(p1 >= p2); // C# 10 이하에서는 컴파일 오류
Console.WriteLine(p1 < p2); // C# 10 이하에서는 컴파일 오류
Console.WriteLine(p1 <= p2); // C# 10 이하에서는 컴파일 오류

Console.WriteLine(p1 & p2); // C# 10 이하에서는 컴파일 오류
Console.WriteLine(p1 | p2); // C# 10 이하에서는 컴파일 오류
Console.WriteLine(p1 ^ p2); // C# 10 이하에서는 컴파일 오류

int[] n = new int[500];
Console.WriteLine(n[p1]); // C# 10 이하에서는 컴파일 오류

IntPtr p = new nint(6); // C# 10 이하에서는 컴파일 오류

Console.WriteLine(nint.Zero); // C# 10 이하에서는 컴파일 오류
Console.WriteLine(nuint.Zero); // C# 10 이하에서는 컴파일 오류

재미있는 것은, C# 11의 언어적 차원에서 nint/nuint가 IntPtr/UIntPtr의 alias로 취급은 되지만 결국 IntPtr/UIntPtr 타입의 구현 코드에 영향을 받는 것이므로 반드시 .NET 7의 새로운 BCL을 필요로 한다는 점입니다. 이로 인해 .NET 6 이하의 프로젝트를 대상으로는 C# 11로 컴파일해도 위의 코드들은 모두 컴파일 오류가 발생합니다. 즉, C# 11로 컴파일해도 대상 런타임이 .NET 6 이하라면 기존의 방식처럼 빌드하게 되므로 alias 취급을 받지 못하는 것입니다.




C# 11 - 인터페이스 내에 정적 추상 메서드 정의 가능 (공식 문서, Static Abstract Members In Interfaces C# 10 Preview)
; https://www.sysnet.pe.kr/2/0/12814

C# 11 - 제네릭 타입의 특성 적용 (공식 문서, Generic attributes)
; https://www.sysnet.pe.kr/2/0/12839

C# 11 - 사용자 정의 checked 연산자 (공식 문서, Checked user-defined operators)
; https://www.sysnet.pe.kr/2/0/13099

C# 11 - shift 연산자 재정의에 대한 제약 완화 (공식 문서, Relaxing Shift Operator)
; https://www.sysnet.pe.kr/2/0/13100

C# 11 - IntPtr/UIntPtr과 nint/unint의 통합 (공식 문서, Numeric IntPtr)
; https://www.sysnet.pe.kr/2/0/13111

C# 11 - 새로운 연산자 ">>>" (Unsigned Right Shift) (공식 문서, Unsigned right shift operator)
; https://www.sysnet.pe.kr/2/0/13110

C# 11 - 원시 문자열 리터럴 (공식 문서, raw string literals)
; https://www.sysnet.pe.kr/2/0/13085

C# 11 - 문자열 보간 개선 2가지 (공식 문서, Allow new-lines in all interpolations)
; https://www.sysnet.pe.kr/2/0/13086

C# 11 - 목록 패턴 (공식 문서, List patterns)
; https://www.sysnet.pe.kr/2/0/13112

C# 11 - Span 타입에 대한 패턴 매칭 (공식 문서, Pattern matching on ReadOnlySpan<char>)
; https://www.sysnet.pe.kr/2/0/13113

C# 11 - Utf8 문자열 리터럴 지원 (공식 문서, Utf8 Strings Literals)
; https://www.sysnet.pe.kr/2/0/13096

C# 11 - ref struct에 ref 필드를 허용 (공식 문서, ref fields)
; https://www.sysnet.pe.kr/2/0/13015

C# 11 - 파일 범위 내에서 유효한 타입 정의 (공식 문서, File-local types)
; https://www.sysnet.pe.kr/2/0/13117

C# 11 - 메서드 매개 변수에 대한 nameof 지원 (공식 문서, nameof(parameter))
; https://www.sysnet.pe.kr/2/0/13122

C# 11 - 멤버(속성/필드)에 지정할 수 있는 required 예약어 추가 (공식 문서, Required members)
; https://www.sysnet.pe.kr/2/0/13123

C# 11 - 구조체 필드의 자동 초기화 (공식 문서, auto-default structs)
; https://www.sysnet.pe.kr/2/0/13125

C# 11 - 정적 메서드에 대한 delegate 처리 시 cache 적용 (공식 문서, Cache delegates for static method group)
; https://www.sysnet.pe.kr/2/0/13126

Language Feature Status
; https://github.com/dotnet/roslyn/blob/main/docs/Language%20Feature%20Status.md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5/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862정성태5/3/201020667제니퍼 .NET: 3. 제2회 닷넷 개발자 컨퍼런스에서 뵙겠습니다. ^^
861정성태5/1/201021273.NET Framework: 177. .NET 2.0 Profiler에 .NET 4.0 지원 추가
860정성태4/30/201026357오류 유형: 95. .NET 4.0 설치 오류 - 0x800c0005 [1]
858정성태4/29/201030267제니퍼 .NET: 2. JENNIFER .NET을 이용한 .NET 웹 사이트 모니터링 (2) - 설치 [3]
857정성태4/27/201028379제니퍼 .NET: 1. JENNIFER .NET을 이용한 .NET 웹 사이트 모니터링 (1) - 임시 라이선스 요청 및 다운로드
855정성태4/24/201025292.NET Framework: 176. DataContext가 thread-safe한 것인가?
854정성태4/22/201022162오류 유형: 94. 팀 프로젝트 생성 오류 - TF218017, TF250044
853정성태4/22/201022777오류 유형: 93. TFS 2010 오류: rsProcessingAborted, rsErrorExecutingCommand
852정성태4/21/201024034Team Foundation Server: 33. 단일 서버에 Team Foundation Server 2010 설치하는 방법
851정성태4/14/201034503오류 유형: 92. Task Scheduler 오류: 2147942667 (0x8007010B)
850정성태4/7/201023012.NET Framework: 175. WCF - webHttpBinding + PUT 메서드 구현파일 다운로드1
848정성태3/30/201036653개발 환경 구성: 73. 한 대의 PC에서 여러 개의 키입력 매크로 프로그램이 가능할까? [5]파일 다운로드5
846정성태3/29/201034576VC++: 39. C++에서 싱글톤 구현하기 [8]파일 다운로드1
844정성태3/19/201022000개발 환경 구성: 72. Adobe Creative Suite 3 Master Collection - 하드 디스크로부터 설치하는 방법
843정성태3/19/201031025Windows: 50. Windows Server 2008 R2 시스템에 Windows 7 멀티 부팅하는 방법
842정성태3/17/201026632Windows: 49. VHD 파일 지원
841정성태3/16/201027274.NET Framework: 174. 작업자 프로세스(w3wp.exe)가 재시작되는 시점을 알 수 있는 방법 [1]
840정성태3/4/201020681개발 환경 구성: 71. w3wp.exe에 환경 변수 전달하는 방법 [1]
836정성태2/13/201024091VS.NET IDE: 67. Visual Studio 2010: 베타 2에서 RC 마이그레이션
835정성태1/26/201025331.NET Framework: 173. WCF - webHttpBinding + IIS 6.0 윈도우 인증 구현 예제 [3]파일 다운로드1
834정성태1/25/201025823.NET Framework: 172. WCF - webHttpBinding 윈도우 인증 구현 예제 [3]파일 다운로드1
833정성태1/25/201025158.NET Framework: 171. WCF - webHttpBinding 구현 예제 [1]파일 다운로드1
832정성태1/25/201029038.NET Framework: 170. PerformanceCounter의 RawValue/NextValue()에서 멈춤 현상
831정성태1/14/201018856개발 환경 구성: 70. WSS - check out 메뉴에서 오류나는 문제
830정성태1/10/201023314개발 환경 구성: 69. Windows Internal Database
829정성태1/7/201022738개발 환경 구성: 68. ODP.NET + OraMTS 사용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