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18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1110. C# 11 - 인터페이스 내에 정적 추상 메서드 정의 가능 (DIM for Static Members)
; https://www.sysnet.pe.kr/2/0/12814

.NET Framework: 1118. C# 11 - 제네릭 타입의 특성 적용
; https://www.sysnet.pe.kr/2/0/12839

.NET Framework: 1182. C# 11  - ref struct에 ref 필드를 허용
; https://www.sysnet.pe.kr/2/0/13015

.NET Framework: 2025. C# 11  - 원시 문자열 리터럴(raw string literals)
; https://www.sysnet.pe.kr/2/0/13085

.NET Framework: 2026. C# 11 - 문자열 보간 개선 2가지
; https://www.sysnet.pe.kr/2/0/13086

.NET Framework: 2030. C# 11 - UTF-8 문자열 리터럴
; https://www.sysnet.pe.kr/2/0/13096

.NET Framework: 2031. C# 11 - 사용자 정의 checked 연산자
; https://www.sysnet.pe.kr/2/0/13099

.NET Framework: 2032. C# 11 - shift 연산자 재정의에 대한 제약 완화 (Relaxing Shift Operator)
; https://www.sysnet.pe.kr/2/0/13100

.NET Framework: 2035. C# 11 - 새로운 연산자 ">>>" (Unsigned Right Shift)
; https://www.sysnet.pe.kr/2/0/13110

.NET Framework: 2036. C# 11 - IntPtr/UIntPtr과 nint/nuint의 통합
; https://www.sysnet.pe.kr/2/0/13111

.NET Framework: 2037. C# 11 - 목록 패턴(List patterns)
; https://www.sysnet.pe.kr/2/0/13112

.NET Framework: 2038. C# 11 - Span 타입에 대한 패턴 매칭 (Pattern matching on ReadOnlySpan<char>)
; https://www.sysnet.pe.kr/2/0/13113

.NET Framework: 2042. C# 11 - 파일 범위 내에서 유효한 타입 정의 (File-local types)
; https://www.sysnet.pe.kr/2/0/13117

.NET Framework: 2045. C# 11 - 메서드 매개 변수에 대한 nameof 지원
; https://www.sysnet.pe.kr/2/0/13122

.NET Framework: 2046. C# 11 - 멤버(속성/필드)에 지정할 수 있는 required 예약어 추가
; https://www.sysnet.pe.kr/2/0/13123

.NET Framework: 2048. C# 11 - 구조체 필드의 자동 초기화(auto-default structs)
; https://www.sysnet.pe.kr/2/0/13125

.NET Framework: 2049. C# 11 - 정적 메서드에 대한 delegate 처리 시 cache 적용
; https://www.sysnet.pe.kr/2/0/13126

.NET Framework: 2102. C# 11 - ref struct/ref field를 위해 새롭게 도입된 scoped 예약어
; https://www.sysnet.pe.kr/2/0/13276




C# 11 - Span 타입에 대한 패턴 매칭 (Pattern matching on ReadOnlySpan<char>)

(Visual Studio 2022 17.3 이후 버전에서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문자열은 비교 연산이 쉽게 가능합니다.

string str = "TEST";

if (str == "test")
{
    Console.WriteLine("[==] Equals");
}

switch (str)
{
    case "TEST1":
        break;
    case "TEST2":
        break;
}

하지만, 문자열에 대한 GC 할당을 줄이기 위해 도입한 Span을 사용한 경우 비교 연산이 정상적으로 되지 않거나 오류가 발생합니다.

ReadOnlySpan<char> str = "TEST".AsSpan()[0..2];

// if 문의 경우 컴파일 오류는 발생하지 않지만, 문자열 상수와 비교가 안 됨.
if (str == "TE")
{
    Console.WriteLine("[==] Equals");
}
else
{
    Console.WriteLine(str.ToString()); // else 절의 코드가 실행됨
}

// if 문에서 패턴 매칭 코드를 사용하면 컴파일 오류 발생
if (str is "TE") // C# 10 - error CS0150: A constant value is expected
{
    Console.WriteLine("[is] Equals");
}

// swtich 문에서는 아예 컴파일 오류 발생
switch (str)
{
    case "TEST1": // C# 10 - error CS0150: A constant value is expected
        break;
    case "TEST2": // C# 10 - error CS0150: A constant value is expected
        break;
}

위의 switch 문도 if 문처럼 컴파일 오류를 방지하려면 다음과 같은 식으로 바꿔볼 수도 있겠지만,

switch (str)
{
    case var span when span == "TE":
        Console.WriteLine("[switch when] Equals");
        break;
    case var span when span == "TE2":
        break;
}

이것 역시 Span 타입의 변수를 "==" 비교를 하는 것이므로 if 문으로 작성한 str == "TE" 코드와 다를 바가 없습니다. 즉, 정상적인 비교 코드가 수행되지 않으므로 해당 case 절의 코드가 실행되지 않는 것입니다.

이런 문제를 C# 11부터 Span 타입의 인스턴스에 대해 직접적인 상수 비교를 패턴 매칭에 대해 허용하면서 깔끔하게 해결됩니다.

ReadOnlySpan<char> str = "TEST".AsSpan()[0..2];

// C# 11부터 컴파일 가능
if (str is "TE")
{
    Console.WriteLine("[is] Equals");
}

// C# 11부터 컴파일 가능
switch (str)
{
    case "TE":
        Console.WriteLine("[switch] Equals");
        break;
    case "TE2":
        break;
}

주의할 것은, if 문에서 "is" 패턴을 사용하는 것과 "==" 연산자를 사용하는 것이 다르다는 점입니다.

ReadOnlySpan<char> str = "TEST".AsSpan()[0..2];

if (str == "TE") // 무심코 이렇게 사용하면 논리 오류, 컴파일 오류도 없고!
{
    Console.WriteLine("[==] Equals");
}

if (str is "TE") // is 패턴 매칭에서만 Span에 대한 비교 연산 가능
{
    Console.WriteLine("[is] Equals");
}

그나저나 Span에 대해서도 목록 패턴을 지원할까요? ^^ 만약 목록 패턴이 IList 인터페이스 구현 여부로 판단했다면 불가능했을 것입니다. 하지만 indxer와 Length/Count 속성의 구현 여부로만 판단하므로, Span 역시 다음과 같이 목록 패턴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var str = "TEST".AsSpan();

if (str is ['T', .. var content, 'T']) // content 타입: ReadOnlySpan<char>
{
    Console.WriteLine($"[is] Equals == {content}"); // 출력 결과: ES
}

Span<int> list = stackalloc int[] { 1, 2, 3, 4 };

if (list is [1, ..])
{
    Console.WriteLine("1 ...");
}




C# 11 - 인터페이스 내에 정적 추상 메서드 정의 가능 (공식 문서, (DIM for Static Members), Static Abstract Members In Interfaces C# 10 Preview)
; https://www.sysnet.pe.kr/2/0/12814

C# 11 - 제네릭 타입의 특성 적용 (공식 문서, Generic attributes)
; https://www.sysnet.pe.kr/2/0/12839

C# 11 - 사용자 정의 checked 연산자 (공식 문서, Checked user-defined operators)
; https://www.sysnet.pe.kr/2/0/13099

C# 11 - shift 연산자 재정의에 대한 제약 완화 (공식 문서, Relaxing Shift Operator)
; https://www.sysnet.pe.kr/2/0/13100

C# 11 - IntPtr/UIntPtr과 nint/unint의 통합 (공식 문서, Numeric IntPtr)
; https://www.sysnet.pe.kr/2/0/13111

C# 11 - 새로운 연산자 ">>>" (Unsigned Right Shift) (공식 문서, Unsigned right shift operator)
; https://www.sysnet.pe.kr/2/0/13110

C# 11 - 원시 문자열 리터럴 (공식 문서, raw string literals)
; https://www.sysnet.pe.kr/2/0/13085

C# 11 - 문자열 보간 개선 2가지 (공식 문서, Allow new-lines in all interpolations)
; https://www.sysnet.pe.kr/2/0/13086

C# 11 - 목록 패턴 (공식 문서, List patterns)
; https://www.sysnet.pe.kr/2/0/13112

C# 11 - Span 타입에 대한 패턴 매칭 (공식 문서, Pattern matching on ReadOnlySpan<char>)
; https://www.sysnet.pe.kr/2/0/13113

C# 11 - Utf8 문자열 리터럴 지원 (공식 문서, Utf8 Strings Literals)
; https://www.sysnet.pe.kr/2/0/13096

C# 11 - ref struct에 ref 필드를 허용 (공식 문서, ref fields)
; https://www.sysnet.pe.kr/2/0/13015

C# 11 - 파일 범위 내에서 유효한 타입 정의 (공식 문서, File-local types)
; https://www.sysnet.pe.kr/2/0/13117

C# 11 - 메서드 매개 변수에 대한 nameof 지원 (공식 문서, nameof(parameter))
; https://www.sysnet.pe.kr/2/0/13122

C# 11 - 멤버(속성/필드)에 지정할 수 있는 required 예약어 추가 (공식 문서, Required members)
; https://www.sysnet.pe.kr/2/0/13123

C# 11 - 구조체 필드의 자동 초기화 (공식 문서, auto-default structs)
; https://www.sysnet.pe.kr/2/0/13125

C# 11 - 정적 메서드에 대한 delegate 처리 시 cache 적용 (공식 문서, Cache delegates for static method group)
; https://www.sysnet.pe.kr/2/0/13126

Language Feature Status
; https://github.com/dotnet/roslyn/blob/main/docs/Language%20Feature%20Status.md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5/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886정성태12/20/202114695스크립트: 37. 파이썬 - uwsgi의 --enable-threads 옵션 [2]
12885정성태12/20/202115722오류 유형: 776. uwsgi-plugin-python3 환경에서 MySQLdb 사용 환경
12884정성태12/20/202114649개발 환경 구성: 620. Windows 10+에서 WMI root/Microsoft/Windows/WindowsUpdate 네임스페이스 제거
12883정성태12/19/202115080오류 유형: 775. uwsgi-plugin-python3 환경에서 "ModuleNotFoundError: No module named 'django'" 오류 발생
12882정성태12/18/202114570개발 환경 구성: 619. Windows Server에서 WSL을 위한 리눅스 배포본을 설치하는 방법
12881정성태12/17/202114174개발 환경 구성: 618. WSL Ubuntu 20.04에서 파이썬을 위한 uwsgi 설치 방법 (2)
12880정성태12/16/202115169VS.NET IDE: 170. Visual Studio에서 .NET Core/5+ 역어셈블 소스코드 확인하는 방법
12879정성태12/16/202121708오류 유형: 774. Windows Server 2022 + docker desktop 설치 시 WSL 2로 선택한 경우 "Failed to deploy distro docker-desktop to ..." 오류 발생
12878정성태12/15/202115970개발 환경 구성: 617. 윈도우 WSL 환경에서 같은 종류의 리눅스를 다중으로 설치하는 방법
12877정성태12/15/202115290스크립트: 36. 파이썬 - pymysql 기본 예제 코드
12876정성태12/14/202115143개발 환경 구성: 616. Custom Sources를 이용한 Azure Monitor Metric 만들기
12875정성태12/13/202114015스크립트: 35. python - time.sleep(...) 호출 시 hang이 걸리는 듯한 문제
12874정성태12/13/202113855오류 유형: 773. shell script 실행 시 "$'\r': command not found" 오류
12873정성태12/12/202115239오류 유형: 772. 리눅스 - PATH에 등록했는데도 "command not found"가 나온다면?
12872정성태12/12/202115631개발 환경 구성: 615. GoLang과 Python 빌드가 모두 가능한 docker 이미지 만들기
12871정성태12/12/202114687오류 유형: 771. docker: Error response from daemon: OCI runtime create failed
12870정성태12/9/202113763개발 환경 구성: 614. 파이썬 - PyPI 패키지 만들기 (4) package_data 옵션
12869정성태12/8/202116462개발 환경 구성: 613. git clone 실행 시 fingerprint 묻는 단계를 생략하는 방법
12868정성태12/7/202114832오류 유형: 770. twine 업로드 시 "HTTPError: 400 Bad Request ..." 오류 [1]
12867정성태12/7/202114596개발 환경 구성: 612. 파이썬 - PyPI 패키지 만들기 (3) entry_points 옵션
12866정성태12/7/202121503오류 유형: 769. "docker build ..." 시 "failed to solve with frontend dockerfile.v0: failed to read dockerfile ..." 오류
12865정성태12/6/202114853개발 환경 구성: 611. 파이썬 - PyPI 패키지 만들기 (2) long_description, cmdclass 옵션
12864정성태12/6/202112517Linux: 46. WSL 환경에서 find 명령을 사용해 파일을 찾는 방법
12863정성태12/4/202114705개발 환경 구성: 610. 파이썬 - PyPI 패키지 만들기
12862정성태12/3/202112655오류 유형: 768. Golang - 빌드 시 "cmd/go: unsupported GOOS/GOARCH pair linux /amd64" 오류
12861정성태12/3/202116483개발 환경 구성: 609. 파이썬 - "Windows embeddable package"로 개발 환경 구성하는 방법 [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