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2043. WPF Color의 기본 색 영역은 (sRGB가 아닌) scRGB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2861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WPF Color의 기본 색 영역은 (sRGB가 아닌) scRGB

재미있는 질문이 올라왔군요. ^^

안녕하세요 rgb 계산 오차가 있는데 원인을 모르겠습니다..
; https://www.sysnet.pe.kr/3/0/5713

간단하게 코드로는 다음과 같이 재현할 수 있습니다.

Color start = Color.FromRgb(0xff, 0, 9);
Color add1 = Color.FromRgb(0, 0, 5);
Color add2 = Color.FromRgb(0, 0, 6);

Color newColor1 = start + add1;
Color newColor2 = start + add2;

System.Diagnostics.Trace.WriteLine($"{newColor1.R}, {newColor1.G}, {newColor1.B}");
System.Diagnostics.Trace.WriteLine($"{newColor2.R}, {newColor2.G}, {newColor2.B}");

/* 출력 결과
255, 0, 14
255, 0, 14
*/

보는 바와 같이 출력 결과가 동일합니다. 왜 이런 결과가 나올까요? ^^ 사실 WPF의 Color는 (외부적으로는 사용하기 쉬우므로) sRGB 체계를 사용하는 듯하지만 내부적으로는 이것을 scRGB 체계로 변환해 연산을 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Color.FromRgb의 소스 코드에서 알 수 있습니다.

public static Color FromArgb(byte a, byte r, byte g, byte b)
{
    Color result = default(Color);
    result.scRgbColor.a = (float)(int)a / 255f;
    result.scRgbColor.r = sRgbToScRgb(r);
    result.scRgbColor.g = sRgbToScRgb(g);
    result.scRgbColor.b = sRgbToScRgb(b);
    result.context = null;
    result.sRgbColor.a = a;
    result.sRgbColor.r = ScRgbTosRgb(result.scRgbColor.r);
    result.sRgbColor.g = ScRgbTosRgb(result.scRgbColor.g);
    result.sRgbColor.b = ScRgbTosRgb(result.scRgbColor.b);
    result.isFromScRgb = false;
    return result;
}

보는 바와 같이 전달된 R, G, B 값을 변환해 scRgbColor에 설정하고 있고, 심지어 sRgbColor 값조차도 전달된 인자를 대입하지 않고 굳이 ScRgbTosRgb를 통해 설정하고 있습니다. 이후 더하기 연산을 할 때는,

public static Color operator +(Color color1, Color color2)
{
    if (color1.context == null && color2.context == null)
    {
        return FromScRgb(color1.scRgbColor.a + color2.scRgbColor.a, color1.scRgbColor.r + color2.scRgbColor.r, color1.scRgbColor.g + color2.scRgbColor.g, color1.scRgbColor.b + color2.scRgbColor.b);
    }

    if (color1.context == color2.context)
    {
        // ... context에 따른 연산...

        return result;
    }

    throw new ArgumentException(MS.Internal.PresentationCore.SR.Get("Color_ColorContextTypeMismatch", null));
}

(context의 기본값이 null이므로) scRgbColor의 rgba 값을 더하는 연산을 합니다. 따라서 처음에 예로 든 코드를 scRGB 기준으로 다시 출력해 보면,

System.Diagnostics.Trace.WriteLine(newColor1);
System.Diagnostics.Trace.WriteLine(newColor2);

/* 출력 결과
sc#2, 1, 0, 0.00424937764
sc#2, 1, 0, 0.00455290452
*/

다르게 나오므로 정상적으로 더하기 연산은 된 것입니다. 단지, scRGB에서의 저런 차이가 sRGB 값으로 바꿀 때 발생하는 연산 손실로 인해 같은 것처럼 보이는 것입니다.

byte b1 = ScRgbTosRgb(0.00424937764);
byte b2 = ScRgbTosRgb(0.00455290452);

System.Diagnostics.Trace.WriteLine(b1); // 14
System.Diagnostics.Trace.WriteLine(b2); // 14

static byte ScRgbTosRgb(float val)
{
    if (!((double)val > 0.0))
    {
        return 0;
    }

    if ((double)val <= 0.0031308)
    {
        return (byte)(255f * val * 12.92f + 0.5f);
    }

    if ((double)val < 1.0)
    {
        return (byte)(255f * (1.055f * (float)Math.Pow(val, 5.0 / 12.0) - 0.055f) + 0.5f);
    }

    return byte.MaxValue;
}

어쩔 수 없습니다. Color space끼리의 변환이 비가역적인 연산이기 때문에 출력에서의 R, G, B는 그에 대한 부분을 감안해야 합니다.




정리해 보면, WPF가 scRGB를 따르므로 원래 연산은 이런 식으로 했어야 합니다.

Color start = Color.FromScRgb(0, 1, 0, 0.0027317428f);
Color add1 = Color.FromScRgb(0, 0, 0, 0.001517635f);
Color add2 = Color.FromScRgb(0, 0, 0, 0.001821162f);

Color newColor1 = start + add1;
Color newColor2 = start + add2;

System.Diagnostics.Trace.WriteLine(newColor1);
System.Diagnostics.Trace.WriteLine(newColor2);

/* 출력 결과
sc#0, 1, 0, 0.00424937764
sc#0, 1, 0, 0.00455290452
*/

저렇게 보면... 전혀 이상한 것이 없죠?~~~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18/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2-08-19 03시43분
[김기헌] 상세한 글까지 작성해 주시고 너무 감사합니다^^
정수형이 아닌 실수형 체계를 사용하는 이유가 선명도 문제도 그렇고 더 많은 색을 표현하기 위함인 건가요?
[guest]
2022-08-19 09시15분
그 부분은 그래픽에 좀 더 전문가인 분이 답변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저 역시 추측만이 가능합니다.
정성태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358정성태11/15/201726715사물인터넷: 9. Visual Studio 2017에서 Raspberry Pi C++ 응용 프로그램 제작 [1]
11357정성태11/15/201727211개발 환경 구성: 336. 윈도우 10 Bash 쉘에서 C++ 컴파일하는 방법
11356정성태11/15/201728814사물인터넷: 8.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 + 키보드로 쓰는 방법 [4]
11355정성태11/15/201724512사물인터넷: 7.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로 쓰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2
11354정성태11/14/201728753사물인터넷: 6.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키보드로 쓰는 방법 [8]
11353정성태11/14/201725911사물인터넷: 5.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이더넷 카드로 쓰는 방법 [1]
11352정성태11/14/201722032사물인터넷: 4. Samba를 이용해 윈도우와 Raspberry Pi간의 파일 교환 [1]
11351정성태11/7/201725242.NET Framework: 698. C# 컴파일러 대신 직접 구현하는 비동기(async/await) 코드 [6]파일 다운로드1
11350정성태11/1/201721238디버깅 기술: 108. windbg 분석 사례 - Redis 서버로의 호출을 기다리면서 hang 현상 발생
11349정성태10/31/201721740디버깅 기술: 107. windbg - x64 SOS 확장의 !clrstack 명령어가 출력하는 Child SP 값의 의미 [1]파일 다운로드1
11348정성태10/31/201718178디버깅 기술: 106. windbg - x64 역어셈블 코드에서 닷넷 메서드 호출의 인자를 확인하는 방법
11347정성태10/28/201721795오류 유형: 424. Visual Studio - "클래스 다이어그램 보기" 시 "작업을 완료할 수 없습니다. 해당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오류 발생
11346정성태10/25/201718361오류 유형: 423. Windows Server 2003 - The client-side extension could not remove user policy settings for 'Default Domain Policy {...}' (0x8007000d)
11338정성태10/25/201716769.NET Framework: 697. windbg - SOS DumpMT의 "BaseSize", "ComponentSize" 값에 대한 의미파일 다운로드1
11337정성태10/24/201718922.NET Framework: 696. windbg - SOS DumpClass/DumpMT의 "Vtable Slots", "Total Method Slots", "Slots in VTable" 값에 대한 의미파일 다운로드1
11336정성태10/20/201719721.NET Framework: 695. windbg - .NET string의 x86/x64 메모리 할당 구조
11335정성태10/18/201718705.NET Framework: 694. 닷넷 - <Module> 클래스의 용도
11334정성태10/18/201719728디버깅 기술: 105. windbg - k 명령어와 !clrstack을 조합한 호출 스택을 얻는 방법
11333정성태10/17/201718894오류 유형: 422. 윈도우 업데이트 - Code 9C48 Windows update encountered an unknown error.
11332정성태10/17/201719824디버깅 기술: 104. .NET Profiler + 디버거 연결 + .NET Exceptions = cpu high
11331정성태10/16/201718155디버깅 기술: 103. windbg - .NET 4.0 이상의 환경에서 모든 DLL에 대한 심벌 파일을 로드하는 파이썬 스크립트
11330정성태10/16/201717436디버깅 기술: 102. windbg - .NET 4.0 이상의 환경에서 DLL의 심벌 파일 로드 방법 [1]
11329정성태10/15/201721629.NET Framework: 693. C# - 오피스 엑셀 97-2003 .xls 파일에 대해 32비트/64비트 상관없이 접근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328정성태10/15/201724526.NET Framework: 692. C# - 하나의 바이너리로 환경에 맞게 32비트/64비트 EXE를 실행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327정성태10/15/201718332.NET Framework: 691. AssemblyName을 .csproj에서 바꾼 경우 빌드 오류 발생하는 문제파일 다운로드1
11326정성태10/15/201718615.NET Framework: 690. coreclr 소스코드로 알아보는 .NET 4.0의 모듈 로딩 함수 [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