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2047. Golang, Python, C#에서의 CRC32 사용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5642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Golang, Python, C#에서의 CRC32 사용

polyglot 시대에 ^^ 문자열의 hash를 언어 간에 일치하는 것이 필요하곤 합니다. 이럴 때 가볍게 쓸 수 있는 방법이 바로 CRC32인데요, 우선 python은 이렇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import zlib

text = "Hello World"
hash_value = zlib.crc32(text.encode('utf-8'))

print(hash_value) // 출력 결과: 1243066710

Golang의 경우 내부에서 사용할 테이블의 생성 방법을 다양하게 제공하는데요,

const (
    // IEEE is by far and away the most common CRC-32 polynomial.
    // Used by ethernet (IEEE 802.3), v.42, fddi, gzip, zip, png, ...
    IEEE = 0xedb88320

    // Castagnoli's polynomial, used in iSCSI.
    // Has better error detection characteristics than IEEE.
    // https://dx.doi.org/10.1109/26.231911
    Castagnoli = 0x82f63b78

    // Koopman's polynomial.
    // Also has better error detection characteristics than IEEE.
    // https://dx.doi.org/10.1109/DSN.2002.1028931
    Koopman = 0xeb31d82e
)

주석을 통해 짐작할 수 있겠지만, Python과 일치하려면 IEEE 방식을 사용하면 됩니다.

package main

import (
    "fmt"
    "hash/crc32"
)

func main() {
    text := "Hello World"

    b := []byte(text)

    result := crc32.Checksum(b, crc32.MakeTable(crc32.IEEE))
    // 또는,
    // result := crc32.Checksum(b, crc32.IEEETable)
    // 또는,
    // result := crc32.ChecksumIEEE(b)

    fmt.Printf("IEEE: %v\n", result)

    result = crc32.Checksum(b, crc32.MakeTable(crc32.Castagnoli))
    fmt.Printf("Castagnoli: %v\n", result)

    result = crc32.Checksum(b, crc32.MakeTable(crc32.Koopman))
    fmt.Printf("Koopman: %v\n", result)
}

/* 출력 결과
IEEE: 1243066710
Castagnoli: 1763551791
Koopman: 1502986882
*/

마지막으로 C#은 어떨까요? 아쉽게도 기본 BCL에는 포함돼 있지 않고 nuget을 통해 (.NET Platform Extension인) 패키지 설치를 해야 합니다.

// Install-Package System.IO.Hashing -Version 6.0.1
// Install-Package System.IO.Hashing

using System.IO.Hashing;
using System.Text;

// Crc32 Class
// https://docs.microsoft.com/en-us/dotnet/api/system.io.hashing.crc32
Crc32 crc32 = new Crc32();

var bytes = Encoding.UTF8.GetBytes("Hello World");
crc32.Append(bytes);

Console.WriteLine(BitConverter.ToInt32(crc32.GetCurrentHash())); // 1243066710

사실 CRC 코드가 워낙 간단해서,

// Crc32.cs

private static uint Update(uint crc, ReadOnlySpan<byte> source)
{
    for (int i = 0; i < source.Length; i++)
    {
        byte idx = (byte)crc;
        idx ^= source[i];
        crc = s_crcLookup[idx] ^ (crc >> 8);
    }

    return crc;
}

직접 각 언어별로 만들어서 사용해 됩니다. 단지 Python의 경우는 C 언어로 만들어진 zlib의 native 코드가 실행되는 것이므로 성능을 생각한다면 직접 만드는 것은 좋은 선택이 아닙니다.




참고로, 한 가지 주의 사항이 있는데요, 언어마다 다른 자료형으로 인해 음수를 가질 수 있는 hash 값에 대한 후처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가령 "ed43aa2a-586d-46b2-b103-92e17bf00eaf"라는 문자열은 언어마다 다른 출력을 갖습니다.

// "ed43aa2a-586d-46b2-b103-92e17bf00eaf" CRC-32 결과

Python: 2811875030
Golang: 2811875030
C#: -1483092266

가령 Golang의 경우 int 타입을 반환하는데 이것은 64비트에 해당하므로 0x80_00_00_00 이상의 값을 음수가 아닌 양수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반면, C#은 부호 있는 4바이트이므로 0x7f_00_00_00(2,147,483,647)를 넘으면 음수로 표현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해당 값을 언어 간에 직렬화/역직렬화 시 그에 대한 처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가령, Golang에서 직렬화한 "2811875030" 값을 C#에서 단순히 Int.Parse로 복원하면,

// 예외 발생
// Unhandled exception. System.OverflowException: Value was either too large or too small for an Int32.
int result = int.Parse("2811875030");

예외가 발생하므로, 정확한 바이트 범위를 서로 간에 약속해야 합니다. 가령 long으로 처리할지, 아니면 4바이트 부호 있는 정수로 합의하면 되는데, 후자로 정했다면 파이썬은 이런 식으로 처리를 추가해야 합니다.

// How to get the signed integer value of a long in python?
//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1375897/how-to-get-the-signed-integer-value-of-a-long-in-python
import zlib
import ctypes

text = "ed43aa2a-586d-46b2-b103-92e17bf00eaf"
hash_value = zlib.crc32(text.encode('utf-8'))
hash_value = hash_value & 0xFFFFFFFF
hash_value = ctypes.c_int32(hash_value).value

print(hash_value) // 출력 결과: -1483092266

반면 Golang은 간단하게 형변환만 하면 됩니다.

var result int32
result = int32(crc32.Checksum(b, crc32.IEEETable))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9/14/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274정성태8/22/201719411.NET Framework: 674. Thread 타입의 Suspend/Resume/Join 사용 관련 예외 처리
11273정성태8/22/201721634오류 유형: 415. 윈도우 업데이트 에러 Error 0x80070643
11272정성태8/21/201724826VS.NET IDE: 120. 비주얼 스튜디오 2017 버전 15.3.1 - C# 7.1 공개 [2]
11271정성태8/19/201719269VS.NET IDE: 119. Visual Studio 2017에서 .NET Core 2.0 프로젝트 환경 구성하는 방법
11270정성태8/17/201730735.NET Framework: 673. C#에서 enum을 boxing 없이 int로 변환하기 [2]
11269정성태8/17/201721504디버깅 기술: 93. windbg - 풀 덤프에서 .NET 스레드의 상태를 알아내는 방법
11268정성태8/14/201721096디버깅 기술: 92. windbg - C# Monitor Lock을 획득하고 있는 스레드 찾는 방법
11267정성태8/10/201725158.NET Framework: 672. 모노 개발 환경
11266정성태8/10/201724970.NET Framework: 671. C# 6.0 이상의 소스 코드를 Visual Studio 설치 없이 명령행에서 컴파일하는 방법
11265정성태8/10/201753203기타: 66. 도서: 시작하세요! C# 7.1 프로그래밍: 기본 문법부터 실전 예제까지 [11]
11264정성태8/9/201724144오류 유형: 414. UWP app을 signtool.exe로 서명 시 0x8007000b 오류 발생
11263정성태8/9/201719613오류 유형: 413. The C# project "..." is targeting ".NETFramework, Version=v4.0", which is not installed on this machine. [3]
11262정성태8/5/201718260오류 유형: 412. windbg - SOS does not support the current target architecture. [3]
11261정성태8/4/201720837디버깅 기술: 91. windbg - 풀 덤프 파일로부터 강력한 이름의 어셈블리 추출 후 사용하는 방법
11260정성태8/3/201718959.NET Framework: 670. C# - 실행 파일로부터 공개키를 추출하는 방법
11259정성태8/2/201718195.NET Framework: 669. 지연 서명된 어셈블리를 sn.exe -Vr 등록 없이 사용하는 방법
11258정성태8/1/201719033.NET Framework: 668. 지연 서명된 DLL과 서명된 DLL의 차이점파일 다운로드1
11257정성태7/31/201719182.NET Framework: 667. bypassTrustedAppStrongNames 옵션 설명파일 다운로드1
11256정성태7/25/201720664디버깅 기술: 90. windbg의 lm 명령으로 보이지 않는 .NET 4.0 ClassLibrary를 명시적으로 로드하는 방법 [1]
11255정성태7/18/201723224디버깅 기술: 89. Win32 Debug CRT Heap Internals의 0xBAADF00D 표시 재현 [1]파일 다운로드3
11254정성태7/17/201719603개발 환경 구성: 322. "Visual Studio Emulator for Android" 에뮬레이터를 "Android Studio"와 함께 쓰는 방법
11253정성태7/17/201719973Math: 21. "Coding the Matrix" 문제 2.5.1 풀이 [1]파일 다운로드1
11252정성태7/13/201718467오류 유형: 411. RTVS 또는 PTVS 실행 시 Could not load type 'Microsoft.VisualStudio.InteractiveWindow.Shell.IVsInteractiveWindowFactory2'
11251정성태7/13/201717180디버깅 기술: 88. windbg 분석 - webengine4.dll의 MgdExplicitFlush에서 발생한 System.AccessViolationException의 crash 문제 (2)
11250정성태7/13/201720735디버깅 기술: 87. windbg 분석 - webengine4.dll의 MgdExplicitFlush에서 발생한 System.AccessViolationException의 crash 문제 [1]
11249정성태7/12/201718557오류 유형: 410. LoadLibrary("[...].dll") failed - The specified procedure could not be found.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