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18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1110. C# 11 - 인터페이스 내에 정적 추상 메서드 정의 가능 (DIM for Static Members)
; https://www.sysnet.pe.kr/2/0/12814

.NET Framework: 1118. C# 11 - 제네릭 타입의 특성 적용
; https://www.sysnet.pe.kr/2/0/12839

.NET Framework: 1182. C# 11  - ref struct에 ref 필드를 허용
; https://www.sysnet.pe.kr/2/0/13015

.NET Framework: 2025. C# 11  - 원시 문자열 리터럴(raw string literals)
; https://www.sysnet.pe.kr/2/0/13085

.NET Framework: 2026. C# 11 - 문자열 보간 개선 2가지
; https://www.sysnet.pe.kr/2/0/13086

.NET Framework: 2030. C# 11 - UTF-8 문자열 리터럴
; https://www.sysnet.pe.kr/2/0/13096

.NET Framework: 2031. C# 11 - 사용자 정의 checked 연산자
; https://www.sysnet.pe.kr/2/0/13099

.NET Framework: 2032. C# 11 - shift 연산자 재정의에 대한 제약 완화 (Relaxing Shift Operator)
; https://www.sysnet.pe.kr/2/0/13100

.NET Framework: 2035. C# 11 - 새로운 연산자 ">>>" (Unsigned Right Shift)
; https://www.sysnet.pe.kr/2/0/13110

.NET Framework: 2036. C# 11 - IntPtr/UIntPtr과 nint/nuint의 통합
; https://www.sysnet.pe.kr/2/0/13111

.NET Framework: 2037. C# 11 - 목록 패턴(List patterns)
; https://www.sysnet.pe.kr/2/0/13112

.NET Framework: 2038. C# 11 - Span 타입에 대한 패턴 매칭 (Pattern matching on ReadOnlySpan<char>)
; https://www.sysnet.pe.kr/2/0/13113

.NET Framework: 2042. C# 11 - 파일 범위 내에서 유효한 타입 정의 (File-local types)
; https://www.sysnet.pe.kr/2/0/13117

.NET Framework: 2045. C# 11 - 메서드 매개 변수에 대한 nameof 지원
; https://www.sysnet.pe.kr/2/0/13122

.NET Framework: 2046. C# 11 - 멤버(속성/필드)에 지정할 수 있는 required 예약어 추가
; https://www.sysnet.pe.kr/2/0/13123

.NET Framework: 2048. C# 11 - 구조체 필드의 자동 초기화(auto-default structs)
; https://www.sysnet.pe.kr/2/0/13125

.NET Framework: 2049. C# 11 - 정적 메서드에 대한 delegate 처리 시 cache 적용
; https://www.sysnet.pe.kr/2/0/13126

.NET Framework: 2102. C# 11 - ref struct/ref field를 위해 새롭게 도입된 scoped 예약어
; https://www.sysnet.pe.kr/2/0/13276




C# 11 - 정적 메서드에 대한 delegate 처리 시 cache 적용

자, 이것으로 C# 11의 마지막 글이 되겠습니다. ^^ 그런 만큼, 부담 없는 내용으로 가보겠습니다. 이번 기능은 딱히 외적으로 바뀌는 것이 아닌, 그냥 기존 소스 코드를 컴파일하면 자동으로 적용되는 부분입니다.

제목에서 이미 눈치채셨겠지만, 기존 C# 컴파일러는 static 메서드에 대한 delegate를 처리할 때,

using System;

public class Test
{
    public static void Main()
    {
        TestMethod();
    }

    private static void TestMethod()
    {
        Action<string> action = Output;
        action("Hello World!");
    }

    static void Output(string text)
    {
        Console.WriteLine(text);
    }
}

다음과 같은 식으로 풀어냅니다.

// ...[생략]...

private static void TestMethod()
{
    Action<string> action = new Action<string>(Test.Output);
    action("Hello World!");
}

// ...[생략]...

사실 딱히 이상한 것은 없습니다. 단지, Test.Output 메서드를 받는 delegate 인스턴스(위의 경우 Action)을 매번 생성한다는 부담이 있는 정도입니다. 만약 저 TestMethod가 자주 불리는 상황에서 성능을 개선하고 싶다면, 그러니까, 가령 GC Heap 할당을 줄이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cache 처리를 하면 됩니다.

static Action<string>? _action;

private static void TestMethod()
{
    if (_action == null)
    {
        _action = Output;
    }
        
    _action("Hello World!");
}

바로 저 과정! 저것을 C# 11 컴파일러부터는 알아서 해주겠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첫 번째 예제 코드를 C# 11로 빌드하면 이렇게 바뀌어서 컴파일이 됩니다.

private static void TestMethod()
{
    Action<string> action2;
    if ((action2 = Test.<>O.<0>__Output) == null)
    {
        action2 = (Test.<>O.<0>__Output = new Action<string>(Test.Output));
    }
    Action<string> action = action2;
    action("Hello World!");
}

문법적으로 바뀐 것은 없고, 알아서 해주는 거니까 말 그대로 "Free Lunch"를 즐기시면 됩니다. ^^




그나저나, 코드가 좀 낯이 익죠? ^^ 실제로 dynamic을 처리할 때도,

C# 4.0 - dynamic 키워드
; https://www.sysnet.pe.kr/2/0/766

저렇게 cache 용도를 두는 것과 유사합니다.




(이것으로 C# 11의 모든 기능을 살펴봤고, C# 12로 넘어가실 수 있습니다. ^^)




C# 11 - 인터페이스 내에 정적 추상 메서드 정의 가능 (공식 문서, Static Abstract Members In Interfaces C# 10 Preview)
; https://www.sysnet.pe.kr/2/0/12814

C# 11 - 제네릭 타입의 특성 적용 (공식 문서, Generic attributes)
; https://www.sysnet.pe.kr/2/0/12839

C# 11 - 사용자 정의 checked 연산자 (공식 문서, Checked user-defined operators)
; https://www.sysnet.pe.kr/2/0/13099

C# 11 - shift 연산자 재정의에 대한 제약 완화 (공식 문서, Relaxing Shift Operator)
; https://www.sysnet.pe.kr/2/0/13100

C# 11 - IntPtr/UIntPtr과 nint/unint의 통합 (공식 문서, Numeric IntPtr)
; https://www.sysnet.pe.kr/2/0/13111

C# 11 - 새로운 연산자 ">>>" (Unsigned Right Shift) (공식 문서, Unsigned right shift operator)
; https://www.sysnet.pe.kr/2/0/13110

C# 11 - 원시 문자열 리터럴 (공식 문서, raw string literals)
; https://www.sysnet.pe.kr/2/0/13085

C# 11 - 문자열 보간 개선 2가지 (공식 문서, Allow new-lines in all interpolations)
; https://www.sysnet.pe.kr/2/0/13086

C# 11 - 목록 패턴 (공식 문서, List patterns)
; https://www.sysnet.pe.kr/2/0/13112

C# 11 - Span 타입에 대한 패턴 매칭 (공식 문서, Pattern matching on ReadOnlySpan<char>)
; https://www.sysnet.pe.kr/2/0/13113

C# 11 - Utf8 문자열 리터럴 지원 (공식 문서, Utf8 Strings Literals)
; https://www.sysnet.pe.kr/2/0/13096

C# 11 - ref 필드 (공식 문서, ref fields)
; https://www.sysnet.pe.kr/2/0/13015

C# 11 - 파일 범위 내에서 유효한 타입 정의 (공식 문서, File-local types)
; https://www.sysnet.pe.kr/2/0/13117

C# 11 - 메서드 매개 변수에 대한 nameof 지원 (공식 문서, nameof(parameter))
; https://www.sysnet.pe.kr/2/0/13122

C# 11 - 멤버(속성/필드)에 지정할 수 있는 required 예약어 추가 (공식 문서, Required members)
; https://www.sysnet.pe.kr/2/0/13123

C# 11 - 구조체 필드의 자동 초기화 (공식 문서, auto-default structs)
; https://www.sysnet.pe.kr/2/0/13125

C# 11 - 정적 메서드에 대한 delegate 처리 시 cache 적용 (공식 문서, Cache delegates for static method group)
; https://www.sysnet.pe.kr/2/0/13126

Language Feature Status
; https://github.com/dotnet/roslyn/blob/main/docs/Language%20Feature%20Status.md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8/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286정성태6/23/200622400웹: 4. 웹 사이트 식별자(Identifier) 값 변경
285정성태6/20/200622650오류 유형: 9. [TFS] Report 관련 서비스를 조회할 때 rsErrorImpersonatingUser 오류 메시지 발생 [1]
284정성태6/19/200620412VS.NET IDE: 40. FxCop - IDE 에서 제공해 주는 SuppressMessage 코드
283정성태1/19/200721300Team Foundation Server: 8. 소스 세이프에서 TFS SourceControl 로 마이그레이션 [2]
279정성태12/27/200626692개발 환경 구성: 3. VS.NET 원격 디버깅 [1]
280정성태6/12/200626156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3.1. VS.NET 2003 원격 디버깅 설정
281정성태8/11/200627642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3.2. VS.NET 2005 원격 디버깅 설정
315정성태8/11/200628281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3.3. VS.NET 2005 원격 디버깅 설정 - ASP.NET F5 디버깅
278정성태6/11/200624845오류 유형: 8. [Outlook] 0x8004011D 에러 - "Exchange over the Internet" 환경
276정성태6/7/200618279Team Foundation Server: 7. 외부 빌드 머신 구성
287정성태6/24/200615936    답변글 Team Foundation Server: 7.1. 외부 빌드 머신 구성 - 다른 블로그 자료
275정성태6/7/200623839디버깅 기술: 4. VC++ 8.0 원격 디버깅 구성 - Side-by-Side DLL 문제.
269정성태6/6/200621025Team Foundation Server: 6. HTTPS를 통한 Team Server 접근 [1]
270정성태6/5/200617986    답변글 Team Foundation Server: 6.1. HTTPS를 통한 Team Server 접근 [1]
273정성태6/6/200620717    답변글 Team Foundation Server: 6.2. 두번째 방법 - HTTPS 를 통한 Team Server 접근 [1]
267정성태6/4/200620028Team Foundation Server: 5. 인터넷으로 Team Server 접근 [2]
266정성태6/8/200616630오류 유형: 7. [설치] mpoai9.dll 관련 오류
265정성태6/1/200624364디버깅 기술: 3. 원격 컴퓨터 디버깅 - VPC 설정
314정성태8/11/200621438    답변글 디버깅 기술: 3.1. Managed 원격 디버깅과 WinDBG 원격 디버깅
264정성태6/1/200630539오류 유형: 6. [VC++ 컴파일] already defined in ntdll.lib(ntdll.dll)
263정성태6/1/200631461디버깅 기술: 2. 커널 구조체 살펴보기 [5]
262정성태6/1/200623849오류 유형: 5. [설치] WinFX Beta2 - 설치시 문제점 해결
261정성태6/1/200620297웹: 3. IIS 6.0 - AppPool을 활용하여 실 서버(운영 서버)에서 디버깅
258정성태6/1/200628213디버깅 기술: 1. 디버깅 방법 - CLR 프로파일러 [1]파일 다운로드1
274정성태6/7/200621125    답변글 디버깅 기술: 1.1. 디버깅 방법 - CLR 프로파일러 ( on Vista )
254정성태6/1/200617579개발 환경 구성: 2. VPC에 Vista 설치하는 방법 [2]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