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Windows - (commit이 아닌) reserved 메모리 사용량 확인 방법

아래의 글에서,

Commit 메모리가 낮은 상황에서도 메모리 부족(Out-of-memory) 예외 발생
; https://www.sysnet.pe.kr/2/0/11110

덧글로 질문이 달렸군요. ^^ 사실 다음의 글에서 한번 설명을 했는데,

작업 관리자에서의 "Commit size"가 가리키는 메모리의 의미
; https://www.sysnet.pe.kr/2/0/1850

별로 주목을 받지 못하는 듯합니다. ^^; 그래서 약간의 첨언 차원에서 글로 남깁니다.




언급한 대로, 관련 정보를 확인하려면 sysinternal 도구의 힘을 빌려야 합니다.

Process Explorer
; https://learn.microsoft.com/en-us/sysinternals/downloads/process-explorer

더군다나 기본적으로는 해당 정보를 보여주지 않기 때문에, 다음 화면과 같이 "Process Memory" 범주의 "Virtual Size"를 선택해야 합니다.

check_reserved_memory_2.png

그럼, 가장 우측에 추가된 "Virtual Size" 칼럼으로 "1,608,640 K" 값을 확인할 수 있는데 그게 바로 "예약까지 포함한 가상 메모리 크기"입니다. 여기서 재미있는 건, 64비트 응용 프로그램의 경우 기본적으로 가상 메모리가 크게 잡혀(예약돼) 있는데, 주소 공간이 남으니 연속 메모리 공간을 편의상 충분히 점유해 두는 듯합니다. (달리 말하면, 64비트 시대인 지금 가상 메모리 예약은 의미 없는 정보가 되었습니다.)

이것 외에도 더욱 자세한 정보를 보여주는 VMMap도 쓸 만합니다.

VMMap
; https://learn.microsoft.com/en-us/sysinternals/downloads/vmmap

"Commit 메모리가 낮은 상황에서도 메모리 부족(Out-of-memory) 예외 발생" 글의 예제 코드를 실행시키고, VMMap으로 확인해 보면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

check_reserved_memory_1.png

보는 바와 같이, "Committed" 외에 "Size"가 나오는데 그게 바로 reserved까지 포함한 가상 메모리 크기입니다. 게다가 메모리를 사용한 유형도 알 수 있는데, 예제 코드의 경우 스레드를 생성해 1MB 스택이 점유되는 방식이므로 "Stack" 유형으로 "1,935,360 K"가 잡힌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하단의 grid 영역에는 생성된 스레드 하나 당 "1,024 K"가 점유되고 "16 K"가 Committed 상태인 것도 볼 수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4/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2-10-05 01시37분
[taoist]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덕분에 실제로 메모리를 어느정도 사용중인지 파악했고 결국 다른 글에서 다뤄주신 메모리 제한을 늘리는 방향으로 해결했습니다:D
[guest]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073정성태12/10/201913539Linux: 24. Linux/C# - 실행 파일이 아닌 스크립트 형식의 명령어를 Process.Start로 실행하는 방법
12072정성태12/9/201910954오류 유형: 583. iisreset 수행 시 "No such interface supported" 오류
12071정성태12/9/201913268오류 유형: 582. 리눅스 디스크 공간 부족 및 safemode 부팅 방법
12070정성태12/9/201915438오류 유형: 581. resize2fs: Bad magic number in super-block while trying to open /dev/.../root
12069정성태12/2/201911796디버깅 기술: 139. windbg - x64 덤프 분석 시 메서드의 인자 또는 로컬 변수의 값을 확인하는 방법
12068정성태11/28/201915144디버깅 기술: 138. windbg와 Win32 API로 알아보는 Windows Heap 정보 분석 [3]파일 다운로드2
12067정성태11/27/201911807디버깅 기술: 137. 실제 사례를 통해 Debug Diagnostics 도구가 생성한 닷넷 웹 응용 프로그램의 성능 장애 보고서 설명 [1]파일 다운로드1
12066정성태11/27/201911650디버깅 기술: 136. windbg - C# PInvoke 호출 시 마샬링을 담당하는 함수 분석 - OracleCommand.ExecuteReader에서 OpsSql.Prepare2 PInvoke 호출 분석
12065정성태11/25/201910527디버깅 기술: 135. windbg - C# PInvoke 호출 시 마샬링을 담당하는 함수 분석파일 다운로드1
12064정성태11/25/201912714오류 유형: 580. HTTP Error 500.0/500.33 - ANCM In-Process Handler Load Failure
12063정성태11/21/201911726디버깅 기술: 134. windbg - RtlReportCriticalFailure로부터 parameters 정보 찾는 방법
12062정성태11/21/201911829디버깅 기술: 133. windbg - CoTaskMemFree/FreeCoTaskMem에서 발생한 덤프 분석 사례 - 두 번째 이야기
12061정성태11/20/201911989Windows: 167. CoTaskMemAlloc/CoTaskMemFree과 윈도우 Heap의 관계
12060정성태11/20/201912356디버깅 기술: 132. windbg/Visual Studio - HeapFree x64의 동작 분석
12059정성태11/20/201911957디버깅 기술: 131. windbg/Visual Studio - HeapFree x86의 동작 분석
12058정성태11/19/201912757디버깅 기술: 130. windbg - CoTaskMemFree/FreeCoTaskMem에서 발생한 덤프 분석 사례
12057정성태11/18/20199884오류 유형: 579. Visual Studio - Memory 창에서 유효한 주소 영역임에도 "Unable to evaluate the expression." 오류 출력
12056정성태11/18/201913735개발 환경 구성: 464. "Microsoft Visual Studio Installer Projects" 프로젝트로 EXE 서명 및 MSI 파일 서명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055정성태11/17/20199458개발 환경 구성: 463. Visual Studio의 Ctrl + Alt + M, 1 (Memory 1) 등의 단축키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12054정성태11/15/201910768.NET Framework: 869. C# - 일부러 GC Heap을 깨뜨려 GC 수행 시 비정상 종료시키는 예제
12053정성태11/15/201912472Windows: 166. 윈도우 10 - 명령행 창(cmd.exe) 속성에 (DotumChe, GulimChe, GungsuhChe 등의) 한글 폰트가 없는 경우
12052정성태11/15/201911565오류 유형: 578. Azure - 일정(schedule)에 등록한 runbook이 1년 후 실행이 안 되는 문제(Reason - The key used is expired.)
12051정성태11/14/201914030개발 환경 구성: 462. 시작하자마자 비정상 종료하는 프로세스의 메모리 덤프 - procdump [1]
12050정성태11/14/201911734Windows: 165. AcLayers의 API 후킹과 FaultTolerantHeap
12049정성태11/13/201911832.NET Framework: 868. (닷넷 프로세스를 대상으로) 디버거 방식이 아닌 CLR Profiler를 이용해 procdump.exe 기능 구현
12048정성태11/12/201912588Windows: 164. GUID 이름의 볼륨에 해당하는 파티션을 찾는 방법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