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6개 있습니다.)
Linux: 26.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메모리 덤프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078

Linux: 27. linux - lldb를 이용한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의 메모리 덤프 분석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083

.NET Framework: 2053. 리눅스 환경의 .NET Core 3/5+ 메모리 덤프를 분석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3135

.NET Framework: 2054. .NET Core/5+ SDK 설치 없이 dotnet-dump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136

.NET Framework: 2055. 리눅스 환경의 .NET Core 3/5+ 메모리 덤프로부터 닷넷 모듈을 추출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137

.NET Framework: 2057. 리눅스 환경의 .NET Core 3/5+ 메모리 덤프로부터 모든 닷넷 모듈을 추출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139




리눅스 환경의 .NET Core 3/5+ 메모리 덤프로부터 닷넷 모듈을 추출하는 방법

윈도우 환경이라면,

windbg - 풀 덤프 파일로부터 .NET DLL을 추출/저장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0943

위의 글에 설명한 방법으로 !savemodule 명령어를 이용하면 닷넷 모듈을 추출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리눅스 환경의 닷넷 코어/5+에서는 sos 확장에 savemodule을 웬일인지 지원하지 않습니다. 그래도 뭔가 방법이 있으니까 이 글을 썼겠죠? ^^




어차피, .NET 모듈의 포맷은 운영체제 환경에 따라 달라지는 것은 아니므로 우리가 알아내야 할 것은 결국 메모리 덤프 파일 내에서의 이미지 주소를 어떻게 구하느냐에 따라 결정됩니다.

다행히, dotnet-dump는 (windbg와 유사하게) lm/modules 또는 clrmodules 명령을 제공하므로,

Analyze SOS commands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core/diagnostics/dotnet-dump#analyze-sos-commands

이것을 실행하면 각 모듈의 시작과 크기를 알 수 있습니다.

$ dotnet-dump analyze core_20221004_133846
Loading core dump: core_20221004_133846 ...
Ready to process analysis commands. Type 'help' to list available commands or 'help [command]' to get detailed help on a command.
Type 'quit' or 'exit' to exit the session.

> lm
...[생략]...
00007FAA1C093000 00061000 /app/System.Configuration.ConfigurationManager.dll
00007FB6D0020000 00042000 /app/log4net.dll
00007FB6D7C20000 00055200 /usr/share/dotnet/shared/Microsoft.NETCore.App/3.1.22/System.Net.WebClient.dll
...[생략]...

> clrmodules
...[생략]...
00007FAA1C093000 00060A68 /app/System.Configuration.ConfigurationManager.dll
00007FB6D0020000 0003F000 /app/log4net.dll
00007FB6D7C20000 00055200 /usr/share/dotnet/shared/Microsoft.NETCore.App/3.1.22/System.Net.WebClient.dll
...[생략]...
>

lm/modules 명령은 native 모듈까지 모두 열람하므로 닷넷 모듈만 보여주는 clrmodules 명령어를 사용하는 것이 좀 더 출력을 (그래도 많지만) 단순화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다소 혼란스러운 것은 2개의 명령어가 출력하는 모듈의 시작 주소는 같은 반면, 크기가 다소 다른 경우가 있습니다.

위의 예제에서 log4net.dll은 lm 쪽의 것이 파일의 크기가 더 큽니다. 파일 파서를 작성해 보신 분이라면 짐작하시겠지만, 보통은 더 많은 바이트를 확보하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으므로 의심스러우면 00042000 크기를 선택하면 됩니다. 어쨌든, 실제로 테스트를 해보면 될 일이죠? ^^

아쉽게도, dotnet-dump로는 덤프 파일로부터 특정 메모리의 내용을 파일로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이 없으므로, 이제부터는 windbg로 덤프 파일을 열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core_20221007_000149" 파일에 ".dmp" 확장자를 주고 Windbg Preview 버전으로 열면, 다음과 같이 .writemem 명령어를 이용해 덤프 파일 내의 특정 메모리 위치를 파일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0:000> .writemem c:\temp\log4net.dll 00007FB6D0020000 L 0003F000
Writing 3f000 bytes.............................

그리고 이것을 dnSpy와 같은 도구로 열어 보면,

module_from_dotnet_dump_1.png

decompiler가 잘 파싱하고 있습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8/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392정성태12/7/201719565개발 환경 구성: 341. openSUSE에 닷넷 코어 설치
11391정성태12/7/201722638개발 환경 구성: 340. WSL을 이용해 윈도우 PC 1대에서 openSUSE 응용 프로그램을 Visual Studio로 개발하는 방법 [1]
11390정성태12/7/201731766개발 환경 구성: 339. WSL을 이용해 윈도우 PC 1대에서 Linux 응용 프로그램을 Visual Studio로 개발하는 방법 [6]
11389정성태12/7/201720401오류 유형: 440. .NET Core 오류 - 0x80131620 Unable to load DLL 'libuv'
11388정성태12/6/201724218개발 환경 구성: 338. WSL 또는 Ubuntu에 닷넷 코어 설치 [3]
11387정성태12/6/201723866오류 유형: 439. 이벤트 로그 - Data Sharing Service 서비스의 %%3239247874 오류 메시지
11386정성태12/5/201720139오류 유형: 438. Hyper-V - '...' failed to add device 'Virtual CD/DVD Disk'
11385정성태12/5/201733551VC++: 121.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Visual C++) [16]파일 다운로드1
11384정성태12/5/201723042오류 유형: 437. Visual C++ - Cannot open include file: 'SDKDDKVer.h'
11383정성태12/4/201725335디버깅 기술: 110. 비동기 코드 실행 중 예외로 인한 ASP.NET 프로세스 비정상 종료 현상 [1]
11382정성태12/4/201724666오류 유형: 436. System.Data.SqlClient.SqlException (0x80131904): Connection Timeout Expired 예외 발생 시 "[Pre-Login] initialization=48; handshake=1944;" 값의 의미
11381정성태11/30/201721079.NET Framework: 702. 한글이 포함된 바이트 배열을 나눈 경우 한글이 깨지지 않도록 다시 조합하는 방법(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1380정성태11/30/201720980디버깅 기술: 109. windbg - (x64에서의 인자 값 추적을 이용한) Thread.Abort 시 대상이 되는 스레드를 식별하는 방법
11379정성태11/30/201720538오류 유형: 435. System.Web.HttpException - Session state has created a session id, but cannot save it because the response was already flushed by the application.
11378정성태11/29/201722424.NET Framework: 701. 한글이 포함된 바이트 배열을 나눈 경우 한글이 깨지지 않도록 다시 조합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377정성태11/29/201722243.NET Framework: 700. CommonOpenFileDialog 사용 시 사용자가 선택한 파일 목록을 구하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11376정성태11/28/201727099VS.NET IDE: 123. Visual Studio 편집기의 \r\n (crlf) 개행을 \n으로 폴더 단위로 설정하는 방법
11375정성태11/28/201720266오류 유형: 434. Visual Studio로 ASP.NET 디버깅 중 System.Web.HttpException - Could not load type 오류
11374정성태11/27/201726818사물인터넷: 14. 라즈베리 파이 - (윈도우의 NT 서비스처럼) 부팅 시 시작하는 프로그램 설정 [1]
11373정성태11/27/201725808오류 유형: 433. Raspberry Pi/Windows 다중 플랫폼 지원 컴파일 관련 오류 기록
11372정성태11/25/201728127사물인터넷: 13. 윈도우즈 사용자를 위한 라즈베리 파이 제로 W 모델을 설정하는 방법 [4]
11371정성태11/25/201721907오류 유형: 432. Hyper-V 가상 스위치 생성 시 Failed to connect Ethernet switch port 0x80070002 오류 발생
11370정성태11/25/201722308오류 유형: 431. Hyper-V의 Virtual Switch 생성 시 "External network" 목록에 특정 네트워크 어댑터 항목이 없는 경우
11369정성태11/25/201723872사물인터넷: 12.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키보드 및 마우스로 쓰는 방법 (절대 좌표, 상대 좌표, 휠) [1]
11368정성태11/25/201729171.NET Framework: 699. UDP 브로드캐스트 주소 255.255.255.255와 192.168.0.255의 차이점과 이를 고려한 C# UDP 서버/클라이언트 예제 [2]파일 다운로드1
11367정성태11/25/201729887개발 환경 구성: 337. 윈도우 운영체제의 route 명령어 사용법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