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6개 있습니다.)
Linux: 26.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메모리 덤프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078

Linux: 27. linux - lldb를 이용한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의 메모리 덤프 분석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083

.NET Framework: 2053. 리눅스 환경의 .NET Core 3/5+ 메모리 덤프를 분석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3135

.NET Framework: 2054. .NET Core/5+ SDK 설치 없이 dotnet-dump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136

.NET Framework: 2055. 리눅스 환경의 .NET Core 3/5+ 메모리 덤프로부터 닷넷 모듈을 추출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137

.NET Framework: 2057. 리눅스 환경의 .NET Core 3/5+ 메모리 덤프로부터 모든 닷넷 모듈을 추출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139




리눅스 환경의 .NET Core 3/5+ 메모리 덤프로부터 닷넷 모듈을 추출하는 방법

윈도우 환경이라면,

windbg - 풀 덤프 파일로부터 .NET DLL을 추출/저장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0943

위의 글에 설명한 방법으로 !savemodule 명령어를 이용하면 닷넷 모듈을 추출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리눅스 환경의 닷넷 코어/5+에서는 sos 확장에 savemodule을 웬일인지 지원하지 않습니다. 그래도 뭔가 방법이 있으니까 이 글을 썼겠죠? ^^




어차피, .NET 모듈의 포맷은 운영체제 환경에 따라 달라지는 것은 아니므로 우리가 알아내야 할 것은 결국 메모리 덤프 파일 내에서의 이미지 주소를 어떻게 구하느냐에 따라 결정됩니다.

다행히, dotnet-dump는 (windbg와 유사하게) lm/modules 또는 clrmodules 명령을 제공하므로,

Analyze SOS commands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core/diagnostics/dotnet-dump#analyze-sos-commands

이것을 실행하면 각 모듈의 시작과 크기를 알 수 있습니다.

$ dotnet-dump analyze core_20221004_133846
Loading core dump: core_20221004_133846 ...
Ready to process analysis commands. Type 'help' to list available commands or 'help [command]' to get detailed help on a command.
Type 'quit' or 'exit' to exit the session.

> lm
...[생략]...
00007FAA1C093000 00061000 /app/System.Configuration.ConfigurationManager.dll
00007FB6D0020000 00042000 /app/log4net.dll
00007FB6D7C20000 00055200 /usr/share/dotnet/shared/Microsoft.NETCore.App/3.1.22/System.Net.WebClient.dll
...[생략]...

> clrmodules
...[생략]...
00007FAA1C093000 00060A68 /app/System.Configuration.ConfigurationManager.dll
00007FB6D0020000 0003F000 /app/log4net.dll
00007FB6D7C20000 00055200 /usr/share/dotnet/shared/Microsoft.NETCore.App/3.1.22/System.Net.WebClient.dll
...[생략]...
>

lm/modules 명령은 native 모듈까지 모두 열람하므로 닷넷 모듈만 보여주는 clrmodules 명령어를 사용하는 것이 좀 더 출력을 (그래도 많지만) 단순화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다소 혼란스러운 것은 2개의 명령어가 출력하는 모듈의 시작 주소는 같은 반면, 크기가 다소 다른 경우가 있습니다.

위의 예제에서 log4net.dll은 lm 쪽의 것이 파일의 크기가 더 큽니다. 파일 파서를 작성해 보신 분이라면 짐작하시겠지만, 보통은 더 많은 바이트를 확보하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으므로 의심스러우면 00042000 크기를 선택하면 됩니다. 어쨌든, 실제로 테스트를 해보면 될 일이죠? ^^

아쉽게도, dotnet-dump로는 덤프 파일로부터 특정 메모리의 내용을 파일로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이 없으므로, 이제부터는 windbg로 덤프 파일을 열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core_20221007_000149" 파일에 ".dmp" 확장자를 주고 Windbg Preview 버전으로 열면, 다음과 같이 .writemem 명령어를 이용해 덤프 파일 내의 특정 메모리 위치를 파일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0:000> .writemem c:\temp\log4net.dll 00007FB6D0020000 L 0003F000
Writing 3f000 bytes.............................

그리고 이것을 dnSpy와 같은 도구로 열어 보면,

module_from_dotnet_dump_1.png

decompiler가 잘 파싱하고 있습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8/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374정성태10/25/200631021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4. 사용자 입장에서의 HTTPS 접근 (2)
391정성태11/7/200635072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5. 사용자 인증서 발급
392정성태11/11/200647868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6. 인증서 관리 (1) - 내보내기/가져오기
394정성태11/9/200632518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7. 인증서 관리 (2) - 개인키를 내보낼 수 있는 유형의 인증서 발급 [1]
395정성태11/9/200644518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8. 인증서 관리 (3) - 인증서 MMC 관리자 사용
414정성태12/23/200636520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9. CRL(Certificate Revocation List) 관리
428정성태12/31/200649196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10. IIS 7 - SSL 사이트 설정하는 방법 [4]
429정성태12/31/200635824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11. 서비스를 위한 인증서 설치
352정성태10/2/200625066개발 환경 구성: 17. VPC에 Linux 설치하는 방법 [1]
351정성태10/8/200627608개발 환경 구성: 16. 성태의 무식한(!) 리눅스 탐방기. [4]
349정성태9/26/200625930디버깅 기술: 10. C++/CLI에서 제공되는 명시적인 파괴자의 비밀
347정성태10/6/200630071디버깅 기술: 9. .NET IDisposable 처리 정리 [1]
346정성태9/23/200623316개발 환경 구성: 15. 툴박스에 컨트롤이 자동으로 나타나도록 해주는 옵션 설정
345정성태9/20/200622717오류 유형: 12. WCF 오류 메시지 - Error while trying to reflect on attribute 'MessageContractAttribute'
343정성태10/18/200634468개발 환경 구성: 14. SandCastle 사용법 (NDoc을 대체하는 문서화 도구) [1]파일 다운로드1
344정성태9/20/200624449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4.1. 오류 유형 - GAC 에 등록된 DLL 에 대한 문서화 시 오류
340정성태9/15/200623752개발 환경 구성: 13. ISO 파일을 가상 CD-ROM으로 매핑해주는 프로그램
339정성태9/14/200623265오류 유형: 11. ProtocolsSection?
338정성태2/4/200731494개발 환경 구성: 12. BUG: 웹 서비스에서 DataTable 사용하기 [2]파일 다운로드1
350정성태10/2/200624891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2.1. ASMX 2.0 and SchemaImporterExtensions파일 다운로드1
335정성태8/20/200632379디버깅 기술: 8. COM+ 서버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F5 디버깅 방법
334정성태8/20/200627559디버깅 기술: 7. VS.NET 2003/2005의 다중 프로젝트 디버깅
333정성태8/20/200628053개발 환경 구성: 11. COM+ 서버 활성화 보안 설정
331정성태8/27/200621155개발 환경 구성: 10. 최대 절전 모드와 VPC 네트워크 문제
330정성태8/20/200621483개발 환경 구성: 9. VPC로 구성하는 개인 환경
328정성태8/20/200639452개발 환경 구성: 8. AppVerifier 사용법 [1]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