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6개 있습니다.)
Linux: 26.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메모리 덤프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078

Linux: 27. linux - lldb를 이용한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의 메모리 덤프 분석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083

.NET Framework: 2053. 리눅스 환경의 .NET Core 3/5+ 메모리 덤프를 분석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3135

.NET Framework: 2054. .NET Core/5+ SDK 설치 없이 dotnet-dump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136

.NET Framework: 2055. 리눅스 환경의 .NET Core 3/5+ 메모리 덤프로부터 닷넷 모듈을 추출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137

.NET Framework: 2057. 리눅스 환경의 .NET Core 3/5+ 메모리 덤프로부터 모든 닷넷 모듈을 추출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139




리눅스 환경의 .NET Core 3/5+ 메모리 덤프로부터 닷넷 모듈을 추출하는 방법

윈도우 환경이라면,

windbg - 풀 덤프 파일로부터 .NET DLL을 추출/저장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0943

위의 글에 설명한 방법으로 !savemodule 명령어를 이용하면 닷넷 모듈을 추출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리눅스 환경의 닷넷 코어/5+에서는 sos 확장에 savemodule을 웬일인지 지원하지 않습니다. 그래도 뭔가 방법이 있으니까 이 글을 썼겠죠? ^^




어차피, .NET 모듈의 포맷은 운영체제 환경에 따라 달라지는 것은 아니므로 우리가 알아내야 할 것은 결국 메모리 덤프 파일 내에서의 이미지 주소를 어떻게 구하느냐에 따라 결정됩니다.

다행히, dotnet-dump는 (windbg와 유사하게) lm/modules 또는 clrmodules 명령을 제공하므로,

Analyze SOS commands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core/diagnostics/dotnet-dump#analyze-sos-commands

이것을 실행하면 각 모듈의 시작과 크기를 알 수 있습니다.

$ dotnet-dump analyze core_20221004_133846
Loading core dump: core_20221004_133846 ...
Ready to process analysis commands. Type 'help' to list available commands or 'help [command]' to get detailed help on a command.
Type 'quit' or 'exit' to exit the session.

> lm
...[생략]...
00007FAA1C093000 00061000 /app/System.Configuration.ConfigurationManager.dll
00007FB6D0020000 00042000 /app/log4net.dll
00007FB6D7C20000 00055200 /usr/share/dotnet/shared/Microsoft.NETCore.App/3.1.22/System.Net.WebClient.dll
...[생략]...

> clrmodules
...[생략]...
00007FAA1C093000 00060A68 /app/System.Configuration.ConfigurationManager.dll
00007FB6D0020000 0003F000 /app/log4net.dll
00007FB6D7C20000 00055200 /usr/share/dotnet/shared/Microsoft.NETCore.App/3.1.22/System.Net.WebClient.dll
...[생략]...
>

lm/modules 명령은 native 모듈까지 모두 열람하므로 닷넷 모듈만 보여주는 clrmodules 명령어를 사용하는 것이 좀 더 출력을 (그래도 많지만) 단순화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다소 혼란스러운 것은 2개의 명령어가 출력하는 모듈의 시작 주소는 같은 반면, 크기가 다소 다른 경우가 있습니다.

위의 예제에서 log4net.dll은 lm 쪽의 것이 파일의 크기가 더 큽니다. 파일 파서를 작성해 보신 분이라면 짐작하시겠지만, 보통은 더 많은 바이트를 확보하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으므로 의심스러우면 00042000 크기를 선택하면 됩니다. 어쨌든, 실제로 테스트를 해보면 될 일이죠? ^^

아쉽게도, dotnet-dump로는 덤프 파일로부터 특정 메모리의 내용을 파일로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이 없으므로, 이제부터는 windbg로 덤프 파일을 열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core_20221007_000149" 파일에 ".dmp" 확장자를 주고 Windbg Preview 버전으로 열면, 다음과 같이 .writemem 명령어를 이용해 덤프 파일 내의 특정 메모리 위치를 파일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0:000> .writemem c:\temp\log4net.dll 00007FB6D0020000 L 0003F000
Writing 3f000 bytes.............................

그리고 이것을 dnSpy와 같은 도구로 열어 보면,

module_from_dotnet_dump_1.png

decompiler가 잘 파싱하고 있습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8/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425정성태11/24/202020670VC++: 141. Visual C++ - "Treat Warnings As Errors" 옵션이 꺼져 있는데도 일부 경고가 에러 처리되는 경우
12424정성태11/24/202020721VC++: 140. C++의 연산자 동의어(operator synonyms), 대체 토큰 [1]
12423정성태11/22/202020390.NET Framework: 974. C# 9.0 - (16) 제약 조건이 없는 형식 매개변수 주석(Unconstrained type parameter annotations)파일 다운로드1
12422정성태11/21/202017826.NET Framework: 973. .NET 5, .NET Framework에서만 허용하는 UnmanagedCallersOnly 사용예파일 다운로드1
12421정성태11/19/202016864.NET Framework: 972. DNNE가 출력한 NE DLL을 직접 생성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420정성태11/19/202017874오류 유형: 684. Visual C++ - MSIL .netmodule or module compiled with /GL found; restarting link with /LTCG; add /LTCG to the link command line to improve linker performance
12419정성태11/19/202017748VC++: 139. Visual C++ - .NET Core의 nethost.lib와 정적 링크파일 다운로드1
12418정성태11/19/202019816오류 유형: 683. Visual C++ - error LNK2038: mismatch detected for 'RuntimeLibrary': value 'MT_StaticRelease' doesn't match value 'MDd_DynamicDebug'파일 다운로드1
12417정성태11/19/202018737오류 유형: 682. Visual C++ - warning LNK4099: PDB '...pdb' was not found with '...lib(pch.obj)' or at '...pdb'; linking object as if no debug info
12416정성태11/19/202019927오류 유형: 681. Visual C++ - error LNK2001: unresolved external symbol _CrtDbgReport
12415정성태11/18/202018993.NET Framework: 971. UnmanagedCallersOnly 특성과 DNNE 사용파일 다운로드1
12414정성태11/18/202022701VC++: 138. x64 빌드에서 extern "C"가 아닌 경우 ___cdecl name mangling 적용 [4]파일 다운로드1
12413정성태11/17/202020795.NET Framework: 970. .NET 5 / .NET Core - UnmanagedCallersOnly 특성을 사용한 함수 내보내기파일 다운로드1
12412정성태11/16/202022821.NET Framework: 969. .NET Framework 및 .NET 5 - UnmanagedCallersOnly 특성 사용파일 다운로드1
12411정성태11/12/202019134오류 유형: 680. C# 9.0 - Error CS8889 The target runtime doesn't support extensible or runtime-environment default calling conventions.
12410정성태11/12/202020772디버깅 기술: 174. windbg - System.TypeLoadException 예외 분석 사례
12409정성태11/12/202021934.NET Framework: 968. C# 9.0의 Function pointer를 이용한 함수 주소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408정성태11/9/202036909도서: 시작하세요! C# 9.0 프로그래밍 [8]
12407정성태11/9/202021972.NET Framework: 967. "clr!JIT_DbgIsJustMyCode" 호출이 뭘까요?
12406정성태11/8/202022779.NET Framework: 966. C# 9.0 - (15) 최상위 문(Top-level statements) [5]파일 다운로드1
12405정성태11/8/202022185.NET Framework: 965. C# 9.0 - (14) 부분 메서드에 대한 새로운 기능(New features for partial methods)파일 다운로드1
12404정성태11/7/202022879.NET Framework: 964. C# 9.0 - (13) 모듈 이니셜라이저(Module initializers)파일 다운로드1
12403정성태11/7/202019876.NET Framework: 963. C# 9.0 - (12) foreach 루프에 대한 GetEnumerator 확장 메서드 지원(Extension GetEnumerator)파일 다운로드1
12402정성태11/7/202023288.NET Framework: 962. C# 9.0 - (11) 공변 반환 형식(Covariant return types) [1]파일 다운로드1
12401정성태11/5/202022082VS.NET IDE: 153.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서의 "My Code" 범위와 "Enable Just My Code"의 역할 [1]
12400정성태11/5/202017959오류 유형: 679. Visual Studio - "Source Not Found" 창에 "Decompile source code" 링크가 없는 경우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