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C/C++: 159. C/C++ - 리눅스 환경에서 u16string 문자열을 출력하는 방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8723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C/C++ - 리눅스 환경에서 u16string 문자열을 출력하는 방법

우선, u16string은 직접적으로 cout에 출력 지원이 안 됩니다.

std::u16string text = u"test";
cout << text << endl;

위와 같이 하면 이런 식으로 컴파일 오류가 발생합니다.

message : cannot convert ‘text’ (type ‘std::u16string’ {aka ‘std::__cxx11::basic_string<char16_t>’}) to type ‘const unsigned char*’

보통, 이런 경우 c_str() 함수의 결과를 출력하는데, u16string 계열은 이것마저도 단순히 해당 문자열의 주솟값을 출력할 뿐입니다.

cout << text.c_str() << endl; // 출력 결과: 0x7fffffffe330

답답하군요. ^^ 그럼, 어차피 16비트니까 wchar_t로 형변환하면 되지 않을까요? 그런데 실제로 해보면 정상적인 출력이 안 나옵니다.

const wchar_t* result = (wchar_t*)text.c_str();
wcout << result << endl; // 출력 결과: ts U  U

text의 메모리 표현이 "74 00 65 00 73 00 74 00 00"으로 나오는데, 왜 wchar_t로 정상적으로 받을 수 없는 걸까요? 그것은 리눅스에서 wchar_t 타입이 윈도우처럼 2바이트가 아닌 4바이트이기 때문입니다. 그로 인해 "74 00 65 00"이 한 글자를 표현하게 되고 결국 4바이트 유니코드에 해당하는 문자를 나타내 의도치 않은 결과가 나옵니다.

그래서 검색해 보면, u16string을 utf8로 변환 후 출력하라는 글들이 나옵니다.

how to print u32string and u16string to the console in c++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45874857/how-to-print-u32string-and-u16string-to-the-console-in-c

std::wstring_convert<std::codecvt_utf8<char16_t>, char16_t> converter;
std::cout << converter.to_bytes(text) << std::endl; // 출력 결과: test




한 가지 유의할 사항은, converter.to_bytes 함수가 변환할 수 없는 문자를 포함하고 있으면 std::range_error 예외를 발생한다는 점입니다. 대개의 경우 정상적으로 초기화하지 않은 버퍼가 입력으로 들어간 경우에 발생할 텐데요, 이 외에도 Surrogate Pair를 지원하지 않아,

유니코드의 Surrogate Pair, Supplementary Characters가 뭘까요?
; https://www.sysnet.pe.kr/2/0/1710

정상적인 UTF-16 인코딩 문자열이라도 예외가 발생할 수 있음에 주의해야 합니다.

std::u16string text = u"\xd800\xdc00"; // U+10000에 대한 Surrogate Pair

std::wstring_convert<std::codecvt_utf8<char16_t>, char16_t> converter;
std::cout << converter.to_bytes(text) << std::endl; // 예외 발생

/*
terminate called after throwing an instance of 'std::range_error'
  what():  wstring_convert::to_bytes
*/

그래서, 가능한 try/catch로 to_bytes를 보호하는 것이 좋습니다.

try 
{
    std::u16string text = u"\xd800\xdc00";

    std::wstring_convert<std::codecvt_utf8<char16_t>, char16_t> converter;
    std::cout << converter.to_bytes(text) << std::endl; // 예외 발생
}
catch (std::range_error& e) {
    // 예외 처리
}

사실 이에 대해서는 문서에 명시돼 있긴 합니다.

codecvt_utf8
; https://learn.microsoft.com/en-us/cpp/standard-library/codecvt-utf8-class

Represents a locale facet that converts between wide characters encoded as UCS-2 or UCS-4, and a byte stream encoded as UTF-8.


보는 바와 같이 UTF-16이 아닌 UCS-2를 지원할 뿐입니다. 그런데, u16string의 value_type이 char16_t이고, char16_t가 UTF-16 인코딩을 받는 것을 보면,

char16_t
; https://en.cppreference.com/w/c/string/multibyte/char16_t

뭔가 잘 안 맞는 부분이 있는 듯합니다. 단지, UCS-4는 지원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변환할 수는 있습니다.

// How to decode surrogate characters encoded as UTF8?
//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38293373/how-to-decode-surrogate-characters-encoded-as-utf8

const wchar_t* text = L"\U00010000";
std::wstring_convert<std::codecvt_utf8_utf16<wchar_t>> converter;

std::string utf8str = converter.to_bytes(text); // F0 90 80 80

결국 surrogate-pair에 해당하는 d800, dc00 바이트 스트림을 utf-8로 변환하는 방법은...? 직접 그에 대한 처리를 해야 합니다. (잘 찾아보면 누군가 만들어 둔 것이 있을지도...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30/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2-10-12 10시24분
[이승준] 더큰 문제가 있습니다.
codecvt api들이 C++17에서 deprecated 되었다가 C++20에서 돌아왔다는 겁니다.
사용하신 codecvt_utf8 api는 여전히 삭제 상태고요.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42946335/deprecated-header-codecvt-replacement
Windows에서는 WideCharToMultiByte 요런걸로 처리가 되는데.
리눅스는 C++11 또는 C++20을 써야 할겁니다.

하~ 회사에서 사용하는 비주얼 스튜디오가 2015랑 2017만 이써어서 C++20에서 돌아온건 저도 몰랐네요.
[guest]
2022-10-12 11시14분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 그래도 c++20에서 돌아왔다니 다행이군요.
정성태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925정성태1/17/202218931개발 환경 구성: 627. AKS의 준비 단계 - ACR(Azure Container Registry)에 docker 이미지 배포
12924정성태1/15/202219754.NET Framework: 1134.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decode_video.c) [2]파일 다운로드1
12923정성태1/15/202219217개발 환경 구성: 626. ffmpeg.exe를 사용해 비디오 파일을 MPEG1 포맷으로 변경하는 방법
12922정성태1/14/202218070개발 환경 구성: 625. AKS - Azure Kubernetes Service 생성 및 SLO/SLA 변경 방법
12921정성태1/14/202213886개발 환경 구성: 624. Docker Desktop에서 별도 서버에 설치한 docker registry에 이미지 올리는 방법
12920정성태1/14/202215302오류 유형: 786. Camtasia - An error occurred with the camera: Failed to Add Video Sampler.
12919정성태1/13/202214747Windows: 199. Host Network Service (HNS)에 의해서 점유되는 포트
12918정성태1/13/202215955Linux: 47. WSL - shell script에서 설정한 환경 변수가 스크립트 실행 후 반영되지 않는 문제
12917정성태1/12/202215414오류 유형: 785. C# - The type or namespace name '...' could not be found (are you missing a using directive or an assembly reference?)
12916정성태1/12/202214179오류 유형: 784. TFS - One or more source control bindings for this solution are not valid and are listed below.
12915정성태1/11/202215334오류 유형: 783. Visual Studio - We didn't find any interpreters
12914정성태1/11/202219336VS.NET IDE: 172. 비주얼 스튜디오 2022의 파이선 개발 환경 지원
12913정성태1/11/202219324.NET Framework: 1133. C# - byte * (바이트 포인터)를 FileStream으로 쓰는 방법 [1]
12912정성태1/11/202218281개발 환경 구성: 623. ffmpeg.exe를 사용해 비디오 파일의 이미지를 PGM(Portable Gray Map) 파일 포맷으로 출력하는 방법 [1]
12911정성태1/11/202214523VS.NET IDE: 171. 비주얼 스튜디오 - 더 이상 만들 수 없는 "ASP.NET Core 3.1 Web Application (.NET Framework)" 프로젝트
12910정성태1/10/202215695제니퍼 .NET: 30. 제니퍼 닷넷 적용 사례 (8) - CPU high와 DB 쿼리 성능에 문제가 함께 있는 사이트
12909정성태1/10/202216649오류 유형: 782. Visual Studio 2022 설치 시 "Couldn't install Microsoft.VisualCpp.Redist.14.Latest"
12908정성태1/10/202213682.NET Framework: 1132. C# - ref/out 매개변수의 IL 코드 처리
12907정성태1/9/202215531오류 유형: 781. (youtube-dl.exe) 실행 시 "This app can't run on your PC" / "Access is denied." 오류 발생
12906정성태1/9/202218359.NET Framework: 1131. C# - 네임스페이스까지 동일한 타입을 2개의 DLL에서 제공하는 경우 충돌을 우회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905정성태1/8/202217350오류 유형: 780. Could not load file or assembly 'Microsoft.VisualStudio.TextTemplating.VSHost.15.0, Version=16.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b03f5f7f11d50a3a' or one of its dependencies.
12904정성태1/8/202219304개발 환경 구성: 623. Visual Studio 2022 빌드 환경을 위한 github Actions 설정 [1]
12903정성태1/7/202218565.NET Framework: 1130. C# - ELEMENT_TYPE_INTERNAL 유형의 사용 예
12902정성태1/7/202216868오류 유형: 779. SQL 서버 로그인 에러 - provider: Shared Memory Provider, error: 0 - No process is on the other end of the pipe.
12901정성태1/5/202217975오류 유형: 778. C# - .NET 5+에서 warning CA1416: This call site is reachable on all platforms. '...' is only supported on: 'windows' 경고 발생
12900정성태1/5/202220663개발 환경 구성: 622. vcpkg로 ffmpeg를 빌드하는 경우 생성될 구성 요소 제어하는 방법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