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821. windbg/sos - Error code - 0x000021BE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0273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windbg/sos - Error code - 0x000021BE

windbg에서 sos 로딩을 위한 cordll 명령어 실행 시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0:000> .cordll -lp C:\temp
Failed to verify signature of file: C:\temp\mscordacwks.dll
Error code - 0x000021BE
Debugger.Settings.EngineInitialization.SecureLoadDotNetExtensions is enabled, set to false to disable.
dx @$debuggerRootNamespace.Debugger.Settings.EngineInitialization.SecureLoadDotNetExtensions = false
CLRDLL: Consider using ".cordll -lp <path>" command to specify .NET runtime directory.
CLR DLL status: ERROR: Unable to load DLL C:\temp\mscordacwks_AMD64_AMD64_4.0.30319.18449.dll, Win32 error 0n87

사실 오류 메시지에 답이 있으므로 잘 보셨다면 금방 해결할 수 있었을 텐데요, ^^ 단순히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windbg 명령어 입력 화면에서 수행하면 됩니다.

0:000> dx @$debuggerRootNamespace.Debugger.Settings.EngineInitialization.SecureLoadDotNetExtensions = false
@$debuggerRootNamespace.Debugger.Settings.EngineInitialization.SecureLoadDotNetExtensions = false : false

혹은 출력 화면 자체에 DML 처리가 되어 있어 그냥 해당 링크를 눌러도 됩니다. 그런 다음, 다시 시도하면 로딩이 잘 됩니다.

0:000> .cordll -lp C:\temp
CLR DLL status: Loaded DLL C:\temp\mscordacwks.dll




그런데, 메모리 덤프를 떴던 서버로부터 복사해 온 mscordacwks.dll을 왜 서명 확인을 못하는 것일까요? 재미있는 건, 탐색기의 파일 속성 창으로는 정상적인 인증서로 서명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windbg_cordll_error_1.png

windbg에서 발생한 0x000021BE 오류 코드는 "The specified OID cannot be found."인데요, 구체적으로 어떤 OID 값인지 출력하지 않고 있으므로 딱히 더 추적해 볼 것이 없습니다.

혹시 signtool로 결과를 좀 더 확인해 볼 수 있을까요?

C:\temp> signtool verify c:\windows\system32\kernel32.dll
File: c:\windows\system32\kernel32.dll
Index  Algorithm  Timestamp
========================================
0      sha256     RFC3161

Successfully verified: c:\windows\system32\kernel32.dll

C:\temp> signtool verify mscordacwks.dll
File: mscordacwks.dll
Index  Algorithm  Timestamp
========================================
SignTool Error: The signing certificate is not valid for the requested usage.
        This error sometimes means that you are using the wrong verification
        policy. Consider using the /pa option.

Number of errors: 1

kernel32.dll을 정상적으로 검증한 반면 mscordacwks.dll은 오류 항목이 하나 나옵니다. 보면, /pa 옵션을 넣어보라고 하는데요,

C:\temp> signtool verify /pa mscordacwks.dll
File: mscordacwks.dll
Index  Algorithm  Timestamp
========================================
0      sha1       Authenticode

Successfully verified: mscordacwks.dll

아하... 문제가 밝혀졌군요. ^^ 다음의 문서를 보면,

Using SignTool to Verify a File Signature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win32/seccrypto/using-signtool-to-verify-a-file-signature

signtool은 기본적으로 "Windows driver"에 해당하는 검증 정책을 적용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단순히 S/W code 서명 인증서에 대해서는 저렇게 검증이 실패하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mscordacwks.dll은 정상적으로 코드 서명용 인증서로 서명이 되었지만, windbg는 커널을 다루는 응용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안전을 위해 device driver에나 요구되는 인증서를 요구했던 차이가 있는 것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커널이 아닌 사용자 모드의 응용 프로그램 디버깅을 위한 대안으로 특별히 ".NET"을 위해 "SecureLoadDotNetExtensions" 옵션을 둔 것 같고, 이 값을 false로 설정하면 그 보안 수준을 낮춰 적용할 수 있게 만든 듯합니다.

참고로, SecureLoadDotNetExtensions 옵션 설정은 windbg를 재시작해도 유지되므로 필요가 없어졌다면 보안을 위해 다시 켜는 것도 좋겠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19/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228정성태6/12/202022643.NET Framework: 909. C# - Source Generator를 적용한 XmlCodeGenerator파일 다운로드1
12227정성태6/12/202026899오류 유형: 616. Visual Studio의 느린 업데이트 속도에 대한 원인 분석 [5]
12226정성태6/11/202026333개발 환경 구성: 493. OpenVPN의 네트워크 구성 [4]파일 다운로드1
12225정성태6/11/202023258개발 환경 구성: 492. 윈도우에 OpenVPN 설치 - 클라이언트 측 구성
12224정성태6/11/202032742개발 환경 구성: 491. 윈도우에 OpenVPN 설치 - 서버 측 구성 [1]
12223정성태6/9/202030885.NET Framework: 908. C# - Source Generator 소개 [10]파일 다운로드2
12222정성태6/3/202021570VS.NET IDE: 146. error information: "CryptQueryObject" (-2147024893/0x80070003)
12221정성태6/3/202021203Windows: 170. 비어 있지 않은 디렉터리로 symbolic link(junction) 연결하는 방법
12220정성태6/3/202026016.NET Framework: 907. C# DLL로부터 TLB 및 C/C++ 헤더 파일(TLH)을 생성하는 방법
12219정성태6/1/202024309.NET Framework: 906. C# - lock (this), lock (typeof(...))를 사용하면 안 되는 이유파일 다운로드1
12218정성태5/27/202022784.NET Framework: 905. C# - DirectX 게임 클라이언트 실행 중 키보드 입력을 감지하는 방법 [3]
12217정성태5/24/202021496오류 유형: 615. Transaction count after EXECUTE indicates a mismatching number of BEGIN and COMMIT statements. Previous count = 0, current count = 1.
12216정성태5/15/202024638.NET Framework: 904. USB/IP PROJECT를 이용해 C#으로 USB Keyboard 가상 장치 만들기 [14]파일 다운로드1
12215정성태5/12/202030173개발 환경 구성: 490. C# - (Wireshark의) USBPcap을 이용한 USB 패킷 모니터링 [10]파일 다운로드1
12214정성태5/5/202023481개발 환경 구성: 489. 정식 인증서가 있는 경우 Device Driver 서명하는 방법 (2) - UEFI/SecureBoot [1]
12213정성태5/3/202023202개발 환경 구성: 488. (User-mode 코드로 가상 USB 장치를 만들 수 있는) USB/IP PROJECT 소개
12212정성태5/1/202020452개발 환경 구성: 487. UEFI / Secure Boot 상태인지 확인하는 방법
12211정성태4/27/202023244개발 환경 구성: 486. WSL에서 Makefile로 공개된 리눅스 환경의 C/C++ 소스 코드 빌드
12210정성태4/20/202025404.NET Framework: 903. .NET Framework의 Strong-named 어셈블리 바인딩 (1) - app.config을 이용한 바인딩 리디렉션 [1]파일 다운로드1
12209정성태4/13/202020687오류 유형: 614. 리눅스 환경에서 C/C++ 프로그램이 Segmentation fault 에러가 발생한 경우 (2)
12208정성태4/12/202018791Linux: 29. 리눅스 환경에서 C/C++ 프로그램이 Segmentation fault 에러가 발생한 경우
12207정성태4/2/202020042스크립트: 19. Windows PowerShell의 NonInteractive 모드
12206정성태4/2/202021483오류 유형: 613. 파일 잠금이 바로 안 풀린다면? - The process cannot access the file '...' because it is being used by another process.
12205정성태4/2/202018476스크립트: 18. Powershell에서는 cmd.exe의 명령어를 지원하진 않습니다.
12204정성태4/1/202019523스크립트: 17. Powershell 명령어에 ';' (semi-colon) 문자가 포함된 경우
12203정성태3/18/202022773오류 유형: 612. warning: 'C:\ProgramData/Git/config' has a dubious owner: '...'.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