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db2 - Password validation for user db2inst1 failed with rc = -2146500508

잘 쓰고 있던 db2 docker 컨테이너가,

docker - ibmcom/db2 컨테이너 실행
; https://www.sysnet.pe.kr/2/0/13009

어느 순간부터 Open 메서드에서 이렇게 SQL10007 오류 메시지가 발생합니다.

DB2: IBM.Data.DB2.DB2Exception (0x80004005): ERROR [08001] [IBM] SQL10007N Message "0" could not be retrieved.  Reason code: "3".

   at IBM.Data.DB2.DB2ConnPool.Open(DB2Connection connection, String& szConnectionString, DB2ConnSettings& ppSettings, Object& ppConn)
   at IBM.Data.DB2.DB2Connection.Open()
   at WebSiteTest.DB2Test() in D:\test\WebSiteTest4\DB2SQLTest.aspx.cs:line 495
   at WebSiteTest.Page_Load(Object sender, EventArgs e) in D:\test\WebSiteTest4\DB2SQLTest.aspx.cs:line 103

이와 함께 컨테이너 측 로그에는 다음과 같은 식의 메시지가 나오는데요,

2022-10-21-01.56.45.801683+000 I220891510E469        LEVEL: Warning,
PID     : 15667                TID : 140031876392704 PROC : db2sysc 0,
INSTANCE: db2inst1             NODE : 000            DB   : TESTDB,
APPHDL  : 0-198,
HOSTNAME: 40880c208891,
EDUID   : 23                   EDUNAME: db2agent (TESTDB) 0,
FUNCTION: DB2 UDB, bsu security, sqlexLogPluginMessage, probe:20,
DATA #1 : String with size, 67 bytes,
Password validation for user db2inst1 failed with rc = -2146500508,
,
2022-10-21-01.56.45.801860+000 I220891980E538        LEVEL: Warning,
PID     : 15667                TID : 140031876392704 PROC : db2sysc 0,
INSTANCE: db2inst1             NODE : 000            DB   : TESTDB,
APPHDL  : 0-198,
HOSTNAME: 40880c208891,
EDUID   : 23                   EDUNAME: db2agent (TESTDB) 0,
FUNCTION: DB2 UDB, bsu security, sqlexSlsSystemAuthenticate, probe:150,
MESSAGE : Failing connection IP address: 192.168.100.30,
TA #1 : String, 16 bytes,
application id: ,
DATA #2 : String with size, 31 bytes,
192.168.100.30.57114.221021015645,

Password validation에 실패했다고 합니다. 확인을 위해 db2 명령어 shell로 접속해 계정을 확인해 보면,

# export DB2INSTANCE=db2inst1
# /opt/ibm/db2/V11.5/bin/db2
db2 => CONNECT TO TESTDB USER db2inst1 USING testpw
SQL30082N  Security processing failed with reason "1" ("PASSWORD EXPIRED").  
SQLSTATE=08001

보는 바와 같이 EXPIRED라고 합니다. ^^ 그래서 변경하려고 하는데,

// https://www.ibm.com/docs/en/db2/10.5?topic=details-maintaining-password-information

db2 => CONNECT TO TESTDB USER db2inst1 USING testpw NEW dsfasvdfvas CONFIRM dsfasvdfvas
SQL30083N  Attempt to change password for user id "db2inst1" failed with security reason "24" ("USERNAME AND/OR PASSWORD INVALID").  SQLSTATE=08001

오류가 발생하는군요. ^^ 이건 DB2의 계정 정보가 리눅스와 연동하기 때문이라고.

Error while changing password DB2 Community Edition SQL30083N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56023609/error-while-changing-password-db2-community-edition-sql30083n

따라서, docker bash 환경에서 해당 계정의 암호를 변경하는 식으로 처리하면 됩니다.

# su - db2inst1
$ passwd

// 또는

# passwd db2inst1




그런데 테스트 컨테이너의 계정이 1년마다 만료되는 것이 여간 귀찮은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이게 싫다면 chage 명령을 이용해 암호 만료 시간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 chage -I -1 -m 0 -M 99999 -E -1 db2inst1

#  chage -l db2inst1
Last password change                                    : Apr 20, 2023
Password expires                                        : never
Password inactive                                       : never
Account expires                                         : never
Minimum number of days between password change          : 0
Maximum number of days between password change          : 99999
Number of days of warning before password expires       : 7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20/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44정성태2/24/201237222.NET Framework: 308. .NET System.Threading.Thread 개체에서 Native Thread Id를 구할 수 있을까? [1]파일 다운로드1
1243정성태2/23/201237251개발 환경 구성: 143. Visual Studio 2010 - .NET Framework 소스 코드 디버깅 - 두 번째 이야기 [1]
1242정성태2/20/201243276VC++: 58. API Hooking - 64비트를 고려해야 한다면? EasyHook! [7]파일 다운로드1
1241정성태2/20/201229987.NET Framework: 307. .NET 4.0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ILMerge
1240정성태2/19/201236422디버깅 기술: 48. C/C++ JNI DLL을 Visual Studio로 디버깅하는 방법 [2]
1239정성태2/19/201228390.NET Framework: 306. 컴퓨터에 실행된 프로세스 중에 닷넷 응용 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는 방법 - C# [1]파일 다운로드1
1238정성태2/19/201232757.NET Framework: 305. GetPrivateProfileSection / WritePrivateProfileSection의 C# 버전파일 다운로드1
1237정성태2/18/201236555개발 환경 구성: 142. Windows Embedded POSReady 7 설치 [1]
1236정성태2/17/201232620개발 환경 구성: 141. Windows 2008 R2 RDP 라이선스 서버 설치하는 방법
1235정성태2/16/201229434.NET Framework: 304. Hyper-V의 가상 머신을 C#으로 제어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34정성태2/16/201231790.NET Framework: 303. 원본 파일의 공백/라인을 유지한 체 XML 파일을 저장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33정성태2/16/201237971.NET Framework: 302. supportedRuntime 옵션과 System.BadImageFormatException 예외 [5]
1232정성태2/9/201233664VC++: 57. 웹 브라우저에서 Flash만 빼고 다른 ActiveX를 차단할 수 있을까? [3]파일 다운로드1
1231정성태2/8/201243022VC++: 56. Win32 API 후킹 - Trampoline API Hooking [5]파일 다운로드1
1230정성태2/6/201228115개발 환경 구성: 140. 프로젝트 생성 시부터 "Enable the Visual Studio hosting process" 옵션을 끄는 방법
1229정성태2/4/201233758.NET Framework: 301. P/Invoke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C++/CLI가 선택되려면? [5]파일 다운로드1
1228정성태2/4/201283551.NET Framework: 300. C#으로 만드는 음성인식/TTS 프로그램 [47]파일 다운로드1
1227정성태2/3/201233693.NET Framework: 299. 해당 어셈블리가 Debug 빌드인지, Release 빌드인지 알아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26정성태1/28/201275673.NET Framework: 298. 홀 펀칭(Hole Punching)을 이용한 Private IP 간 통신 - C# [15]파일 다운로드3
1225정성태1/24/201230112.NET Framework: 297. 특정 EXE 파일의 실행을 Internet Explorer처럼 "Protected Mode"로 실행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24정성태1/21/201241889개발 환경 구성: 139. 아마존 EC2에 새로 추가된 "1년 무료 Windows 서버 인스턴스"가 있다는데, 직접 만들어 볼까요? ^^ [11]
1223정성태1/20/201231656.NET Framework: 296. 괜찮은 문자열 해시함수? - 두 번째 이야기 [1]파일 다운로드1
1222정성태1/18/201239222.NET Framework: 295. 괜찮은 문자열 해시 함수? [4]파일 다운로드1
1221정성태1/17/201228255오류 유형: 147. System.Runtime.InteropServices.COMException (0x80005000)
1220정성태1/15/201228703.NET Framework: 294. Master web.config 파일을 수정하려면?파일 다운로드1
1219정성태1/15/201231041.NET Framework: 293. Microsoft PowerPoint 슬라이드를 HTML 파일로 ".files" 폴더 없이 저장하는 방법 (C# 코드)파일 다운로드1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