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Workload definition 'wasm-tools' in manifest 'microsoft.net.workload.mono.toolchain' [...] conflicts with manifest 'microsoft.net.workload.mono.toolchain.net7'

Visual Studio 17.4 업데이트 이후 솔루션에 프로젝트가 로드되지 않는 현상이 있습니다. 이때, 프로젝트를 직접 추가하면 화면에는 다음과 같은 오류 메시지가 뜨는데요,

SDK Resolver Failure: "The SDK resolver "Microsoft.DotNet.MSBuildSdkResolver" failed while attempting to resolve the SDK "Microsoft.NET.Sdk". Exception: "Microsoft.NET.Sdk.WorkloadManifestReader.WorkloadManifestCompositionException: Workload definition 'wasm-tools' in manifest 'microsoft.net.workload.mono.toolchain' [C:\Program Files\dotnet\sdk-manifests\7.0.100\microsoft.net.workload.mono.toolchain\WorkloadManifest.json] conflicts with manifest 'microsoft.net.workload.mono.toolchain.net7' [C:\Program Files\dotnet\sdk-manifests\7.0.100\microsoft.net.workload.mono.toolchain.net7\WorkloadManifest.json]
at Microsoft.NET.Sdk.WorkloadManifestReader.WorkloadResolver.ComposeWorkloadManifests()
at Microsoft.NET.Sdk.WorkloadManifestReader.WorkloadResolver.Create(IWorkloadManifestProvider manifestProvider, String dotnetRootPath, String sdkVersion, String userProfileDir)
at Microsoft.NET.Sdk.WorkloadMSBuildSdkResolver.CachingWorkloadResolver.Resolve(String sdkReferenceName, String dotnetRootPath, String sdkVersion, String userProfileDir)
at Microsoft.DotNet.MSBuildSdkResolver.DotNetMSBuildSdkResolver.Resolve(SdkReference sdkReference, SdkResolverContext context, SdkResultFactory factory)
at Microsoft.Build.BackEnd.SdkResolution.SdkResolverService.TryResolveSdkUsingSpecifiedResolvers(IList`1 resolvers, Int32 submissionId, SdkReference sdk, LoggingContext loggingContext, ElementLocation sdkReferenceLocation, String solutionPath, String projectPath, Boolean interactive, Boolean isRunningInVisualStudio, SdkResult& sdkResult)"" E:\ConsoleApp2\ConsoleApp2\ConsoleApp2.csproj


이미 이슈가 올라와 있군요. ^^

Cannot load or run lots of my projects in my solution after installing .NET 7
; https://github.com/dotnet/sdk/issues/28947

덧글을 보면, (오류 메시지에도 힌트가 나오지만) C:\Program Files\dotnet\sdk-manifests\7.0.100 하위에 2개의 디렉터리가 문제의 원인입니다.

microsoft.net.workload.mono.toolchain
microsoft.net.workload.mono.toolchain.net7

그중 하나를 삭제하면 잘 동작한다고 합니다. 그러면서 맨 마지막 덧글에 보면 .NET 7 preview 버전이 설치된 경우 그런 오류가 발생한다고 하는데요, 따라서 위의 디렉터리를 직접 삭제하지 말고 그냥 제어판에서 .NET 7 preview를 제거하면 되겠습니다. 그러면, "microsoft.net.workload.mono.toolchain" 디렉터리가 함께 삭제되는데요, 결국 그게 문제였던 것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9/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44정성태2/24/201237344.NET Framework: 308. .NET System.Threading.Thread 개체에서 Native Thread Id를 구할 수 있을까? [1]파일 다운로드1
1243정성태2/23/201237378개발 환경 구성: 143. Visual Studio 2010 - .NET Framework 소스 코드 디버깅 - 두 번째 이야기 [1]
1242정성태2/20/201243420VC++: 58. API Hooking - 64비트를 고려해야 한다면? EasyHook! [7]파일 다운로드1
1241정성태2/20/201230112.NET Framework: 307. .NET 4.0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ILMerge
1240정성태2/19/201236604디버깅 기술: 48. C/C++ JNI DLL을 Visual Studio로 디버깅하는 방법 [2]
1239정성태2/19/201228540.NET Framework: 306. 컴퓨터에 실행된 프로세스 중에 닷넷 응용 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는 방법 - C# [1]파일 다운로드1
1238정성태2/19/201232924.NET Framework: 305. GetPrivateProfileSection / WritePrivateProfileSection의 C# 버전파일 다운로드1
1237정성태2/18/201236722개발 환경 구성: 142. Windows Embedded POSReady 7 설치 [1]
1236정성태2/17/201232779개발 환경 구성: 141. Windows 2008 R2 RDP 라이선스 서버 설치하는 방법
1235정성태2/16/201229627.NET Framework: 304. Hyper-V의 가상 머신을 C#으로 제어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34정성태2/16/201231904.NET Framework: 303. 원본 파일의 공백/라인을 유지한 체 XML 파일을 저장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33정성태2/16/201238094.NET Framework: 302. supportedRuntime 옵션과 System.BadImageFormatException 예외 [5]
1232정성태2/9/201233818VC++: 57. 웹 브라우저에서 Flash만 빼고 다른 ActiveX를 차단할 수 있을까? [3]파일 다운로드1
1231정성태2/8/201243107VC++: 56. Win32 API 후킹 - Trampoline API Hooking [5]파일 다운로드1
1230정성태2/6/201228202개발 환경 구성: 140. 프로젝트 생성 시부터 "Enable the Visual Studio hosting process" 옵션을 끄는 방법
1229정성태2/4/201233807.NET Framework: 301. P/Invoke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C++/CLI가 선택되려면? [5]파일 다운로드1
1228정성태2/4/201283630.NET Framework: 300. C#으로 만드는 음성인식/TTS 프로그램 [47]파일 다운로드1
1227정성태2/3/201233821.NET Framework: 299. 해당 어셈블리가 Debug 빌드인지, Release 빌드인지 알아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26정성태1/28/201275891.NET Framework: 298. 홀 펀칭(Hole Punching)을 이용한 Private IP 간 통신 - C# [15]파일 다운로드3
1225정성태1/24/201230269.NET Framework: 297. 특정 EXE 파일의 실행을 Internet Explorer처럼 "Protected Mode"로 실행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24정성태1/21/201242038개발 환경 구성: 139. 아마존 EC2에 새로 추가된 "1년 무료 Windows 서버 인스턴스"가 있다는데, 직접 만들어 볼까요? ^^ [11]
1223정성태1/20/201231725.NET Framework: 296. 괜찮은 문자열 해시함수? - 두 번째 이야기 [1]파일 다운로드1
1222정성태1/18/201239272.NET Framework: 295. 괜찮은 문자열 해시 함수? [4]파일 다운로드1
1221정성태1/17/201228371오류 유형: 147. System.Runtime.InteropServices.COMException (0x80005000)
1220정성태1/15/201228849.NET Framework: 294. Master web.config 파일을 수정하려면?파일 다운로드1
1219정성태1/15/201231124.NET Framework: 293. Microsoft PowerPoint 슬라이드를 HTML 파일로 ".files" 폴더 없이 저장하는 방법 (C# 코드)파일 다운로드1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