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Azure - 비주얼 스튜디오를 이용한 AppService 원격 디버그 방법

예전에 AppService의 덤프를 떠서 분석하는 방법을 소개했는데요,

.NET Core 웹 앱을 호스팅하는 Azure App Services의 프로세스 메모리 덤프 및 windbg 분석 개요
; https://www.sysnet.pe.kr/2/0/11839

사실, 할 수만 있다면 덤프보다는 직접 원격 디버깅을 하는 방법이 훨씬 디버깅이 쉽습니다. Azure에는 AppService를 원격으로 디버깅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되는데,

Remote debugging Azure App Services
; https://devblogs.microsoft.com/premier-developer/remote-debugging-azure-app-services/

Azure Remote debugging manually in Visual Studio 2017
; https://www.locktar.nl/uncategorized/azure-remote-debugging-manually-in-visual-studio-2017/

간단하게 정리해 볼까요? ^^




이를 위해서는 우선 AppService 관리 화면으로 들어가, "Settings" 범주를 보면 "Configuration" 메뉴가 보이는데요, 그걸 선택하면 "Application settings", "General settings", "Default documents", "Path mappings" 링크가 상단에 나옵니다. 그중에서 "General settings" 화면에 다음과 같이 "Remote debugging"을 활성화할 수 있는데요,

azure_scm_proc_3.png

정상적으로 설정된 경우, Azure Kudu 화면의 "Process Explorer"에서 다음과 같이 "msvsmon.exe"가 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azure_scm_proc_4.png

위와 같은 상황은 msvsmon.exe가 대기를 하고 있는 것일 뿐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디버깅을 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이 상태에서, Visual Studio의 "Debug" / "Attach to Process..." 메뉴를 선택해 "Connection type"을 "Microsoft Azure App Services"로 설정하고 "Find" 버튼을 누르면,

azure_appservice_dbg_1.png

디버깅할 AppService를 선택하는 화면이 나오고 "OK"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대상 w3wp.exe가 보입니다.

azure_appservice_dbg_2.png

"Attach" 버튼을 누르면, 이후 이렇게 BP가 잡히는 디버깅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

azure_appservice_dbg_3.png




Attach 시켰는데, BP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한다면?

azure_appservice_dbg_5.png

해당 웹 애플리케이션 배포를 Release로 한 것은 아닌지 확인해 봅니다. 즉, 다음과 같이 Debug 버전으로 빌드해야 정상적으로 BP가 잡힐 수 있습니다.

azure_appservice_dbg_4.png




Attach 시켜 HTTP 호출을 했는데 정상적으로 BP에 디버깅이 걸리지 않는다면?

AppService Plan에 scale-out을 2개 이상 했다면 요청의 분산으로 인해 우리가 디버깅한 w3wp.exe로 요청이 안 들어올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디버깅하는 동안만 scale-out을 1로 하든지, 아니면 ARRAffinity 쿠키를 이용해,

Azure - scale-out 상태의 App Service에서 특정 인스턴스에 요청을 보내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098

자신이 attach시킨 w3wp.exe로 요청을 전달하도록 맞춰주면 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18/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183정성태12/4/20224669오류 유형: 830. MASM + CRT 함수를 사용하는 경우 발생하는 컴파일 오류 정리
13182정성태12/4/20225404Windows: 217. Windows 환경에서의 Hello World x64 어셈블리 예제 (MASM 버전)
13181정성태12/3/20224794Linux: 54. 리눅스/WSL - hello world 어셈블리 코드 x86/x64 (nasm)
13180정성태12/2/20225002.NET Framework: 2074. C# - 스택 메모리에 대한 여유 공간 확인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179정성태12/2/20224414Windows: 216. Windows 11 - 22H2 업데이트 이후 Terminal 대신 cmd 창이 뜨는 경우
13178정성태12/1/20224915Windows: 215. Win32 API 금지된 함수 - IsBadXxxPtr 유의 함수들이 안전하지 않은 이유파일 다운로드1
13177정성태11/30/20225660오류 유형: 829. uwsgi 설치 시 fatal error: Python.h: No such file or directory
13176정성태11/29/20224575오류 유형: 828. gunicorn - ModuleNotFoundError: No module named 'flask'
13175정성태11/29/20226211오류 유형: 827. Python - ImportError: cannot import name 'html5lib' from 'pip._vendor'
13174정성태11/28/20224756.NET Framework: 2073. C# - VMMap처럼 스택 메모리의 reserve/guard/commit 상태 출력파일 다운로드1
13173정성태11/27/20225473.NET Framework: 2072. 닷넷 응용 프로그램의 스레드 스택 크기 변경
13172정성태11/25/20225272.NET Framework: 2071. 닷넷에서 ESP/RSP 레지스터 값을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171정성태11/25/20224872Windows: 214. 윈도우 - 스레드 스택의 "red zone"
13170정성태11/24/20225169Windows: 213. 윈도우 - 싱글 스레드는 컨텍스트 스위칭이 없을까요?
13169정성태11/23/20225735Windows: 212. 윈도우의 Protected Process (Light) 보안 [1]파일 다운로드2
13168정성태11/22/20225054제니퍼 .NET: 31. 제니퍼 닷넷 적용 사례 (9) - DB 서비스에 부하가 걸렸다?!
13167정성태11/21/20225108.NET Framework: 2070. .NET 7 - Console.ReadKey와 리눅스의 터미널 타입
13166정성태11/20/20224848개발 환경 구성: 651. Windows 사용자 경험으로 WSL 환경에 dotnet 런타임/SDK 설치 방법
13165정성태11/18/20224761개발 환경 구성: 650. Azure - "scm" 프로세스와 엮인 서비스 모음
13164정성태11/18/20225667개발 환경 구성: 649. Azure - 비주얼 스튜디오를 이용한 AppService 원격 디버그 방법
13163정성태11/17/20225587개발 환경 구성: 648.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안드로이드 기기 인식하는 방법
13162정성태11/15/20226628.NET Framework: 2069. .NET 7 - AOT(ahead-of-time) 컴파일
13161정성태11/14/20225877.NET Framework: 2068. C# - PublishSingleFile로 배포한 이미지의 역어셈블 가능 여부 (난독화 필요성) [4]
13160정성태11/11/20225820.NET Framework: 2067. C# - PublishSingleFile 적용 시 native/managed 모듈 통합 옵션
13159정성태11/10/20229034.NET Framework: 2066. C# - PublishSingleFile과 관련된 옵션 [3]
13158정성태11/9/20225259오류 유형: 826. Workload definition 'wasm-tools' in manifest 'microsoft.net.workload.mono.toolchain' [...] conflicts with manifest 'microsoft.net.workload.mono.toolchain.net7'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