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Windows 사용자 경험으로 WSL 환경에 dotnet 런타임/SDK 설치 방법

복잡하게 생각하지 말고 ^^ 기존 윈도우 사용자가 프로그램 설치하듯이 .NET 7을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다운로드 사이트에서 Linux의 x64 버전을 다운로드합니다.

Download .NET
; https://dotnet.microsoft.com/en-us/download

net_install_on_wsl_1.png

다운로드한 파일을 Windows 11의 파일 탐색기에서 제공하는 WSL Linux 노드에 직접 drag & drop해서 복사할 수 있고,

net_install_on_wsl_2.png

그다음, Ubuntu WSL Shell을 열어 압축 파일을 특정 디렉터리에 풀어주면 됩니다.

$ cd ~
$ pwd
/home/kevin

$ mkdir mydot

$ tar xvf dotnet-sdk-7.0.100-linux-x64.tar.gz -C $HOME/mydot

끝입니다. 별도의 설치 과정이 필요 없기 때문에 저 경로 그대로 dotnet 실행 파일을 구동할 수 있습니다.

$ ~/mydot/dotnet --list-sdks
7.0.100 [/home/kevin/mydot/sdk]




게다가 이젠 gedit 등의 gui 도구도 직접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 sudo apt install gedit

다음과 같이 .bashrc 파일을 인자로 실행해,

$ gedit .bashrc

메모장 편집하듯이 쉽게 PATH를 추가하시면,

net_install_on_wsl_3.png

export PATH=$HOME/mydot:$PATH

더욱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source .bashrc

$ dotnet --list-sdks
7.0.100 [/home/kevin/mydot/sdk]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20/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904정성태8/8/201038439오류 유형: 101. SignTool Error: No certificates were found that met all the given criteria. [2]
903정성태8/6/201035272Team Foundation Server: 38. TFS 소스 코드 관리 기능 (4) - Branch
902정성태8/5/201027660Team Foundation Server: 37. TFS 2010의 소스 서버 수작업 구성
901정성태8/4/201026882Team Foundation Server: 36. TFS 소스 코드 관리 기능 (3) - Label
900정성태8/3/201029797Team Foundation Server: 35. TFS 소스 코드 관리 기능 (2) - Shelveset
899정성태8/2/201031493Team Foundation Server: 34. TFS 소스 코드 관리 기능 (1) - Changeset
898정성태7/31/201031471.NET Framework: 182. WCF의 InactivityTimeout [1]파일 다운로드1
897정성태7/26/201132604.NET Framework: 181. AssemblyVersion, AssemblyFileVersion, AssemblyInformationalVersion [4]
896정성태7/25/201039771.NET Framework: 180. C# Singleton 인스턴스 생성 [2]
895정성태7/25/201023150VS.NET IDE: 68. Visual Studio 2010 - .NET 1.1 원격 디버깅
894정성태7/25/201029141오류 유형: 100. Could not find the Database Engine startup handle. [1]
893정성태7/25/201030149오류 유형: 99. .NET 4.0 설치된 윈도우 7에서 SQL Server 2008 R2 설치 오류
892정성태7/9/201031523오류 유형: 98. 영문 윈도우에 한글 SQL Server 2008 R2 설치할 때 오류 [4]
891정성태7/8/201027662오류 유형: 97. MsiGetProductInfo failed to retrieve ProductVersion for package with Product Code = '{...}'. Error code: 1605. [2]
889정성태7/5/201029527.NET Framework: 179. Dictionary.Get(A) 대신 Dictionary.Get(A.GetHashCode())를 사용해서는 안 되는 이유 [1]
888정성태6/30/201027153오류 유형: 96. Hyper-V 연결 오류 - A connection will not be made because credentials may not be sent to the remote computer
887정성태6/23/201037071개발 환경 구성: 79. Hyper-V의 가상 머신에서 소리 재생 방법 [2]
886정성태6/23/201024932제니퍼 .NET: 14. ASMX, WCF 호출 모니터링 및 누수 확인
885정성태6/20/201026836개발 환경 구성: 78. COM+ 서버에서 COM+ 서버를 호출하는 방법
884정성태6/20/201029565제니퍼 .NET: 13. COM+ 서버 모니터링 [2]
883정성태6/18/201031723개발 환경 구성: 77. Appinit_Dlls로 구현한 환경 변수 설정 DLL [5]파일 다운로드1
882정성태6/17/201034547개발 환경 구성: 76. JKS(Java Key Store)에 저장된 인증서를 ActiveX 코드 서명에 사용하는 방법 [1]
881정성태6/14/201023738제니퍼 .NET: 12. COM+ 호출 모니터링 및 누수 확인
879정성태6/10/201026571제니퍼 .NET: 11. 소켓 모니터링 기능으로 본 ASP.NET의 소켓 풀링 기능 [1]
878정성태6/6/201026342제니퍼 .NET: 10. 소켓 모니터링 기능으로 본 WCF의 WSDualHttpBinding 성능 부하
877정성태5/31/201022790제니퍼 .NET: 9. 성능 관리 퀴즈 세 번째 문제 (닷넷 개발자 컨퍼런스)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