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4개 있습니다.)

C# - VMMap처럼 스택 메모리의 reserve/guard/commit 상태 출력

아래는 VMMap 도구로 .NET 7 콘솔 프로그램의 Main 메서드를 수행한 스레드 스택에 대한 가상 메모리 상태를 보여줍니다.

thread_vmm_1.png

혹시, 저 상황을 우리도 구할 수 있을까요? ^^

이를 위해 우선 구해야 할 값이 (위의 화면에서는 0xB133A00000에 해당하는) 스택의 가상 메모리 시작 주소를 알아내야 합니다. 비록 정확한 시작 주소를 알 수는 없지만, 우리는 스택 주소 범위 내의 주솟값을 ESP/RSP 레지스터를 통해 구할 수 있습니다.

닷넷에서 ESP/RSP 레지스터 값을 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172

하지만, 저렇게 복잡하게 구하지 않아도 (unsafe 예약어를 적용한) 메서드에 포함된 로컬 변수의 값을 이용하는 것으로도 스택 주소 범위 내의 주솟값을 구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static unsafe void Main(string[] args)
{
    int dummy = 0;
    nuint localVarAdderss = new nuint(&dummy);
    Console.WriteLine($"dummy address: 0x{localVarAdderss:x16}");
}

일단 저렇게 스택 범위 내의 주솟값을 구하면, 이를 바탕으로 VirtualQuery Win32 API를 활용해 가상 메모리 할당의 시작 주솟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using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internal class Program
{
    [DllImport("kernel32.dll", SetLastError = true)]
    public static extern int VirtualQuery(UIntPtr lpAddress, ref MEMORY_BASIC_INFORMATION lpBuffer, int dwLength);

    static unsafe void Main(string[] args)
    {
        nuint stackBase = GetThreadStackBasse();
        Console.WriteLine($"Stack base: 0x{stackBase:X16}"); // 출력 값: Stack base: 0x00000081E3830000
    }

    private unsafe static nuint GetThreadStackBasse()
    {
        MEMORY_BASIC_INFORMATION mbi = new MEMORY_BASIC_INFORMATION();

        nuint stackPtr = new nuint((void*)(&mbi));
        int result = VirtualQuery(stackPtr, ref mbi, Marshal.SizeOf(mbi));
        if (result != 0)
        {
            return mbi.AllocationBase;
        }

        return 0;
    }
}

[StructLayout(LayoutKind.Sequential)]
public struct MEMORY_BASIC_INFORMATION
{
    public UIntPtr BaseAddress;
    public UIntPtr AllocationBase;
    public uint AllocationProtect;
    public IntPtr RegionSize;
    public uint State;
    public uint Protect;
    public uint Type;
}

VirtualQuery가 반환하는 MEMORY_BASIC_INFORMATION 구조체의 AllocationBase가 VMMap에서 보여주는 스택의 시작 주소와 일치합니다.

자, 이렇게 해서 시작 주소를 알았는데요, 이제 스레드 스택의 크기를 알아내야 합니다. 기본 스레드 크기PE 헤더의 SizeOfStackReserve로부터 구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생성한 스레드의 경우에는 그 값을 바꾸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단순히 SizeOfStackReserve 값을 활용하기에는 범용성이 떨어집니다.

다행히 Windows 8/2012부터는,

GetCurrentThreadStackLimits function (processthreadsapi.h)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win32/api/processthreadsapi/nf-processthreadsapi-getcurrentthreadstacklimits

위의 API를 활용해 다음과 같이 구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DllImport("kernel32.dll")]
static extern void GetCurrentThreadStackLimits(out ulong LowLimit, out ulong HightLimit);

static unsafe void Main(string[] args)
{
    GetCurrentThreadStackLimits(out ulong stackLowLimit, out ulong stackHightLimit);
    Console.WriteLine($"0x{stackLowLimit:X16} ~ 0x{stackHightLimit:X16}");
}

/* 출력 결과
0x0000003DD5600000 ~ 0x0000003DD5780000
*/

게다가 스택의 시작 주소도 함께 구해주기 때문에 이전에 만들어 둔 GetThreadStackBasse 메서드를 사용할 필요도 없습니다.




자, 이렇게 해서 스택의 시작과 끝을 구했으니 이제 그 사이의 메모리 Page 들이 어떤 속성으로 할당된 것인지 이전에 사용했던 VirtualQuery를 이용해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GetCurrentThreadStackLimits(out ulong stackLowLimit, out ulong stackHightLimit);

for (ulong page = stackLowLimit; page < stackHightLimit;)
{
    MEMORY_BASIC_INFORMATION mbi = new MEMORY_BASIC_INFORMATION();
    int result = VirtualQuery((nuint)page, ref mbi, Marshal.SizeOf(mbi));
    if (result != 0)
    {
        WritePageInfo((nuint)page, mbi);
    }

    page += (nuint)mbi.RegionSize;
}

private static void WritePageInfo(nuint page, MEMORY_BASIC_INFORMATION mbi)
{
    string text = $"BaseAddress: 0x{mbi.BaseAddress:X16}, Size: {mbi.RegionSize / 1024} KB, {GetPageState(mbi.State)} {GetPageAccess(mbi.Protect)}";
    Console.WriteLine($"{text}");
}

private static string GetPageAccess(uint state)
{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if ((state & 0x10) == 0x10)
    {
        sb.Append("PAGE_EXECUTE, ");
    }

    if ((state & 0x01) == 0x01)
    {
        sb.Append("PAGE_NOACCESS, ");
    }

    if ((state & 0x04) == 0x04)
    {
        sb.Append("PAGE_READWRITE, ");
    }

    if ((state & 0x100) == 0x100)
    {
        sb.Append("PAGE_GUARD");
    }

    return sb.ToString();
}

private static string GetPageState(uint state)
{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if ((state & 0x1000) == 0x1000)
    {
        sb.Append("MEM_COMMIT, ");
    }

    if ((state & 0x10000) == 0x10000)
    {
        sb.Append("MEM_FREE, ");
    }

    if ((state & 0x2000) == 0x2000)
    {
        sb.Append("MEM_RESERVE, ");
    }

    return sb.ToString();
}

이제 출력 결과를 VMMap과 비교하면,

thread_vmm_2.png

값이 정확히 일치합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2/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037정성태4/25/20226347.NET Framework: 1998. Azure Functions를 사용한 간단한 실습
13036정성태4/24/20227104.NET Framework: 1997. C# - nano 시간을 가져오는 방법 [2]
13035정성태4/22/20227694Windows: 204. Windows 10부터 바뀐 QueryPerformanceFrequency, QueryPerformanceCounter
13034정성태4/21/20227040.NET Framework: 1996. C# XingAPI - 주식 종목에 따른 PBR, PER, ROE, ROA 구하는 방법(t3320, t8430 예제)파일 다운로드1
13033정성태4/18/20227635.NET Framework: 1195. C# - Thread.Yield와 Thread.Sleep(0)의 차이점(?)
13032정성태4/17/20227357오류 유형: 805. Github의 50MB 파일 크기 제한 - warning: GH001: Large files detected. You may want to try Git Large File Storage
13031정성태4/15/20226896.NET Framework: 1194. C# - IdealProcessor와 ProcessorAffinity의 차이점
13030정성태4/15/20226562오류 유형: 804. 정규 표현식 오류 - Quantifier {x,y} following nothing.
13029정성태4/14/20226971Windows: 203. iisreset 후에도 이전에 설정한 전역 환경 변수가 w3wp.exe에 적용되는 문제
13028정성태4/13/20226891.NET Framework: 1193. (appsettings.json처럼) web.config의 Debug/Release에 따른 설정 적용
13027정성태4/12/20227167.NET Framework: 1192. C# - 환경 변수의 변화를 알리는 WM_SETTINGCHANGE Win32 메시지 사용법파일 다운로드1
13026정성태4/11/20228710.NET Framework: 1191. C 언어로 작성된 FFmpeg Examples의 C# 포팅 전체 소스 코드 [3]
13025정성태4/11/20228071.NET Framework: 119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vaapi_encode.c, vaapi_transcode.c 예제 포팅
13024정성태4/7/20226566.NET Framework: 1189. C# - 런타임 환경에 따라 달라진 AppDomain.GetCurrentThreadId 메서드
13023정성태4/6/20226861.NET Framework: 1188.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transcoding.c 예제 포팅 [3]
13022정성태3/31/20226762Windows: 202. 윈도우 11 업그레이드 - "PC Health Check"를 통과했지만 여전히 업그레이드가 안 되는 경우 해결책
13021정성태3/31/20226957Windows: 201. Windows - INF 파일을 이용한 장치 제거 방법
13020정성태3/30/20226702.NET Framework: 1187. RDP 접속 시 WPF UserControl의 Unloaded 이벤트 발생파일 다운로드1
13019정성태3/30/20226666.NET Framework: 1186. Win32 Message를 Code로부터 메시지 이름 자체를 구하고 싶다면?파일 다운로드1
13018정성태3/29/20227208.NET Framework: 1185. C# - Unsafe.AsPointer가 반환한 포인터는 pinning 상태일까요? [5]
13017정성태3/28/20226975.NET Framework: 1184. C# - GC Heap에 위치한 참조 개체의 주소를 알아내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3]
13016정성태3/27/20227871.NET Framework: 1183. C# 11에 추가된 ref 필드의 (우회) 구현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015정성태3/26/20229194.NET Framework: 1182. C# 11 - ref struct에 ref 필드를 허용 [1]
13014정성태3/23/20227782VC++: 155. CComPtr/CComQIPtr과 Conformance mode 옵션의 충돌 [1]
13013정성태3/22/20226066개발 환경 구성: 641. WSL 우분투 인스턴스에 파이썬 2.7 개발 환경 구성하는 방법
13012정성태3/21/20225391오류 유형: 803. C# - Local '...' or its members cannot have their address taken and be used inside an anonymous method or lambda expression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