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828. gunicorn - ModuleNotFoundError: No module named 'flask'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2989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gunicorn - ModuleNotFoundError: No module named 'flask'

지난 글을 통해,

Python - ImportError: cannot import name 'html5lib' from 'pip._vendor'
; https://www.sysnet.pe.kr/2/0/13175

python3.11과 pip을 이용해 Flask를 설치했는데,

$ python3.11 -m pip install Flask
Defaulting to user installation because normal site-packages is not writeable
Collecting Flask
  Using cached Flask-2.2.2-py3-none-any.whl (101 kB)
...[생략]...
Successfully built MarkupSafe
Installing collected packages: MarkupSafe, itsdangerous, click, Werkzeug, Jinja2, Flask
Successfully installed Flask-2.2.2 Jinja2-3.1.2 MarkupSafe-2.1.1 Werkzeug-2.2.2 click-8.1.3 itsdangerous-2.1.2

gunicorn 실행에서 Flask를 찾을 수 없다고 나옵니다.

$ gunicorn --bind 0:5000 "testwebapp:create_app()"
[2022-11-24 14:24:42 +0900] [1459] [INFO] Starting gunicorn 20.1.0
[2022-11-24 14:24:42 +0900] [1459] [INFO] Listening at: http://0.0.0.0:5000 (1459)
[2022-11-24 14:24:42 +0900] [1459] [INFO] Using worker: sync
[2022-11-24 14:24:42 +0900] [1461] [INFO] Booting worker with pid: 1461
[2022-11-24 14:24:42 +0900] [1461] [ERROR] Exception in worker process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home/testusr/.local/lib/python3.8/site-packages/gunicorn/arbiter.py", line 589, in spawn_worker
    worker.init_process()
  File "/home/testusr/.local/lib/python3.8/site-packages/gunicorn/workers/base.py", line 134, in init_process
    self.load_wsgi()
  File "/home/testusr/.local/lib/python3.8/site-packages/gunicorn/workers/base.py", line 146, in load_wsgi
    self.wsgi = self.app.wsgi()
  File "/home/testusr/.local/lib/python3.8/site-packages/gunicorn/app/base.py", line 67, in wsgi
    self.callable = self.load()
  File "/home/testusr/.local/lib/python3.8/site-packages/gunicorn/app/wsgiapp.py", line 58, in load
    return self.load_wsgiapp()
  File "/home/testusr/.local/lib/python3.8/site-packages/gunicorn/app/wsgiapp.py", line 48, in load_wsgiapp
    return util.import_app(self.app_uri)
  File "/home/testusr/.local/lib/python3.8/site-packages/gunicorn/util.py", line 359, in import_app
    mod = importlib.import_module(module)
  File "/usr/lib/python3.8/importlib/__init__.py", line 127, in import_module
    return _bootstrap._gcd_import(name[level:], package, level)
  File "<frozen importlib._bootstrap>", line 1014, in _gcd_import
  File "<frozen importlib._bootstrap>", line 991, in _find_and_load
  File "<frozen importlib._bootstrap>", line 975, in _find_and_load_unlocked
  File "<frozen importlib._bootstrap>", line 671, in _load_unlocked
  File "<frozen importlib._bootstrap_external>", line 848, in exec_module
  File "<frozen importlib._bootstrap>", line 219, in _call_with_frames_removed
  File "/testprj/latest_flask/testwebapp/__init__.py", line 2, in <module>
    from flask import Flask, render_template
ModuleNotFoundError: No module named 'flask'
[2022-11-24 14:24:42 +0900] [1461] [INFO] Worker exiting (pid: 1461)
[2022-11-24 14:24:42 +0900] [1459] [INFO] Shutting down: Master
[2022-11-24 14:24:42 +0900] [1459] [INFO] Reason: Worker failed to boot.

왜냐하면 gunicorn도 python 버전에 종속돼 있기 때문입니다.

$ which gunicorn
/home/testusr/.local/bin/gunicorn

$ cat ~/.local/bin/gunicorn
#!/usr/bin/python3
# -*- coding: utf-8 -*-
import re
import sys
from gunicorn.app.wsgiapp import run
if __name__ == '__main__':
    sys.argv[0] = re.sub(r'(-script\.pyw|\.exe)?$', '', sys.argv[0])
    sys.exit(run())

shebang으로 분명히 "#!/usr/bin/python3"을 가리키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shebang을 변경한다고 해서,

$ cat ~/.local/bin/gunicorn3.11
#!/usr/bin/python3.11
# -*- coding: utf-8 -*-
import re
import sys
from gunicorn.app.wsgiapp import run
if __name__ == '__main__':
    sys.argv[0] = re.sub(r'(-script\.pyw|\.exe)?$', '', sys.argv[0])
    sys.exit(run())

해결될 일이 아닙니다.

$ gunicorn --bind 0:5000 "testwebapp:create_app()"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home/testusr/.local/bin/gunicorn", line 5, in <module>
    from gunicorn.app.wsgiapp import run
ModuleNotFoundError: No module named 'gunicorn'

애당초 gunicorn은 파이썬 모듈로 설치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저렇게 shebang만 고친 파일이 아닌, python3.11에 gunicorn을 별도로 설치해야 합니다.

$ python3.11 -m pip install gunicorn

그럼, 기존의 "~/.local/bin/gunicorn" 파일을 덮어쓰는 부작용이 있는데,

$ cat ~/.local/bin/gunicorn
#!/usr/bin/python3.11
# -*- coding: utf-8 -*-
import re
import sys
from gunicorn.app.wsgiapp import run
if __name__ == '__main__':
    sys.argv[0] = re.sub(r'(-script\.pyw|\.exe)?$', '', sys.argv[0])
    sys.exit(run())

어쩔 수 없습니다. 버전 별로 필요하다면 파일을 별도로 만들어 두어야 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29/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977정성태2/21/202223005.NET Framework: 116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qsv 디코딩
12976정성태2/21/202217399VS.NET IDE: 174. Visual C++ - "External Dependencies" 노드 비활성화하는 방법
12975정성태2/20/202218846.NET Framework: 1159.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qsvdec.c 예제 포팅파일 다운로드1
12974정성태2/20/202217380.NET Framework: 1158. C# - SqlConnection의 최소 Pooling 수를 초과한 DB 연결은 언제 해제될까요?
12973정성태2/16/202220558개발 환경 구성: 639. ffmpeg.exe - Intel Quick Sync Video(qsv)를 이용한 인코딩 [3]
12972정성태2/16/202217936Windows: 200. Intel CPU의 내장 그래픽 GPU가 작업 관리자에 없다면? [4]
12971정성태2/15/202222618.NET Framework: 1157.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muxing.c 예제 포팅 [7]파일 다운로드2
12970정성태2/15/202218031.NET Framework: 1156. C# - ffmpeg(FFmpeg.AutoGen): Bitmap으로부터 h264 형식의 파일로 쓰기 [1]파일 다운로드1
12969정성태2/14/202216713개발 환경 구성: 638. Visual Studio의 Connection Manager 기능(Remote SSH 관리)을 위한 명령행 도구 - 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2968정성태2/14/202217628오류 유형: 794. msbuild 에러 - error NETSDK1005: Assets file '...\project.assets.json' doesn't have a target for '...'.
12967정성태2/14/202216654VC++: 153. Visual C++ - C99 표준의 Compund Literals 빌드 방법 [4]
12966정성태2/13/202217397.NET Framework: 1155. C# - ffmpeg(FFmpeg.AutoGen): Bitmap으로부터 yuv420p + rawvideo 형식의 파일로 쓰기파일 다운로드1
12965정성태2/13/202216338.NET Framework: 1154. "Hanja Hangul Project v1.01 (파이썬)"의 C# 버전
12964정성태2/11/202217454.NET Framework: 1153.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avio_reading.c 예제 포팅파일 다운로드1
12963정성태2/11/202218288.NET Framework: 1152. C# - 화면 캡처한 이미지를 ffmpeg(FFmpeg.AutoGen)로 동영상 처리 (저해상도 현상 해결)파일 다운로드1
12962정성태2/9/202217499오류 유형: 793.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 - 제품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재고가 없는 것일 수 있습니다.
12961정성태2/8/202216938.NET Framework: 1151.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프레임의 크기 및 포맷 변경 예제(scaling_video.c) [7]파일 다운로드1
12960정성태2/8/202216032개발 환경 구성: 637.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decode_video.c) - 세 번째 이야기
12959정성태2/7/202217396.NET Framework: 115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decode_video.c) - 두 번째 이야기 [2]파일 다운로드1
12958정성태2/6/202219442.NET Framework: 1149. C# - ffmpeg(FFmpeg.AutoGen) - 비디오 프레임 디코딩 [2]파일 다운로드1
12957정성태2/6/202217329개발 환경 구성: 636. ffmpeg.exe를 이용해 planar 포맷의 데이터를 packed 형식으로 변환하는 방법? [2]
12956정성태2/4/202217815.NET Framework: 1148. C# - ffmpeg(FFmpeg.AutoGen) - decoding 과정 [2]파일 다운로드1
12955정성태2/4/202216512개발 환경 구성: 635.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실행하던 ASP.NET Core (.NET Framework) 응용 프로그램을 명령행에서 실행하는 방법 (2)
12954정성태2/4/202214986VS.NET IDE: 173. 비주얼 스튜디오 - Output 창에 색상이 지정된 출력 결과가 "[39m[22m" 식의 문자로 나오는 문제
12953정성태2/2/202215626Linux: 48. Windows 11 + WSL 우분투 GUI 환경에서 한글 출력
12952정성태2/2/202216897.NET Framework: 1148.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오디오 필터 예제(filter_audio.c)파일 다운로드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