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Linux: 54. 리눅스/WSL - hello world 어셈블리 코드 x86/x64 (nasm)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5207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3개 있습니다.)
Linux: 54. 리눅스/WSL - hello world 어셈블리 코드 x86/x64 (nasm)
; https://www.sysnet.pe.kr/2/0/13181

Windows: 217. Windows 환경에서의 Hello World x64 어셈블리 예제 (MASM 버전)
; https://www.sysnet.pe.kr/2/0/13182

개발 환경 구성: 653. Windows 환경에서의 Hello World x64 어셈블리 예제 (NASM 버전)
; https://www.sysnet.pe.kr/2/0/13185




리눅스/WSL - hello world 어셈블리 코드 x86/x64 (nasm)

WSL에서도 테스트 가능합니다. NASM - The Netwide Assembler를 설치하고,

$ sudo apt install nasm

이렇게 코딩을 추가한 다음,

$ cat hello.asm

; x86 Assembly: Hello World!
; https://youtu.be/HgEGAaYdABA

global _start

section .text:
_start:
    mov eax, 0x4 ; #define __NR_write 4
        ; ssize_t write(int fd, const void *buf, size_t count);
        ;
    mov ebx, 1 ; fd standard console output == 1
    mov ecx, message ; buf
    mov edx, message_length ; count
    int 0x80

    mov eax, 0x1 ; #define __NR_exit 1
        ; void _exit(int status);
    mov ebx, 0 ; status == 0
    int 0x80

section .data:
    message: db "Hello World!", 0x0a
    message_length equ $-message

빌드하면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nasm -f elf32 -o hello.o hello.asm
$ ld -m elf_i386 -o hello hello.o
$ ./hello
Hello World!




동일한 역할의 코드를 x64로 하면 ABI가 달라진다는 점만 고려하면 기본은 같습니다.

// LINUX SYSTEM CALL TABLE FOR X86 64
// https://blog.rchapman.org/posts/Linux_System_Call_Table_for_x86_64/

$ cat app.asm

section .data
    message: db "Hello World!", 0x0a
    message_length equ $-message

section .text
global _start

_start:
    mov rax, 1 ; sys_write
    mov rdi, 1 ; stdout
    mov rsi, message ; buf
    mov rdx, message_length ; count
    syscall

    mov rax, 60 ; sys_exit
    mov rdi, 0 ; error code 0
    syscall

실행도 잘 되고. ^^

$ nasm -f elf64 -o app.o app.asm
$ ld app.o -o app
$ ./app
Hello World!

그나저나, WSL로 인해 개발 환경이 정말 많이 편해졌습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4/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310정성태9/19/201723124.NET Framework: 683. WPF의 Window 객체를 생성했는데 GC 수집 대상이 안 되는 이유 [3]
11309정성태9/13/201720101개발 환경 구성: 335. Octave의 명령 창에서 실행한 결과를 복사하는 방법
11308정성태9/13/201722352VS.NET IDE: 121.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일부 텍스트 파일을 무조건 메모장으로만 여는 문제파일 다운로드1
11307정성태9/13/201724998오류 유형: 421. System.Runtime.InteropServices.SEHException - 0x80004005
11306정성태9/12/201723310.NET Framework: 682. 아웃룩 사용자를 위한 중국어 스팸 필터 Add-in
11305정성태9/12/201724421개발 환경 구성: 334. 기존 프로젝트를 Visual Studio를 이용해 Github의 신규 생성된 repo에 올리는 방법 [1]
11304정성태9/11/201721203개발 환경 구성: 333. 3ds Max를 Hyper-V VM에서 실행하는 방법
11303정성태9/11/201724827개발 환경 구성: 332. Inno Setup 파일의 관리자 권한을 제거하는 방법
11302정성태9/11/201720595개발 환경 구성: 331. SQL Server Express를 위한 방화벽 설정
11301정성태9/11/201718581오류 유형: 420. SQL Server Express 연결 오류 - A network-related or instance-specific error occurred while establishing a connection to SQL Server.
11300정성태9/10/201724069.NET Framework: 681. dotnet.exe - run, exec, build, restore, publish 차이점 [3]
11299정성태9/9/201722680개발 환경 구성: 330. Hyper-V VM의 Internal Network를 Private 유형으로 만드는 방법
11298정성태9/8/201726407VC++: 119. EnumProcesses / EnumProcessModules API 사용 시 주의점 [1]
11297정성태9/8/201722383디버깅 기술: 96. windbg - 풀 덤프에 포함된 모든 닷넷 모듈을 파일로 저장하는 방법
11296정성태9/8/201724934웹: 36. Edge - "이 웹 사이트는 이전 기술에서 실행되며 Internet Explorer에서만 작동합니다." 끄는 방법
11295정성태9/7/201723446디버깅 기술: 95. Windbg - .foreach 사용법
11294정성태9/4/201722783개발 환경 구성: 329. 마이크로소프트의 CoreCLR 프로파일러 예제 빌드 방법 [1]
11293정성태9/4/201723598개발 환경 구성: 328. Visual Studio(devenv.exe)를 배치 파일(.bat)을 통해 실행하는 방법
11292정성태9/4/201721840오류 유형: 419. Cannot connect to WMI provider - Invalid class [0x80041010]
11291정성태9/3/201722469개발 환경 구성: 327. 아파치 서버 2.4를 위한 mod_aspdotnet 마이그레이션
11290정성태9/3/201726914개발 환경 구성: 326. 아파치 서버에서 ASP.NET을 실행하는 mod_aspdotnet 모듈 [2]
11289정성태9/3/201724664개발 환경 구성: 325. GAC에 어셈블리 등록을 위해 gacutil.exe을 사용하는 경우 주의 사항
11288정성태9/3/201720994개발 환경 구성: 324. 윈도우용 XAMPP의 아파치 서버 구성 방법
11287정성태9/1/201729995.NET Framework: 680. C# - 작업자(Worker) 스레드와 UI 스레드 [11]
11286정성태8/28/201717726기타: 67. App Privacy Policy
11285정성태8/28/201726052.NET Framework: 679. C# - 개인 키 보안의 SFTP를 이용한 파일 업로드파일 다운로드1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