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3개 있습니다.)
Linux: 54. 리눅스/WSL - hello world 어셈블리 코드 x86/x64 (nasm)
; https://www.sysnet.pe.kr/2/0/13181

Windows: 217. Windows 환경에서의 Hello World x64 어셈블리 예제 (MASM 버전)
; https://www.sysnet.pe.kr/2/0/13182

개발 환경 구성: 653. Windows 환경에서의 Hello World x64 어셈블리 예제 (NASM 버전)
; https://www.sysnet.pe.kr/2/0/13185




Windows 환경에서의 Hello World x64 어셈블리 예제 (MASM 버전)

리눅스를 알아봤으니,

리눅스/WSL - hello world 어셈블리 코드 x86/x64 (nasm)
; https://www.sysnet.pe.kr/2/0/13181

당연히 Windows 환경도 다뤄봐야지요. ^^ 이에 대해서는 각종 Q&A에 잘 나와 있습니다.

How to write hello world in assembly under Windows?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1023593/how-to-write-hello-world-in-assembly-under-windows

직접 실습해 볼까요? ^^




우선 컴파일러가 필요한데, Visual Studio를 설치했다면 다음의 경로에 ml64.exe (Macro Assembler for x64) 컴파일러가 있을 것입니다.

// 버전마다 다를 수 있고, 
// 만약 없다면, "C++을 사용한 데스크톱 개발(Desktop development with C++)" 구성 요소를 추가로 설치합니다.

C:\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tudio\2022\Enterprise\VC\Tools\MSVC\14.34.31933\bin\Hostx64\x64\ml64.exe

혹은 (Visual Studio Community 버전도 무료지만) 무료 다운로드로 "Build Tools for Visual Studio"를 설치하면,

Build Tools for Visual Studio 2022
; https://visualstudio.microsoft.com/downloads/#build-tools-for-visual-studio-2022

Macro Assembler를 구할 수 있습니다. MASM으로 개발하는 경우 빌드를 쉽게 하기 위해 Visual Studio 설치 시 함께 추가되는 "x64 Native Tools Command Prompt for VS 2022" 명령행 창을 이용하면 곧바로 ml64.exe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win32_asm_1.png

그럼 코딩을 해볼까요? ^^

아쉽게도 Windows의 경우 (리눅스와는 달리) Win32 API로 시스템 콜을 감싸기 때문에 약간 불편한 Hello World 예제가 나옵니다. "How to write hello world in assembly under Windows?" 글의 답변에 있는 첫 번째 예제가 바로 3개의 Win32 API를 이용해,

HANDLE WINAPI GetStdHandle(_In_ DWORD nStdHandle);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console/getstdhandle

BOOL WriteFile([in] HANDLE hFile, [in] LPCVOID lpBuffer, [in] DWORD nNumberOfBytesToWrite, [out, optional] LPDWORD lpNumberOfBytesWritten, [in, out, optional] LPOVERLAPPED lpOverlapped);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win32/api/fileapi/nf-fileapi-writefile

void ExitProcess([in] UINT uExitCode);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win32/api/processthreadsapi/nf-processthreadsapi-exitprocess

만든 Hello World Win32 콘솔 응용 프로그램입니다.

; hello.asm

extern ExitProcess : near
extern WriteFile : near
extern GetStdHandle : near

    .data
message db 'Hello World!', 0
message_len dq 12

    .code

main proc
    sub  rsp, 28h  

    mov     rcx, -11
    call    GetStdHandle
    
    mov     rcx, rax    
    lea     rdx, [message]
    mov     r8, message_len
    mov     r9, 0
    push    0
    call    WriteFile

    mov     rcx, rax
    call    ExitProcess

main endp

end

빌드하면 2,560 바이트의 작은 exe 파일이 생성되고 실제로 실행까지 잘 됩니다.

// 또는 이렇게 빌드해도 되고,
// ml64 hello.asm /link /nodefaultlib kernel32.lib user32.lib /entry:main

c:\temp> ml64 hello.asm /link kernel32.lib user32.lib /entry:main
Microsoft (R) Macro Assembler (x64) Version 14.34.31933.0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Assembling: hello.asm
Microsoft (R) Incremental Linker Version 14.34.31933.0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OUT:hello.exe
hello.obj
kernel32.lib
user32.lib
/entry:main

c:\temp> hello
Hello World!

혹은 MessageBox를 이용한,

int MessageBox([in, optional] HWND hWnd, [in, optional] LPCTSTR lpText, [in, optional] LPCTSTR lpCaption, [in] UINT uType);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win32/api/winuser/nf-winuser-messagebox

GUI스러운 Hello World라면 좀 더 간단하게 코드가 나옵니다.

; hello_msgbox.asm

extern ExitProcess : near
extern MessageBoxA : near

    .data
msgtitle db 'x64 App', 0
message db 'Hello World!', 0

    .code

main proc
    sub  rsp, 28h  

    mov     rcx, 0
    lea     rdx, [message]
    lea     r8, [msgtitle]
    mov     r9, 0
    call    MessageBoxA

    mov     rcx, rax
    call    ExitProcess

main endp

end

// ml64 hello_msgbox.asm /link /nodefaultlib kernel32.lib user32.lib /entry:main

c:\temp> ml64 hello_msgbox.asm /link kernel32.lib user32.lib /entry:main
Microsoft (R) Macro Assembler (x64) Version 14.34.31933.0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Assembling: hello_msgbox.asm
Microsoft (R) Incremental Linker Version 14.34.31933.0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OUT:hello_msgbox.exe
hello_msgbox.obj
kernel32.lib
user32.lib
/entry:main

c:\temp> hello_msgbox
// Win32 MesageBox 창 출력

참고로, 이전 콘솔 출력과는 달리 위의 응용 프로그램은 GUI만을 사용하므로 ml64의 명령행에 /subsystem을 추가해도 됩니다.

ml64 hello_msgbox.asm /link /subsystem:windows kernel32.lib user32.lib /entry:main

만약, GUI가 아닌 명령행이라면 (예를 들어, 이전 hello.asm과 같은 경우) /subsystem 옵션을 제거하거나, "/subsystem:console" 옵션을 줘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C++ 런타임과 연동하는 것도 볼까요? ^^

; hello_cpp.asm

extern ExitProcess : near
extern printf : near

    .data
message db 'Hello World!', 0

    .code

main proc
    sub  rsp, 28h  

    lea     rcx, [message]
    call    printf

    mov     rcx, rax
    call    ExitProcess

main endp

end

빌드는 관련 CRT 라이브러리의 추가로 mainCRTStartup을 추가해야 하는 정도의 배려만 하면 됩니다.

// 아래와 같이 빌드해도 되고,
// ml64 hello_cpp.asm /link /nodefaultlib /subsystem:console ucrt.lib libcmt.lib vcruntime.lib legacy_stdio_definitions.lib legacy_stdio_wide_specifiers.lib kernel32.lib /entry:mainCRTStartup

c:\temp> ml64 hello_cpp.asm /link /subsystem:console libcmt.lib /entry:mainCRTStartup

Microsoft (R) Macro Assembler (x64) Version 14.34.31933.0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Assembling: hello_cpp.asm
Microsoft (R) Incremental Linker Version 14.34.31933.0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OUT:hello_cpp.exe
hello_cpp.obj
/subsystem:console
libcmt.lib
/entry:mainCRTStartup

c:\temp> hello_cpp
Hello World!

참고로, Visual Studio의 경우 Visual C++와 연동하는 용도로 Assembly 코드를 사용하고 싶다면 다음의 글을 보시면 됩니다. ^^

Visual C++ / x64 환경에서 inline-assembly를 매크로 어셈블리로 대체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1691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5/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4000정성태8/18/2025234오류 유형: 979. ERROR: failed to solve: failed to read dockerfile: open Dockerfile: no such file or directory
13999정성태8/15/2025739닷넷: 2355. C# 14 - (8) null 조건부 연산자 개선 - 대입문에도 사용 가능파일 다운로드1
13998정성태8/14/2025809닷넷: 2354. C# 14 - (7) 확장 메서드에 정적 메서드와 속성 지원을 위한 전용 구문 추가파일 다운로드1
13997정성태8/14/2025957Linux: 120. docker 컨테이너로 매핑된 볼륨에 컨테이너 측의 사용자 ID를 유지하면서 복사하는 방법
13996정성태8/13/2025568오류 유형: 978. Unable to find the requested .Net Framework Data Provider.
13995정성태8/13/2025623개발 환경 구성: 754. Visual C++ - 리눅스 빌드를 위한 Ubuntu 18 docker 컨테이너 설정
13994정성태8/12/2025642오류 유형: 977. SQL Server - User, group, or role '...' already exists in the current database. (Microsoft SQL Server, Error: 15023)
13993정성태8/11/2025970오류 유형: 976. Microsoft.ML.OnnxRuntimeGenAI 패키지 사용 시 "cublasLt64_12.dll" which is missing. (Error 126: "The specified module could not be found.") 오류
13992정성태8/11/20251150닷넷: 2353. C# - Foundry Local을 이용한 gpt-oss-20b 모델 사용파일 다운로드1
13991정성태8/9/20251077오류 유형: 975. winget - Foundry Local 패키지 업데이트가 안 되는 문제
13990정성태8/8/2025828Windows: 283. Time zone 설정이 없는 Windows Server 2025
13989정성태8/8/20251214닷넷: 2352. C# - Windows S-mode 환경인지 체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988정성태8/8/20251358오류 유형: 974. 비주얼 스튜디오 업데이트 시 잠김 파일 경고 - Visual Studio Standard Collector Service 150 (VSStandardCollectorService150)
13987정성태8/7/20251026닷넷: 2351. C# 14 - (6) event와 생성자에도 partial 메서드 적용파일 다운로드1
13986정성태8/6/20251103닷넷: 2350. C# 14 - (5) 람다 매개 변수에 접근자가 있는 경우에도 타입 생략 가능파일 다운로드1
13985정성태8/6/20251462오류 유형: 973. "wsl --install" 명령어 수행 시 "The server name or address could not be resolved"
13984정성태8/6/20251240Windows: 282. 윈도우 운영체제에 추가된 ssh 서버(Win32-OpenSSH)
13983정성태8/4/20251323오류 유형: 972. Microsoft.Data.SqlClient 6.1.0 버전부터 .NET 8 이상만 지원
13982정성태8/2/20251739개발 환경 구성: 753. CentOS 7 컨테이너 내에서 openssh 서버 호스팅
13981정성태8/1/20251396오류 유형: 971. CentOS 7에서 yum 사용 시 "Could not resolve host: mirrorlist.centos.org; Unknown error"
13980정성태7/31/20251576Linux: 119. eBPF - BPF_PROG_TYPE_CGROUP_SOCK 유형에서 정상 동작하지 않는 BPF_CORE_READ (2)
13979정성태7/30/20251872Linux: 118. eBPF - BPF_PROG_TYPE_CGROUP_SOCK 유형에서 정상 동작하지 않는 BPF_CORE_READ
13978정성태7/29/20251705오류 유형: 970. 파일 복사 시 "Data error (cyclic redundancy check). (0x80070017)" 에러
13977정성태7/28/20252020닷넷: 2349. C# 14 - (4) 문자열 리터럴을 utf-8 인코딩으로 저장파일 다운로드1
13976정성태7/25/20251865닷넷: 2348. C# - 카카오 카나나 모델 + Microsoft.ML.OnnxRuntimeGenAI 예제파일 다운로드1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