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3개 있습니다.)
Linux: 54. 리눅스/WSL - hello world 어셈블리 코드 x86/x64 (nasm)
; https://www.sysnet.pe.kr/2/0/13181

Windows: 217. Windows 환경에서의 Hello World x64 어셈블리 예제 (MASM 버전)
; https://www.sysnet.pe.kr/2/0/13182

개발 환경 구성: 653. Windows 환경에서의 Hello World x64 어셈블리 예제 (NASM 버전)
; https://www.sysnet.pe.kr/2/0/13185




Windows 환경에서의 Hello World x64 어셈블리 예제 (MASM 버전)

리눅스를 알아봤으니,

리눅스/WSL - hello world 어셈블리 코드 x86/x64 (nasm)
; https://www.sysnet.pe.kr/2/0/13181

당연히 Windows 환경도 다뤄봐야지요. ^^ 이에 대해서는 각종 Q&A에 잘 나와 있습니다.

How to write hello world in assembly under Windows?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1023593/how-to-write-hello-world-in-assembly-under-windows

직접 실습해 볼까요? ^^




우선 컴파일러가 필요한데, Visual Studio를 설치했다면 다음의 경로에 ml64.exe (Macro Assembler for x64) 컴파일러가 있을 것입니다.

// 버전마다 다를 수 있고, 
// 만약 없다면, "C++을 사용한 데스크톱 개발(Desktop development with C++)" 구성 요소를 추가로 설치합니다.

C:\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tudio\2022\Enterprise\VC\Tools\MSVC\14.34.31933\bin\Hostx64\x64\ml64.exe

혹은 (Visual Studio Community 버전도 무료지만) 무료 다운로드로 "Build Tools for Visual Studio"를 설치하면,

Build Tools for Visual Studio 2022
; https://visualstudio.microsoft.com/downloads/#build-tools-for-visual-studio-2022

Macro Assembler를 구할 수 있습니다. MASM으로 개발하는 경우 빌드를 쉽게 하기 위해 Visual Studio 설치 시 함께 추가되는 "x64 Native Tools Command Prompt for VS 2022" 명령행 창을 이용하면 곧바로 ml64.exe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win32_asm_1.png

그럼 코딩을 해볼까요? ^^

아쉽게도 Windows의 경우 (리눅스와는 달리) Win32 API로 시스템 콜을 감싸기 때문에 약간 불편한 Hello World 예제가 나옵니다. "How to write hello world in assembly under Windows?" 글의 답변에 있는 첫 번째 예제가 바로 3개의 Win32 API를 이용해,

HANDLE WINAPI GetStdHandle(_In_ DWORD nStdHandle);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console/getstdhandle

BOOL WriteFile([in] HANDLE hFile, [in] LPCVOID lpBuffer, [in] DWORD nNumberOfBytesToWrite, [out, optional] LPDWORD lpNumberOfBytesWritten, [in, out, optional] LPOVERLAPPED lpOverlapped);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win32/api/fileapi/nf-fileapi-writefile

void ExitProcess([in] UINT uExitCode);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win32/api/processthreadsapi/nf-processthreadsapi-exitprocess

만든 Hello World Win32 콘솔 응용 프로그램입니다.

; hello.asm

extern ExitProcess : near
extern WriteFile : near
extern GetStdHandle : near

    .data
message db 'Hello World!', 0
message_len dq 12

    .code

main proc
    sub  rsp, 28h  

    mov     rcx, -11
    call    GetStdHandle
    
    mov     rcx, rax    
    lea     rdx, [message]
    mov     r8, message_len
    mov     r9, 0
    push    0
    call    WriteFile

    mov     rcx, rax
    call    ExitProcess

main endp

end

빌드하면 2,560 바이트의 작은 exe 파일이 생성되고 실제로 실행까지 잘 됩니다.

// 또는 이렇게 빌드해도 되고,
// ml64 hello.asm /link /nodefaultlib kernel32.lib user32.lib /entry:main

c:\temp> ml64 hello.asm /link kernel32.lib user32.lib /entry:main
Microsoft (R) Macro Assembler (x64) Version 14.34.31933.0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Assembling: hello.asm
Microsoft (R) Incremental Linker Version 14.34.31933.0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OUT:hello.exe
hello.obj
kernel32.lib
user32.lib
/entry:main

c:\temp> hello
Hello World!

혹은 MessageBox를 이용한,

int MessageBox([in, optional] HWND hWnd, [in, optional] LPCTSTR lpText, [in, optional] LPCTSTR lpCaption, [in] UINT uType);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win32/api/winuser/nf-winuser-messagebox

GUI스러운 Hello World라면 좀 더 간단하게 코드가 나옵니다.

; hello_msgbox.asm

extern ExitProcess : near
extern MessageBoxA : near

    .data
msgtitle db 'x64 App', 0
message db 'Hello World!', 0

    .code

main proc
    sub  rsp, 28h  

    mov     rcx, 0
    lea     rdx, [message]
    lea     r8, [msgtitle]
    mov     r9, 0
    call    MessageBoxA

    mov     rcx, rax
    call    ExitProcess

main endp

end

// ml64 hello_msgbox.asm /link /nodefaultlib kernel32.lib user32.lib /entry:main

c:\temp> ml64 hello_msgbox.asm /link kernel32.lib user32.lib /entry:main
Microsoft (R) Macro Assembler (x64) Version 14.34.31933.0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Assembling: hello_msgbox.asm
Microsoft (R) Incremental Linker Version 14.34.31933.0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OUT:hello_msgbox.exe
hello_msgbox.obj
kernel32.lib
user32.lib
/entry:main

c:\temp> hello_msgbox
// Win32 MesageBox 창 출력

참고로, 이전 콘솔 출력과는 달리 위의 응용 프로그램은 GUI만을 사용하므로 ml64의 명령행에 /subsystem을 추가해도 됩니다.

ml64 hello_msgbox.asm /link /subsystem:windows kernel32.lib user32.lib /entry:main

만약, GUI가 아닌 명령행이라면 (예를 들어, 이전 hello.asm과 같은 경우) /subsystem 옵션을 제거하거나, "/subsystem:console" 옵션을 줘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C++ 런타임과 연동하는 것도 볼까요? ^^

; hello_cpp.asm

extern ExitProcess : near
extern printf : near

    .data
message db 'Hello World!', 0

    .code

main proc
    sub  rsp, 28h  

    lea     rcx, [message]
    call    printf

    mov     rcx, rax
    call    ExitProcess

main endp

end

빌드는 관련 CRT 라이브러리의 추가로 mainCRTStartup을 추가해야 하는 정도의 배려만 하면 됩니다.

// 아래와 같이 빌드해도 되고,
// ml64 hello_cpp.asm /link /nodefaultlib /subsystem:console ucrt.lib libcmt.lib vcruntime.lib legacy_stdio_definitions.lib legacy_stdio_wide_specifiers.lib kernel32.lib /entry:mainCRTStartup

c:\temp> ml64 hello_cpp.asm /link /subsystem:console libcmt.lib /entry:mainCRTStartup

Microsoft (R) Macro Assembler (x64) Version 14.34.31933.0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Assembling: hello_cpp.asm
Microsoft (R) Incremental Linker Version 14.34.31933.0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OUT:hello_cpp.exe
hello_cpp.obj
/subsystem:console
libcmt.lib
/entry:mainCRTStartup

c:\temp> hello_cpp
Hello World!

참고로, Visual Studio의 경우 Visual C++와 연동하는 용도로 Assembly 코드를 사용하고 싶다면 다음의 글을 보시면 됩니다. ^^

Visual C++ / x64 환경에서 inline-assembly를 매크로 어셈블리로 대체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1691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5/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856정성태2/15/201521276.NET Framework: 493. TypeRef 메타테이블에 등록되는 타입의 조건파일 다운로드1
1855정성태2/10/201520805개발 환경 구성: 256. WebDAV Redirector - Sysinternals 폴더 연결 시 "The network path was not found" 오류 해결 방법
1854정성태2/10/201521803Windows: 104. 폴더는 삭제할 수 없지만, 그 하위 폴더/파일은 생성/삭제/변경하는 보안 설정
1853정성태2/6/201552067웹: 29. 여신금융협회 웹 사이트의 "Netscape 6.0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오류 메시지 [5]
1852정성태2/5/201522488.NET Framework: 492. .NET CLR Memory 성능 카운터의 의미파일 다운로드1
1851정성태2/5/201523408VC++: 88. 하룻밤의 꿈 - 인텔 하스웰의 TSX Instruction 지원 [2]
1850정성태2/4/201544302Windows: 103. 작업 관리자에서의 "Commit size"가 가리키는 메모리의 의미 [4]
1849정성태2/4/201524193기타: 51. DropBox의 CPU 100% 현상 [1]파일 다운로드1
1848정성태2/4/201519452.NET Framework: 491. 닷넷 Generic 타입의 메타 데이터 토큰 값 알아내는 방법 [2]
1847정성태2/3/201522806기타: 50. C# - 윈도우에서 dropbox 동기화 폴더 경로 및 종료하는 방법
1846정성태2/2/201532028Windows: 102. 제어판의 프로그램 추가/삭제 항목을 수동으로 실행하고 싶다면? [1]
1845정성태1/26/201532905Windows: 101. 제어판의 "Windows 자격 증명 관리(Manage your credentials)"를 금지시키는 방법
1844정성태1/26/201530863오류 유형: 269. USB 메모리의 용량이 비정상적으로 보여진다면? [7]
1843정성태1/24/201521925VC++: 87. 무시할 수 없는 Visual C++ 런타임 함수 성능
1842정성태1/23/201544457개발 환경 구성: 255. 노트북 키보드에 없는 BREAK 키를 다른 키로 대체하는 방법
1841정성태1/21/201519412오류 유형: 268. Win32 핸들 관련 CLR4 보안 오류 사례
1840정성태1/8/201527625오류 유형: 267. Visual Studio - CodeLens 사용 시 CPU 100% 현상
1839정성태1/5/201520535디버깅 기술: 69. windbg 분석 사례 - cpu 100% 현상 (2)
1838정성태1/4/201540240기타: 49. 윈도우 내레이터(Narrator) 기능 끄는 방법(윈도우에 파란색의 굵은 테두리 선이 나타난다면?) [4]
1837정성태1/4/201526361디버깅 기술: 68. windbg 분석 사례 - 메모리 부족 [1]
1836정성태1/4/201526372디버깅 기술: 67. windbg - 덤프 파일과 handle 정보
1835정성태1/3/201526858개발 환경 구성: 254. SQL 서버 역시 SSL 3.0/TLS 1.0만을 지원하는 듯!
1834정성태1/3/201551496개발 환경 구성: 253. TLS 1.2를 적용한 IIS 웹 사이트 구성
1833정성태1/3/201527580.NET Framework: 490. System.Data.SqlClient는 SSL 3.0/TLS 1.0만 지원하는 듯! [3]
1832정성태1/2/201520653오류 유형: 266. Azure에 응용 프로그램 게시 중 로그인 오류
1831정성태1/1/201528534디버깅 기술: 66. windbg 분석 사례 - cpu 100% 현상 (1) [1]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