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3개 있습니다.)
Linux: 54. 리눅스/WSL - hello world 어셈블리 코드 x86/x64 (nasm)
; https://www.sysnet.pe.kr/2/0/13181

Windows: 217. Windows 환경에서의 Hello World x64 어셈블리 예제 (MASM 버전)
; https://www.sysnet.pe.kr/2/0/13182

개발 환경 구성: 653. Windows 환경에서의 Hello World x64 어셈블리 예제 (NASM 버전)
; https://www.sysnet.pe.kr/2/0/13185




Windows 환경에서의 Hello World x64 어셈블리 예제 (MASM 버전)

리눅스를 알아봤으니,

리눅스/WSL - hello world 어셈블리 코드 x86/x64 (nasm)
; https://www.sysnet.pe.kr/2/0/13181

당연히 Windows 환경도 다뤄봐야지요. ^^ 이에 대해서는 각종 Q&A에 잘 나와 있습니다.

How to write hello world in assembly under Windows?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1023593/how-to-write-hello-world-in-assembly-under-windows

직접 실습해 볼까요? ^^




우선 컴파일러가 필요한데, Visual Studio를 설치했다면 다음의 경로에 ml64.exe (Macro Assembler for x64) 컴파일러가 있을 것입니다.

// 버전마다 다를 수 있고, 
// 만약 없다면, "C++을 사용한 데스크톱 개발(Desktop development with C++)" 구성 요소를 추가로 설치합니다.

C:\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tudio\2022\Enterprise\VC\Tools\MSVC\14.34.31933\bin\Hostx64\x64\ml64.exe

혹은 (Visual Studio Community 버전도 무료지만) 무료 다운로드로 "Build Tools for Visual Studio"를 설치하면,

Build Tools for Visual Studio 2022
; https://visualstudio.microsoft.com/downloads/#build-tools-for-visual-studio-2022

Macro Assembler를 구할 수 있습니다. MASM으로 개발하는 경우 빌드를 쉽게 하기 위해 Visual Studio 설치 시 함께 추가되는 "x64 Native Tools Command Prompt for VS 2022" 명령행 창을 이용하면 곧바로 ml64.exe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win32_asm_1.png

그럼 코딩을 해볼까요? ^^

아쉽게도 Windows의 경우 (리눅스와는 달리) Win32 API로 시스템 콜을 감싸기 때문에 약간 불편한 Hello World 예제가 나옵니다. "How to write hello world in assembly under Windows?" 글의 답변에 있는 첫 번째 예제가 바로 3개의 Win32 API를 이용해,

HANDLE WINAPI GetStdHandle(_In_ DWORD nStdHandle);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console/getstdhandle

BOOL WriteFile([in] HANDLE hFile, [in] LPCVOID lpBuffer, [in] DWORD nNumberOfBytesToWrite, [out, optional] LPDWORD lpNumberOfBytesWritten, [in, out, optional] LPOVERLAPPED lpOverlapped);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win32/api/fileapi/nf-fileapi-writefile

void ExitProcess([in] UINT uExitCode);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win32/api/processthreadsapi/nf-processthreadsapi-exitprocess

만든 Hello World Win32 콘솔 응용 프로그램입니다.

; hello.asm

extern ExitProcess : near
extern WriteFile : near
extern GetStdHandle : near

    .data
message db 'Hello World!', 0
message_len dq 12

    .code

main proc
    sub  rsp, 28h  

    mov     rcx, -11
    call    GetStdHandle
    
    mov     rcx, rax    
    lea     rdx, [message]
    mov     r8, message_len
    mov     r9, 0
    push    0
    call    WriteFile

    mov     rcx, rax
    call    ExitProcess

main endp

end

빌드하면 2,560 바이트의 작은 exe 파일이 생성되고 실제로 실행까지 잘 됩니다.

// 또는 이렇게 빌드해도 되고,
// ml64 hello.asm /link /nodefaultlib kernel32.lib user32.lib /entry:main

c:\temp> ml64 hello.asm /link kernel32.lib user32.lib /entry:main
Microsoft (R) Macro Assembler (x64) Version 14.34.31933.0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Assembling: hello.asm
Microsoft (R) Incremental Linker Version 14.34.31933.0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OUT:hello.exe
hello.obj
kernel32.lib
user32.lib
/entry:main

c:\temp> hello
Hello World!

혹은 MessageBox를 이용한,

int MessageBox([in, optional] HWND hWnd, [in, optional] LPCTSTR lpText, [in, optional] LPCTSTR lpCaption, [in] UINT uType);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win32/api/winuser/nf-winuser-messagebox

GUI스러운 Hello World라면 좀 더 간단하게 코드가 나옵니다.

; hello_msgbox.asm

extern ExitProcess : near
extern MessageBoxA : near

    .data
msgtitle db 'x64 App', 0
message db 'Hello World!', 0

    .code

main proc
    sub  rsp, 28h  

    mov     rcx, 0
    lea     rdx, [message]
    lea     r8, [msgtitle]
    mov     r9, 0
    call    MessageBoxA

    mov     rcx, rax
    call    ExitProcess

main endp

end

// ml64 hello_msgbox.asm /link /nodefaultlib kernel32.lib user32.lib /entry:main

c:\temp> ml64 hello_msgbox.asm /link kernel32.lib user32.lib /entry:main
Microsoft (R) Macro Assembler (x64) Version 14.34.31933.0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Assembling: hello_msgbox.asm
Microsoft (R) Incremental Linker Version 14.34.31933.0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OUT:hello_msgbox.exe
hello_msgbox.obj
kernel32.lib
user32.lib
/entry:main

c:\temp> hello_msgbox
// Win32 MesageBox 창 출력

참고로, 이전 콘솔 출력과는 달리 위의 응용 프로그램은 GUI만을 사용하므로 ml64의 명령행에 /subsystem을 추가해도 됩니다.

ml64 hello_msgbox.asm /link /subsystem:windows kernel32.lib user32.lib /entry:main

만약, GUI가 아닌 명령행이라면 (예를 들어, 이전 hello.asm과 같은 경우) /subsystem 옵션을 제거하거나, "/subsystem:console" 옵션을 줘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C++ 런타임과 연동하는 것도 볼까요? ^^

; hello_cpp.asm

extern ExitProcess : near
extern printf : near

    .data
message db 'Hello World!', 0

    .code

main proc
    sub  rsp, 28h  

    lea     rcx, [message]
    call    printf

    mov     rcx, rax
    call    ExitProcess

main endp

end

빌드는 관련 CRT 라이브러리의 추가로 mainCRTStartup을 추가해야 하는 정도의 배려만 하면 됩니다.

// 아래와 같이 빌드해도 되고,
// ml64 hello_cpp.asm /link /nodefaultlib /subsystem:console ucrt.lib libcmt.lib vcruntime.lib legacy_stdio_definitions.lib legacy_stdio_wide_specifiers.lib kernel32.lib /entry:mainCRTStartup

c:\temp> ml64 hello_cpp.asm /link /subsystem:console libcmt.lib /entry:mainCRTStartup

Microsoft (R) Macro Assembler (x64) Version 14.34.31933.0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Assembling: hello_cpp.asm
Microsoft (R) Incremental Linker Version 14.34.31933.0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OUT:hello_cpp.exe
hello_cpp.obj
/subsystem:console
libcmt.lib
/entry:mainCRTStartup

c:\temp> hello_cpp
Hello World!

참고로, Visual Studio의 경우 Visual C++와 연동하는 용도로 Assembly 코드를 사용하고 싶다면 다음의 글을 보시면 됩니다. ^^

Visual C++ / x64 환경에서 inline-assembly를 매크로 어셈블리로 대체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1691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5/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96]  197 
NoWriterDateCnt.TitleFile(s)
40정성태7/23/200321884COM 개체 관련: 10. IE BHO 개체를 개발할 때,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아닌 탐색기에서 활성화 되는 문제 해결 [1]
41김성현7/24/200320712    답변글 COM 개체 관련: 10.1. [답변]: IE BHO 개체를 개발할 때,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아닌 탐색기에서 활성화 되는 문제 해결
42정성태7/29/200318654        답변글 COM 개체 관련: 10.2. feedback 을 받기 위해서 답변 기능을 가능하게 해두었습니다.
39정성태7/17/200324441VS.NET IDE: 5. 원격 제어 3가지 방법
38정성태7/17/200320992.NET Framework: 8. IIS 서버 재설치와 ASP.NET 서비스의 문제점
36정성태7/17/200321644.NET Framework: 7. 시행착오 - WebService 참조 추가 오류
35정성태7/17/200322190.NET Framework: 6. Win2000에서의 .NET COM+ 자동 등록 오류 발생 해결
34정성태7/17/200320846VS.NET IDE: 4. VC++ 원격 디버깅파일 다운로드1
33정성태7/17/200321022VS.NET IDE: 3. Win2000 NAT 서비스
32정성태7/17/200322211COM 개체 관련: 9. _bstr_t, CComBSTR, string 클래스 사용 [1]
31정성태7/17/200319269COM 개체 관련: 8. IDL 구문에서 구조체를 pack 하는 방법
30정성태7/17/200336523VC++: 7. [STL] vector 사용법 및 reference 사용예 [1]파일 다운로드1
28정성태7/17/200320937스크립트: 3. Programming Microsoft Internet Explorer 5 - CHM 파일
29정성태7/17/200320417    답변글 스크립트: 3.1. Programming Microsoft Internet Explorer 5 - 소스코드
27정성태7/17/200319377COM 개체 관련: 7. HTML Control에서 DELETE, 화살표 키 등이 안 먹는 문제
26정성태7/17/200320553COM 개체 관련: 6. WebBrowser 콘트롤에서 프레임을 구하는 소스
25정성태7/17/200318142COM 개체 관련: 5. C++ Attributes - Make COM Programming a Breeze with New Feature in Visual Studio .NET [2]파일 다운로드1
24정성태7/17/200321753.NET Framework: 5. (MHT 변환해서 가져온 글) .NET 의 COM+ 서비스 사용파일 다운로드1
23정성태7/17/200325444.NET Framework: 4. webservice.htc - HTML Script에서도 웹서비스 엑세스 [2]파일 다운로드1
22정성태7/17/200320004.NET Framework: 3. .NET Framework SDK 퀵 스타트 자습서
21정성태7/17/200319057.NET Framework: 2. 김현승님의 "ASP.NET & .NET EnterpriseServices & Remoting 코드 템플릿"
20정성태2/15/200526129VS.NET IDE: 2. Platform SDK 설치
19정성태7/17/200322073.NET Framework: 1. JScript.NET 강좌 사이트[영문]
18정성태7/17/200319463COM 개체 관련: 4. Exchanging Data Over the Internet Using XML [1]파일 다운로드1
17정성태7/17/200327402VC++: 6. Win32 API Hook - 소스는 "공개소스"에있습니다. [2]
16정성태7/17/200319728COM 개체 관련: 3. IE 툴밴드의 위치문제파일 다운로드1
... [196]  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