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개발 환경 구성: 652. ml64.exe와 link.exe x64 실행 환경 구성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4958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ml64.exe와 link.exe x64 실행 환경 구성

지난 글에,

Windows 환경에서의 Hello World x64 어셈블리 예제 (MASM 버전)
; https://www.sysnet.pe.kr/2/0/13182

MASM + CRT 함수를 사용하는 경우 발생하는 컴파일 오류 정리
; https://www.sysnet.pe.kr/2/0/13183

masm을 이용한 hello world 예제를 컴파일 해봤는데요, "x64 Native Tools Command Prompt for VS 2022" 명령행 창을 이용해 편안하게 할 수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만약 그 환경이 아니라면 어떻게 될까요? ^^

일반적인 명령행 창에서 실행하려면, 우선 ml64.exe와 link.exe의 경로를 알아야 합니다. 이는 "x64 Native Tools Command Prompt for VS 2022" 창에서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c:\temp> where ml64.exe
C:\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tudio\2022\Enterprise\VC\Tools\MSVC\14.34.31933\bin\Hostx64\x64\ml64.exe

c:\temp> where link.exe
C:\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tudio\2022\Enterprise\VC\Tools\MSVC\14.34.31933\bin\Hostx64\x64\link.exe

둘 다 "C:\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tudio\2022\Enterprise\VC\Tools\MSVC\14.34.31933\bin\Hostx64\x64"에 위치하고 있으니 이런 경우 PATH 환경 변수에 그것을 등록해 주면 됩니다.

SET PATH=%PATH%;C:\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tudio\2022\Enterprise\VC\Tools\MSVC\14.34.31933\bin\Hostx64\x64

일반 명령행 창에서 위의 PATH를 등록하고 지난 글의 예제(hello_cpp.asm)를 빌드하면,

c:\temp> ml64 hello_cpp.asm /link /nodefaultlib /subsystem:console ucrt.lib libcmt.lib vcruntime.lib legacy_stdio_definitions.lib legacy_stdio_wide_specifiers.lib kernel32.lib /entry:mainCRTStartup
Microsoft (R) Macro Assembler (x64) Version 14.34.31933.0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Assembling: hello_cpp.asm
Microsoft (R) Incremental Linker Version 14.34.31933.0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OUT:hello_cpp.exe
hello_cpp.obj
/nodefaultlib
/subsystem:console
ucrt.lib
libcmt.lib
vcruntime.lib
legacy_stdio_definitions.lib
legacy_stdio_wide_specifiers.lib
kernel32.lib
/entry:mainCRTStartup
LINK : fatal error LNK1181: cannot open input file 'ucrt.lib'

지정한 lib 파일을 찾을 수 없다고 오류가 발생합니다. 당연합니다. ^^ 해당 파일들을 어디서 찾아야 할지 모를 것입니다. 직접 확인을 해보면, vcruntime.lib, libcmt.lib, legacy_stdio_definitions.lib, legacy_stdio_wide_specifiers.lib는 다음의 경로에 있는 것을 찾고,

// 이 경로는 ml64.exe 경로에 포함된 "14.34.31933" 버전을 따릅니다.

C:\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tudio\2022\Enterprise\VC\Tools\MSVC\14.34.31933\lib\x64

ucrt.lib는 다음의 경로에서 찾습니다.

// 이 경로는 설치한 Windows Kits의 버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10\Lib\10.0.22000.0\ucrt\x64

마지막으로 kernel32.lib 등의 Win32 DLL들은 다음의 경로에서 찾습니다.

// 이 경로는 설치한 Windows Kits의 버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10\Lib\10.0.22000.0\um\x64

ml64.exe 명령행에 저 경로를 일일이 함께 입력해도 되겠지만, 그럼 빌드 명령어가 너무 길어져 문제입니다. 다행히, link.exe는 라이브러리 참조를 위한 환경 변수 LIB를 사용하는데요, 따라서 위의 경로들을 다음과 같이 등록해 주면 됩니다.

SET LIB=C:\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tudio\2022\Enterprise\VC\Tools\MSVC\14.34.31933\lib\x64;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10\Lib\10.0.22000.0\ucrt\x64;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10\Lib\10.0.22000.0\um\x64

이제 다시 hello_cpp.asm을 빌드하면 정상적으로 완료됩니다.

참고로, 지금까지 알아본 ml64.exe 명령어에서는 "/link" 옵션을 통해 compile + linking을 함께 처리하고 있는데요, 이를 나눠서 다음과 같이 실행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c:\temp> SET PATH=%PATH%;C:\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tudio\2022\Enterprise\VC\Tools\MSVC\14.34.31933\bin\Hostx64\x64

c:\temp> SET LIB=C:\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tudio\2022\Enterprise\VC\Tools\MSVC\14.34.31933\lib\x64;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10\Lib\10.0.22000.0\ucrt\x64;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10\Lib\10.0.22000.0\um\x64

c:\temp> ml64 /c hello_cpp.asm
Microsoft (R) Macro Assembler (x64) Version 14.34.31933.0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Assembling: hello_cpp.asm

c:\temp> link.exe hello_cpp.obj /nodefaultlib /subsystem:console ucrt.lib libcmt.lib vcruntime.lib legacy_stdio_definitions.lib legacy_stdio_wide_specifiers.lib kernel32.lib /entry:mainCRTStartup
Microsoft (R) Incremental Linker Version 14.34.31933.0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c:\temp> hello_cpp.exe
Hello World!




Visual Studio의 경우 "Developer Command Prompt for VS 2022" 명령행 창이 제공됩니다. 아마도 대부분의 닷넷 개발자들은 "x64 Native Tools Command Prompt for VS 2022"보다는 그것을 더 자주 애용할 텐데요, 그 환경은 "x86"을 위한 빌드 환경으로 기본 세팅되어 있습니다.

실제로 그 명령행 창을 띄우고 link.exe의 경로를 보면,

**********************************************************************
** Visual Studio 2022 Developer Command Prompt v17.4.2
** Copyright (c) 2022 Microsoft Corporation
**********************************************************************

C:\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tudio\2022\Enterprise> where link.exe
C:\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tudio\2022\Enterprise\VC\Tools\MSVC\14.34.31933\bin\Hostx86\x86\link.exe

이렇게 x86 경로가 나옵니다. 또한, 이 환경에서 link.exe는 경로에 있지만, ml64.exe는 없습니다. 따라서, 이것을 위한 경로를 추가해 줍니다.

SET PATH=%PATH%;C:\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tudio\2022\Enterprise\VC\Tools\MSVC\14.34.31933\bin\Hostx64\x64

하지만, "Developer Command Prompt for VS 2022" 명령행 창은 전반적으로 x86을 위한 환경 설정이 돼 있어서 linking하는 라이브러리들의 경로 역시 x86으로 잡혀 있습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식의 오류가 발생합니다.

c:\temp> link.exe hello_cpp.obj /nodefaultlib /subsystem:console ucrt.lib libcmt.lib vcruntime.lib legacy_stdio_definitions.lib legacy_stdio_wide_specifiers.lib kernel32.lib /entry:mainCRTStartup
Microsoft (R) Incremental Linker Version 14.34.31933.0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LINK : error LNK2001: unresolved external symbol mainCRTStartup
hello_cpp.obj : error LNK2019: unresolved external symbol ExitProcess referenced in function main
hello_cpp.obj : error LNK2019: unresolved external symbol printf referenced in function main
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10\lib\10.0.22000.0\ucrt\x86\ucrt.lib : warning LNK4272: library machine type 'x86' conflicts with target machine type 'x64'
C:\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tudio\2022\Enterprise\VC\Tools\MSVC\14.34.31933\lib\x86\libcmt.lib : warning LNK4272: library machine type 'x86' conflicts with target machine type 'x64'
C:\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tudio\2022\Enterprise\VC\Tools\MSVC\14.34.31933\lib\x86\vcruntime.lib : warning LNK4272: library machine type 'x86' conflicts with target machine type 'x64'
C:\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tudio\2022\Enterprise\VC\Tools\MSVC\14.34.31933\lib\x86\legacy_stdio_definitions.lib : warning LNK4272: library machine type 'x86' conflicts with target machine type 'x64'
C:\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tudio\2022\Enterprise\VC\Tools\MSVC\14.34.31933\lib\x86\legacy_stdio_wide_specifiers.lib : warning LNK4272: library machine type 'x86' conflicts with target machine type 'x64'
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10\\lib\10.0.22000.0\\um\x86\kernel32.lib : warning LNK4272: library machine type 'x86' conflicts with target machine type 'x64'
hello_cpp.exe : fatal error LNK1120: 3 unresolved externals

당황하지 마시고 ^^ 그냥 x64 라이브러리가 있는 디렉터리에서 찾으라고 LIB 환경 변수를 재정의하면 됩니다.

SET LIB=C:\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tudio\2022\Enterprise\VC\Tools\MSVC\14.34.31933\lib\x64;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10\Lib\10.0.22000.0\ucrt\x64;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10\Lib\10.0.22000.0\um\x64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5/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038정성태4/26/20225984오류 유형: 806. twine 실행 시 ConfigParser.ParsingError: File contains parsing errors: /root/.pypirc
13037정성태4/25/20226384.NET Framework: 1998. Azure Functions를 사용한 간단한 실습
13036정성태4/24/20227159.NET Framework: 1997. C# - nano 시간을 가져오는 방법 [2]
13035정성태4/22/20227731Windows: 204. Windows 10부터 바뀐 QueryPerformanceFrequency, QueryPerformanceCounter
13034정성태4/21/20227052.NET Framework: 1996. C# XingAPI - 주식 종목에 따른 PBR, PER, ROE, ROA 구하는 방법(t3320, t8430 예제)파일 다운로드1
13033정성태4/18/20227644.NET Framework: 1195. C# - Thread.Yield와 Thread.Sleep(0)의 차이점(?)
13032정성태4/17/20227378오류 유형: 805. Github의 50MB 파일 크기 제한 - warning: GH001: Large files detected. You may want to try Git Large File Storage
13031정성태4/15/20226927.NET Framework: 1194. C# - IdealProcessor와 ProcessorAffinity의 차이점
13030정성태4/15/20226580오류 유형: 804. 정규 표현식 오류 - Quantifier {x,y} following nothing.
13029정성태4/14/20227003Windows: 203. iisreset 후에도 이전에 설정한 전역 환경 변수가 w3wp.exe에 적용되는 문제
13028정성태4/13/20226946.NET Framework: 1193. (appsettings.json처럼) web.config의 Debug/Release에 따른 설정 적용
13027정성태4/12/20227224.NET Framework: 1192. C# - 환경 변수의 변화를 알리는 WM_SETTINGCHANGE Win32 메시지 사용법파일 다운로드1
13026정성태4/11/20228747.NET Framework: 1191. C 언어로 작성된 FFmpeg Examples의 C# 포팅 전체 소스 코드 [3]
13025정성태4/11/20228084.NET Framework: 119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vaapi_encode.c, vaapi_transcode.c 예제 포팅
13024정성태4/7/20226586.NET Framework: 1189. C# - 런타임 환경에 따라 달라진 AppDomain.GetCurrentThreadId 메서드
13023정성태4/6/20226879.NET Framework: 1188.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transcoding.c 예제 포팅 [3]
13022정성태3/31/20226775Windows: 202. 윈도우 11 업그레이드 - "PC Health Check"를 통과했지만 여전히 업그레이드가 안 되는 경우 해결책
13021정성태3/31/20226982Windows: 201. Windows - INF 파일을 이용한 장치 제거 방법
13020정성태3/30/20226715.NET Framework: 1187. RDP 접속 시 WPF UserControl의 Unloaded 이벤트 발생파일 다운로드1
13019정성태3/30/20226688.NET Framework: 1186. Win32 Message를 Code로부터 메시지 이름 자체를 구하고 싶다면?파일 다운로드1
13018정성태3/29/20227224.NET Framework: 1185. C# - Unsafe.AsPointer가 반환한 포인터는 pinning 상태일까요? [5]
13017정성태3/28/20226998.NET Framework: 1184. C# - GC Heap에 위치한 참조 개체의 주소를 알아내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3]
13016정성태3/27/20227917.NET Framework: 1183. C# 11에 추가된 ref 필드의 (우회) 구현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015정성태3/26/20229214.NET Framework: 1182. C# 11 - ref struct에 ref 필드를 허용 [1]
13014정성태3/23/20227802VC++: 155. CComPtr/CComQIPtr과 Conformance mode 옵션의 충돌 [1]
13013정성태3/22/20226085개발 환경 구성: 641. WSL 우분투 인스턴스에 파이썬 2.7 개발 환경 구성하는 방법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