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9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90. XmlSerializer 생성자의 실행 속도를 올리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511

.NET Framework: 92. XmlSerializer 생성자의 실행 속도를 올리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521

.NET Framework: 100. XML Serializer를 이용한 값 복사
; https://www.sysnet.pe.kr/2/0/577

.NET Framework: 122. XML Serializer를 이용한 값 복사: 성능은 어떨까!
; https://www.sysnet.pe.kr/2/0/653

.NET Framework: 648. Dictionary<TKey, TValue>를 deep copy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157

.NET Framework: 660. Shallow Copy와 Deep Copy
; https://www.sysnet.pe.kr/2/0/11220

.NET Framework: 1141. XmlSerializer와 Dictionary 타입
; https://www.sysnet.pe.kr/2/0/12942

.NET Framework: 2078. .NET Core/5+를 위한 SGen(Microsoft.XmlSerializer.Generator) 사용법
; https://www.sysnet.pe.kr/2/0/13196

.NET Framework: 2080. C# - Microsoft.XmlSerializer.Generator 처리 없이 XmlSerializer 생성자를 예외 없이 사용하고 싶다면?
; https://www.sysnet.pe.kr/2/0/13198




.NET Core/5+를 위한 SGen(Microsoft.XmlSerializer.Generator) 사용법

예전에 설명한,

XmlSerializer 생성자의 실행 속도를 올리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511

XmlSerializer 생성자의 실행 속도를 올리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521

sgen.exe의 사용법은 아쉽게도 .NET Core/5+ 대상의 어셈블리에는 통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마이크로소프트는 이와 동등한 역할을 하는 Microsoft.XmlSerializer.Generator 패키지를 공개했는데요, 관련 문서에서도 이에 대해 자세하게 다루고 있습니다.

Using Microsoft XML Serializer Generator on .NET Core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core/additional-tools/xml-serializer-generator

간단하게 실습해 볼까요? ^^

.NET Core/5+ 라이브러리 프로젝트를 하나 생성하고 예제를 위한 클래스 하나를 정의해 둡니다.

public class Dummy
{
    public int Value { get; set; }
}

그다음, 해당 프로젝트에 nuget으로부터 Microsoft.XmlSerializer.Generator 패키지를 참조 추가합니다.

Install-Package Microsoft.XmlSerializer.Generator

끝입니다. ^^ 저걸 참조한 것만으로도 이제 빌드할 때마다 [어셈블리명].XmlSerializers.cs 파일이 자동 생성되고, 그것을 빌드한 [어셈블리명].XmlSerializers.dll 파일이 출력 폴더에 함께 생성됩니다.

Rebuild started...
1>------ Rebuild All started: Project: ClassLibrary1, Configuration: Debug Any CPU ------
Restored C:\temp\ConsoleApp1\ConsoleApp1\ConsoleApp1.csproj (in 1 ms).
Restored C:\temp\ConsoleApp1\ClassLibrary3\ClassLibrary3.csproj (in 1 ms).
Restored C:\temp\ConsoleApp1\ClassLibrary1\ClassLibrary1.csproj (in 2 ms).
Restored C:\temp\ConsoleApp1\ConsoleApp1\ConsoleApp1.csproj (in 1 ms).
1>ClassLibrary1 -> C:\temp\ConsoleApp1\ClassLibrary1\bin\Debug\net5.0\ClassLibrary1.dll
1>.NET Xml Serialization Generation Utility, Version 7.0.0]
1>Serialization Code File Name: C:\temp\ConsoleApp1\ClassLibrary1\obj\Debug\net5.0\ClassLibrary1.XmlSerializers.cs.
1>Generated serialization code for assembly C:\temp\ConsoleApp1\ClassLibrary1\obj\Debug\net5.0\ClassLibrary1.dll --> 'C:\temp\ConsoleApp1\ClassLibrary1\obj\Debug\net5.0\ClassLibrary1.XmlSerializers.cs'.
========== Rebuild All: 1 succeeded, 0 failed, 0 skipped ==========
========== Elapsed 00:01.089 ==========

오히려, 예전 sgen 관리 때보다 더 편해졌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




참고로, .NET Framework 버전의 sgen을 이용해 .NET Core/5+ 어셈블리를 인자로 실행하면 이런 오류가 발생할 것입니다.

c:\temp> where sgen
C:\Program Files (x86)\Microsoft SDKs\Windows\v10.0A\bin\NETFX 4.8 Tools\x64\sgen.exe

c:\temp> sgen Test.dll
Microsoft (R) Xml Serialization support utility
[Microsoft (R) .NET Framework, Version 4.8.3928.0]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Error: Could not load file or assembly 'System.Runtime, Version=5.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b03f5f7f11d50a3a' or one of its dependencies. The system cannot find the file specified.

If you would like more help, please type "sgen /?".

또는, 해당 어셈블리로부터 아무런 타입도 찾을 수 없다는 메시지가 뜨기도 합니다.

c:\temp> sgen classlibrary3.dll
Microsoft (R) Xml Serialization support utility
[Microsoft (R) .NET Framework, Version 4.8.3928.0]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Assembly 'C:\temp\ConsoleApp1\ClassLibrary3\bin\Debug\net7.0\classlibrary3.dll' does not contain any types that can be serialized using XmlSerializer. Please use /verbose switch for more information.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16/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349정성태10/31/201725982디버깅 기술: 107. windbg - x64 SOS 확장의 !clrstack 명령어가 출력하는 Child SP 값의 의미 [1]파일 다운로드1
11348정성태10/31/201721522디버깅 기술: 106. windbg - x64 역어셈블 코드에서 닷넷 메서드 호출의 인자를 확인하는 방법
11347정성태10/28/201725844오류 유형: 424. Visual Studio - "클래스 다이어그램 보기" 시 "작업을 완료할 수 없습니다. 해당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오류 발생
11346정성태10/25/201722254오류 유형: 423. Windows Server 2003 - The client-side extension could not remove user policy settings for 'Default Domain Policy {...}' (0x8007000d)
11338정성태10/25/201718795.NET Framework: 697. windbg - SOS DumpMT의 "BaseSize", "ComponentSize" 값에 대한 의미파일 다운로드1
11337정성태10/24/201722220.NET Framework: 696. windbg - SOS DumpClass/DumpMT의 "Vtable Slots", "Total Method Slots", "Slots in VTable" 값에 대한 의미파일 다운로드1
11336정성태10/20/201724080.NET Framework: 695. windbg - .NET string의 x86/x64 메모리 할당 구조
11335정성태10/18/201722688.NET Framework: 694. 닷넷 - <Module> 클래스의 용도
11334정성태10/18/201722929디버깅 기술: 105. windbg - k 명령어와 !clrstack을 조합한 호출 스택을 얻는 방법
11333정성태10/17/201722326오류 유형: 422. 윈도우 업데이트 - Code 9C48 Windows update encountered an unknown error.
11332정성태10/17/201722796디버깅 기술: 104. .NET Profiler + 디버거 연결 + .NET Exceptions = cpu high
11331정성태10/16/201720839디버깅 기술: 103. windbg - .NET 4.0 이상의 환경에서 모든 DLL에 대한 심벌 파일을 로드하는 파이썬 스크립트
11330정성태10/16/201719461디버깅 기술: 102. windbg - .NET 4.0 이상의 환경에서 DLL의 심벌 파일 로드 방법 [1]
11329정성태10/15/201725287.NET Framework: 693. C# - 오피스 엑셀 97-2003 .xls 파일에 대해 32비트/64비트 상관없이 접근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328정성태10/15/201728492.NET Framework: 692. C# - 하나의 바이너리로 환경에 맞게 32비트/64비트 EXE를 실행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327정성태10/15/201722190.NET Framework: 691. AssemblyName을 .csproj에서 바꾼 경우 빌드 오류 발생하는 문제파일 다운로드1
11326정성태10/15/201721408.NET Framework: 690. coreclr 소스코드로 알아보는 .NET 4.0의 모듈 로딩 함수 [1]
11325정성태10/14/201722229.NET Framework: 689. CLR 4.0 환경에서 DLL 모듈의 로드 주소(Base address) 알아내는 방법
11324정성태10/13/201723716디버깅 기술: 101. windbg - "*** WARNING: Unable to verify checksum for" 경고 없애는 방법
11322정성태10/13/201722899디버깅 기술: 100. windbg - .NET 4.0 응용 프로그램의 Main 메서드에 Breakpoint 걸기
11321정성태10/11/201723925.NET Framework: 688. NGen 모듈과 .NET Profiler
11320정성태10/11/201725242.NET Framework: 687. COR_PRF_USE_PROFILE_IMAGES 옵션과 NGen의 "profiler-enhanced images" [1]
11319정성태10/11/201732620.NET Framework: 686. C# - string 배열을 담은 구조체를 직렬화하는 방법
11318정성태10/7/201724010VS.NET IDE: 122.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관리자 권한을 요구하는 C# 콘솔 프로그램 제작 [1]
11317정성태10/4/201729607VC++: 120. std::copy 등의 함수 사용 시 _SCL_SECURE_NO_WARNINGS 에러 발생
11316정성태9/30/201726764디버깅 기술: 99. (닷넷) 프로세스(EXE)에 디버거가 연결되어 있는지 아는 방법 [4]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