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개발 환경 구성: 159. Azure - 네트워크 포트 여는 방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7479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3개 있습니다.)

Azure - 네트워크 포트 여는 방법


Azure에 올라가는 서비스 유형에 따라서 포트를 여는 방법이 다릅니다.

우선, Virtual Machine 서비스의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모든 포트가 막혀 있습니다. 80 포트조차도 막혀 있으므로 사용하려는 네트워크 서비스가 있다면 일일이 '방화벽' 정책에서 열어줘야 합니다.

다음은 명령행에서 80번 포트를 열어주는 예제입니다.

netsh advfirewall firewall add rule name="My Web Service" action=allow protocol=TCP dir=in localport=80

VM 서비스는 사실, 일반적인 윈도우즈의 방화벽 정책과 별반 다르지 않기 때문에 그다지 새로울 것이 없습니다.

문제는 Web Role 형식으로 올라가는 Cloud Service에서 포트를 열고 싶을 때입니다. 사실, "Web Role" 형식의 경우, 서비스하는 호스트들이 자유롭게 "Scale out" 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해당 VM에 RDP로 접속해서 그때마다 포트를 열어준다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입니다.

물론, 이런 문제를 고려해서 방법이 제공됩니다.

Azure 프로젝트의 ServiceDefinition.csdef 파일에 서비스가 사용할 포트를 미리 알려줄 수가 있는데요.

<?xml version="1.0" encoding="utf-8"?>
<ServiceDefinition  ...[생략]...>
  <WebRole name="WebApplication1" vmsize="Small">
    <Sites>
      <Site name="Web">
        <Bindings>
          <Binding name="Endpoint1" endpointName="Endpoint1" />
        </Bindings>
      </Site>
    </Sites>
    <Endpoints>
      <InputEndpoint name="Endpoint1" protocol="http" port="80" />
      <InputEndpoint name="MyCustomPort" protocol="tcp" port="9500"/>
    </Endpoints>
    <Imports>
        ...[생략]...
    </Imports>
  </WebRole>
</ServiceDefinition>

위와 같이 Endpoints에 InputEndpoint로 추가되어야 할 포트와 프로토콜 정보를 입력해 주면 됩니다. 재미있는 것은, 위와 같이만 해주었다고 해서 방화벽에 있는 포트까지 열리는 것은 아니라는 점입니다.

이 때문에, Azure Cloud 서비스가 설치될 때 함께 실행해 줄 명령행 프로그램을 만들어 주어야 합니다. 이 역시, ServiceDefinition.csdef 파일에 지정을 해주는데요.

<WebRole name="WebApplication1" vmsize="Small">
    ...[생략]...
    <Startup>
        <Task commandLine="startup_azure.cmd" executionContext="elevated" taskType="simple" />
    </Startup>
</WebRole>

Task 노드에 임의의 이름으로 추가되는 startup_azure.cmd라는 파일은 "Web Role"로 올라가는 ASP.NET 웹 프로젝트에 함께 포함되어 있어야 하고, 반드시 웹 프로젝트의 빌드 파일들이 놓이는 /bin 폴더에 같이 있어야 합니다. (보통, 이 파일은 "Copy to Output Directory" 값을 "Copy if newer" 또는 "Copy always" 설정으로 놓습니다.)

설정에 관련된 좀 더 자세한 사항은 다음의 글을 참조합니다.

How to configure and run startup tasks for an Azure Cloud Service (classic)
; https://docs.microsoft.com/en-us/azure/cloud-services/cloud-services-startup-tasks

Introduction to Windows Azure Startup Tasks
; http://blog.smarx.com/posts/introduction-to-windows-azure-startup-tasks

결국, VM 서비스와 마찬가지로 startup_azure.cmd 파일에서 방화벽 포트를 동일하게 열어줄 수 있습니다.

netsh advfirewall firewall add rule name="NewPort1" action=allow protocol=TCP dir=in localport=9500




참고로, Azure Web Role 서비스가 설치되는 VM 설정 중에 (개인적으로) 이상한 부분이 하나 있는데요. 바로 "World Wide Web Publishing Service" 서비스의 시작 유형이 "Automatic"이 아닌 "Manual"로 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장애 조치 등의 이유로 VM에 RDP로 접속한 다음 "iisreset" 명령어를 내리면 서비스가 안 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즉, "iisreset"만 해주면 안되고 "서비스 관리자"에 가서 "W3SVC" 서비스를 명시적으로 시작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데요.

기왕에 startup_szure.cmd 파일을 설정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 W3SVC 서비스를 "Automatic" 시작 유형으로 변경해 두는 것도 좋겠습니다. (경험상!)

sc.exe config W3SVC start= auto

어차피, 위의 명령어 하나만 더 추가해 주면 되기 때문에.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0/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2-07-27 03시03분
[박중석] 'ServiceDefinition.csdef'에서 설정한 Port를 추가로 열어줘야 하는 것과 'World Wide Web Publishing Service'가 Automatic이 아닌 것은 몰랐네요. 저도 한번 확인해 보고 다시 댓글 남기겠습니다. 감사합니다.
[gues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893정성태2/27/20252225Linux: 115. eBPF (bpf2go) - ARRAY / HASH map 기본 사용법
13892정성태2/24/20252981닷넷: 2325. C# - PowerShell과 연동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891정성태2/23/20252500닷넷: 2324. C# - 프로세스의 성능 카운터용 인스턴스 이름을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890정성태2/21/20252320닷넷: 2323. C# - 프로세스 메모리 중 Private Working Set 크기를 구하는 방법(Win32 API)파일 다운로드1
13889정성태2/20/20253050닷넷: 2322. C# - 프로세스 메모리 중 Private Working Set 크기를 구하는 방법(성능 카운터, WMI) [1]파일 다운로드1
13888정성태2/17/20252498닷넷: 2321. Blazor에서 발생할 수 있는 async void 메서드의 부작용
13887정성태2/17/20253070닷넷: 2320. Blazor의 razor 페이지에서 code-behind 파일로 코드를 분리 및 DI 사용법
13886정성태2/15/20252572VS.NET IDE: 196. Visual Studio - Code-behind처럼 cs 파일을 그룹핑하는 방법
13885정성태2/14/20253235닷넷: 2319. ASP.NET Core Web API / Razor 페이지에서 발생할 수 있는 async void 메서드의 부작용
13884정성태2/13/20253521닷넷: 2318. C# - (async Task가 아닌) async void 사용 시의 부작용파일 다운로드1
13883정성태2/12/20253261닷넷: 2317. C# - Memory Mapped I/O를 이용한 PCI Configuration Space 정보 열람파일 다운로드1
13882정성태2/10/20252577스크립트: 70. 파이썬 - oracledb 패키지 연동 시 Thin / Thick 모드
13881정성태2/7/20252832닷넷: 2316. C# - Port I/O를 이용한 PCI Configuration Space 정보 열람파일 다운로드1
13880정성태2/5/20253167오류 유형: 947. sshd - Failed to start OpenSSH server daemon.
13879정성태2/5/20253406오류 유형: 946. Ubuntu - N: Updating from such a repository can't be done securely, and is therefore disabled by default.
13878정성태2/3/20253197오류 유형: 945. Windows - 최대 절전 모드 시 DRIVER_POWER_STATE_FAILURE 발생 (pacer.sys)
13877정성태1/25/20253249닷넷: 2315. C# - PCI 장치 열거 (레지스트리, SetupAPI)파일 다운로드1
13876정성태1/25/20253706닷넷: 2314. C# - ProcessStartInfo 타입의 Arguments와 ArgumentList파일 다운로드1
13875정성태1/24/20253133스크립트: 69. 파이썬 - multiprocessing 패키지의 spawn 모드로 동작하는 uvicorn의 workers
13874정성태1/24/20253555스크립트: 68. 파이썬 - multiprocessing Pool의 기본 프로세스 시작 모드(spawn, fork)
13873정성태1/23/20252983디버깅 기술: 217. WinDbg - PCI 장치 열거파일 다운로드1
13872정성태1/23/20252883오류 유형: 944. WinDbg - 원격 커널 디버깅이 연결은 되지만 Break (Ctrl + Break) 키를 눌러도 멈추지 않는 현상
13871정성태1/22/20253292Windows: 278. Windows - 윈도우를 다른 모니터 화면으로 이동시키는 단축키 (Window + Shift + 화살표)
13870정성태1/18/20253731개발 환경 구성: 741. WinDbg - 네트워크 커널 디버깅이 가능한 NIC 카드 지원 확대
13869정성태1/18/20253456개발 환경 구성: 740. WinDbg - _NT_SYMBOL_PATH 환경 변수에 설정한 경로로 심벌 파일을 다운로드하지 않는 경우
13868정성태1/17/20253109Windows: 277. Hyper-V - Windows 11 VM의 Enhanced Session 모드로 로그인을 할 수 없는 문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