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개발 환경 구성: 159. Azure - 네트워크 포트 여는 방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7611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3개 있습니다.)

Azure - 네트워크 포트 여는 방법


Azure에 올라가는 서비스 유형에 따라서 포트를 여는 방법이 다릅니다.

우선, Virtual Machine 서비스의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모든 포트가 막혀 있습니다. 80 포트조차도 막혀 있으므로 사용하려는 네트워크 서비스가 있다면 일일이 '방화벽' 정책에서 열어줘야 합니다.

다음은 명령행에서 80번 포트를 열어주는 예제입니다.

netsh advfirewall firewall add rule name="My Web Service" action=allow protocol=TCP dir=in localport=80

VM 서비스는 사실, 일반적인 윈도우즈의 방화벽 정책과 별반 다르지 않기 때문에 그다지 새로울 것이 없습니다.

문제는 Web Role 형식으로 올라가는 Cloud Service에서 포트를 열고 싶을 때입니다. 사실, "Web Role" 형식의 경우, 서비스하는 호스트들이 자유롭게 "Scale out" 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해당 VM에 RDP로 접속해서 그때마다 포트를 열어준다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입니다.

물론, 이런 문제를 고려해서 방법이 제공됩니다.

Azure 프로젝트의 ServiceDefinition.csdef 파일에 서비스가 사용할 포트를 미리 알려줄 수가 있는데요.

<?xml version="1.0" encoding="utf-8"?>
<ServiceDefinition  ...[생략]...>
  <WebRole name="WebApplication1" vmsize="Small">
    <Sites>
      <Site name="Web">
        <Bindings>
          <Binding name="Endpoint1" endpointName="Endpoint1" />
        </Bindings>
      </Site>
    </Sites>
    <Endpoints>
      <InputEndpoint name="Endpoint1" protocol="http" port="80" />
      <InputEndpoint name="MyCustomPort" protocol="tcp" port="9500"/>
    </Endpoints>
    <Imports>
        ...[생략]...
    </Imports>
  </WebRole>
</ServiceDefinition>

위와 같이 Endpoints에 InputEndpoint로 추가되어야 할 포트와 프로토콜 정보를 입력해 주면 됩니다. 재미있는 것은, 위와 같이만 해주었다고 해서 방화벽에 있는 포트까지 열리는 것은 아니라는 점입니다.

이 때문에, Azure Cloud 서비스가 설치될 때 함께 실행해 줄 명령행 프로그램을 만들어 주어야 합니다. 이 역시, ServiceDefinition.csdef 파일에 지정을 해주는데요.

<WebRole name="WebApplication1" vmsize="Small">
    ...[생략]...
    <Startup>
        <Task commandLine="startup_azure.cmd" executionContext="elevated" taskType="simple" />
    </Startup>
</WebRole>

Task 노드에 임의의 이름으로 추가되는 startup_azure.cmd라는 파일은 "Web Role"로 올라가는 ASP.NET 웹 프로젝트에 함께 포함되어 있어야 하고, 반드시 웹 프로젝트의 빌드 파일들이 놓이는 /bin 폴더에 같이 있어야 합니다. (보통, 이 파일은 "Copy to Output Directory" 값을 "Copy if newer" 또는 "Copy always" 설정으로 놓습니다.)

설정에 관련된 좀 더 자세한 사항은 다음의 글을 참조합니다.

How to configure and run startup tasks for an Azure Cloud Service (classic)
; https://docs.microsoft.com/en-us/azure/cloud-services/cloud-services-startup-tasks

Introduction to Windows Azure Startup Tasks
; http://blog.smarx.com/posts/introduction-to-windows-azure-startup-tasks

결국, VM 서비스와 마찬가지로 startup_azure.cmd 파일에서 방화벽 포트를 동일하게 열어줄 수 있습니다.

netsh advfirewall firewall add rule name="NewPort1" action=allow protocol=TCP dir=in localport=9500




참고로, Azure Web Role 서비스가 설치되는 VM 설정 중에 (개인적으로) 이상한 부분이 하나 있는데요. 바로 "World Wide Web Publishing Service" 서비스의 시작 유형이 "Automatic"이 아닌 "Manual"로 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장애 조치 등의 이유로 VM에 RDP로 접속한 다음 "iisreset" 명령어를 내리면 서비스가 안 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즉, "iisreset"만 해주면 안되고 "서비스 관리자"에 가서 "W3SVC" 서비스를 명시적으로 시작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데요.

기왕에 startup_szure.cmd 파일을 설정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 W3SVC 서비스를 "Automatic" 시작 유형으로 변경해 두는 것도 좋겠습니다. (경험상!)

sc.exe config W3SVC start= auto

어차피, 위의 명령어 하나만 더 추가해 주면 되기 때문에.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0/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2-07-27 03시03분
[박중석] 'ServiceDefinition.csdef'에서 설정한 Port를 추가로 열어줘야 하는 것과 'World Wide Web Publishing Service'가 Automatic이 아닌 것은 몰랐네요. 저도 한번 확인해 보고 다시 댓글 남기겠습니다. 감사합니다.
[guest]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124정성태1/4/201727821개발 환경 구성: 309. 3년짜리 유효 기간을 제공하는 StartSSL [2]
11123정성태1/3/201723328.NET Framework: 629. .NET Core의 dotnet.exe CLI 명령어 확장 방법 [1]
11122정성태1/3/201722795.NET Framework: 628. TransactionScope에 사용자 정의 트랜잭션을 참여시키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1121정성태1/1/201720690개발 환경 구성: 308. "ASP.NET Core Web Application (.NET Core)"와 "ASP.NET Core Web Application (.NET Framework)" 차이점
11120정성태12/25/201626551개발 환경 구성: 307. ASP.NET Core Web Application을 IIS에서 호스팅하는 방법
11119정성태12/23/201649198개발 환경 구성: 306. Visual Studio Code에서 Python 개발 환경 구성 [2]
11118정성태12/22/201635972오류 유형: 374. Python 64비트 설치 시 0x80070659 오류 발생 [3]
11117정성태12/21/201622306웹: 35. nopCommerce 예제 사이트 구성 방법
11116정성태12/21/201624237디버깅 기술: 84. NopCommerce의 Autofac 부하(CPU, Memory) [2]
11115정성태12/21/201627226Windows: 133. 윈도우 서버 2016에서 플래시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2]
11114정성태12/19/201637214Windows: 132. 역슬래시(backslash) 문자가 왜 통화 표기 문자(한글인 경우 "\")로 보일까요? [2]
11113정성태12/6/201621116오류 유형: 373. ICOMAdminCatalog::GetCollection에서 CO_E_ISOLEVELMISMATCH(0x8004E02F) 오류 발생파일 다운로드1
11112정성태11/23/201626301오류 유형: 372. MySQL 서비스가 올라오지 않는 경우 - Error 1067
11111정성태11/23/201634761.NET Framework: 627. C++로 만든 DLL을 C#에서 사용하기 [2]
11110정성태11/17/201621450.NET Framework: 626. Commit 메모리가 낮은 상황에서도 메모리 부족(Out-of-memory) 예외 발생 [2]
11109정성태11/17/201621422.NET Framework: 625. ASP.NET에서 System.Web.HttpApplication 인스턴스는 다중으로 생성됩니다.
11108정성태11/13/201621239.NET Framework: 624. WPF - Line 요소를 Canvas에 위치시켰을 때 흐림(blur) 현상파일 다운로드1
11107정성태11/9/201625132오류 유형: 371. Post cache substitution is not compatible with modules in the IIS integrated pipeline that modify the response buffers.파일 다운로드1
11106정성태11/8/201625306.NET Framework: 623. C# - PeerFinder를 이용한 Wi-Fi Direct 데이터 통신 예제 [2]파일 다운로드1
11105정성태11/8/201619702.NET Framework: 622. PeerFinder Wi-Fi Direct 통신 시 Read/Write/Dispose 문제
11104정성태11/8/201619180개발 환경 구성: 305. PeerFinder로 Wi-Fi Direct 연결 시 방화벽 문제
11103정성태11/8/201619127오류 유형: 370. PeerFinder.ConnectAsync의 결과 값인 Task.Result를 호출할 때 System.AggregateException 예외 발생
11102정성태11/8/201619230오류 유형: 369. PeerFinder.FindAllPeersAsync 호출 시 System.UnauthorizedAccessException 예외 발생
11101정성태11/8/201622008.NET Framework: 621. 닷넷 프로파일러의 오류 코드 - 0x80131363
11100정성태11/7/201628798개발 환경 구성: 304. Wi-Fi Direct 지원 여부 확인 방법 [1]
11099정성태11/7/201630733.NET Framework: 620. C#에서 C/C++ 함수로 콜백 함수를 전달하는 예제 코드파일 다운로드1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