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4개 있습니다.)
Windows: 158. 컴퓨터와 사용자의 SID(security identifier) 확인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819

.NET Framework: 2084. C# - GetTokenInformation으로 사용자 SID(Security identifiers) 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06

.NET Framework: 2085. C# - gpedit.msc의 "User Rights Assignment" 특권을 코드로 설정/해제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07

.NET Framework: 2130. C# - Win32 API를 이용한 윈도우 계정 정보 (예: 마지막 로그온 시간)
; https://www.sysnet.pe.kr/2/0/13382




C# - gpedit.msc의 "User Rights Assignment" 특권을 코드로 설정/해제하는 방법

특권에 대한 제어는 gpedit.msc를 이용해 "Local Computer Policy" / "Computer Configuration" / "Windows Settings" / "Security Settigns" / "Local Policies" / "User Rights Assignment" 패널에서 할 수 있습니다. 가령, 아래의 화면은 "Lock pages in memory" 특권에 원하는 계정 또는 그룹을 설정하는 방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enable_large_page_1.png

경우에 따라서는 이런 특권 설정을 GUI를 통해 하는 것이 번거로울 수 있는데요, 당연히 코드를 통해 제어하는 방법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

Assigning Privileges to an Account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win32/secbp/assigning-privileges-to-an-account

위의 설명에 간략하게 나오지만 LsaAddAccountRights API를 통해 가능합니다. (제거는 LsaRemoveAccountRights)

LsaAddAccountRights function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win32/api/ntsecapi/nf-ntsecapi-lsaaddaccountrights

구체적인 사용법은 아래의 Q&A에서 찾을 수 있는데요,

Enable large pages in Windows programmatically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42354504/enable-large-pages-in-windows-programmatically

위의 글에서는 C++로 제공하고 있으니 ^^ 이 글에서는 C#으로 포팅해 다음과 같이 작성할 수 있습니다.

using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using System.Runtime.Versioning;
using System.Security.Principal;
using System.Text;

[assembly: SupportedOSPlatform("windows")]

internal class Program
{
    [DllImport("advapi32.dll", SetLastError = true, PreserveSig = true)]
    static unsafe extern uint LsaOpenPolicy(LSA_UNICODE_STRING systemName, LSA_OBJECT_ATTRIBUTES* objectAttributes, POLICY_ACCESS desiredAccess, out IntPtr PolicyHandle);

    [DllImport("advapi32.dll", SetLastError = true, PreserveSig = true)]
    static unsafe extern uint LsaAddAccountRights(IntPtr PolicyHandle, IntPtr AccountSid, LSA_UNICODE_STRING* UserRights, uint CountOfRights);

    [DllImport("advapi32.dll", SetLastError = true, PreserveSig = true)]
    static unsafe extern uint LsaRemoveAccountRights(IntPtr PolicyHandle, IntPtr AccountSid, bool allRights, LSA_UNICODE_STRING* UserRights, uint CountOfRights);

    [DllImport("advapi32.dll")]
    private static extern long LsaClose(IntPtr ObjectHandle);

    public const string SE_LOCK_MEMORY_NAME = "SeLockMemoryPrivilege";
    public const int STATUS_SUCCESS = 0;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Ptr hToken = WindowsIdentity.GetCurrent().Token;
        using (Win32UserToken tokenUser = new Win32UserToken(hToken))
        {
            Console.WriteLine($"SID Found: {tokenUser.Sid}");

            // 특권에 사용자 추가
            if (ChangePrivileges(tokenUser, SE_LOCK_MEMORY_NAME, true) == true)
            {
                Console.WriteLine($"{SE_LOCK_MEMORY_NAME}: added");
            }

            // 특권에 사용자 제거
            // if (ChangePrivileges(tokenUser, SE_LOCK_MEMORY_NAME, false) == true)
            // {
            //    Console.WriteLine($"{SE_LOCK_MEMORY_NAME}: removed");
            // }
        }
    }

    private static unsafe bool ChangePrivileges(TOKEN_USER tokenUser, string privilegeName, bool addRights)
    {
        LSA_OBJECT_ATTRIBUTES attr = new LSA_OBJECT_ATTRIBUTES();
        IntPtr policyHandle;
        LSA_UNICODE_STRING serverName = new LSA_UNICODE_STRING();

        uint result = LsaOpenPolicy(serverName, &attr, POLICY_ACCESS.POLICY_CREATE_ACCOUNT | POLICY_ACCESS.POLICY_LOOKUP_NAMES, out policyHandle);
        if (result != 0)
        {
#if DEBUG
            Console.WriteLine($"LsaOpenPolicy failed: {Marshal.GetLastWin32Error()}");
#endif
            return false;
        }

        LSA_UNICODE_STRING userRightsLSAString = new LSA_UNICODE_STRING(privilegeName);

        try
        {
            if (addRights)
            {
                result = LsaAddAccountRights(policyHandle, tokenUser.User.Sid, &userRightsLSAString, 1);

#if DEBUG
                if (result != STATUS_SUCCESS)
                {
                    Console.WriteLine($"ChangePrivileges failed: {result:x}, {Marshal.GetLastWin32Error()}");
                }
#endif
            }
            else
            {
                result = LsaRemoveAccountRights(policyHandle, tokenUser.User.Sid, false, &userRightsLSAString, 1);
            }
        }
        finally
        {
            userRightsLSAString.Dispose();
            LsaClose(policyHandle);
        }

#if DEBUG
        if (result != STATUS_SUCCESS)
        {
            Console.WriteLine($"ChangePrivileges failed: {result:x}, {Marshal.GetLastWin32Error()}");
        }
#endif

        return result == STATUS_SUCCESS;
    }
}

[StructLayout(LayoutKind.Sequential)]
internal struct LSA_UNICODE_STRING
{
    public UInt16 Length;
    public UInt16 MaximumLength;
    public IntPtr Buffer;

    public LSA_UNICODE_STRING(string text)
    {
        Buffer = Marshal.StringToHGlobalUni(text);
        Length = (UInt16)(text.Length * UnicodeEncoding.CharSize);
        MaximumLength = (UInt16)(Length + UnicodeEncoding.CharSize);
    }

    public override string ToString()
    {
        return Marshal.PtrToStringUni(Buffer, Length / UnicodeEncoding.CharSize);
    }

    public void Dispose()
    {
        if (Buffer != IntPtr.Zero)
        {
            Marshal.FreeHGlobal(Buffer);
        }

        Buffer = IntPtr.Zero;
        Length = 0;
        MaximumLength = 0;
    }
}

[StructLayout(LayoutKind.Sequential)]
internal unsafe struct LSA_OBJECT_ATTRIBUTES
{
    public uint Length;
    public IntPtr RootDirectory;
    public LSA_UNICODE_STRING* ObjectName;
    public uint Attributes;
    public IntPtr SecurityDescriptor;
    public IntPtr SecurityQualityOfService;
}

[Flags]
internal enum POLICY_ACCESS
{
    POLICY_CREATE_ACCOUNT = 0x00000010,
    POLICY_LOOKUP_NAMES = 0x00000800,
}

위의 코드는 특권을 변경하는 중요한 보안 이슈인만큼 반드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야 합니다. 또한, "Assigning Privileges to an Account" 문서에서도 언급하고 있지만,

Assigning a privilege to an account does not affect existing user tokens. A user must log off and then log back on to get an access token with the newly assigned privilege.


반드시 로그온/로그오프를 해야만 적용됩니다. (가령 위의 코드에서 예를 든 "Lock pages in memory" 특권의 경우, 기본적으로는 시스템에 어떠한 사용자 계정도 등록돼 있지 않습니다.)

게다가 변경 사항은 현재 실행 중인 gpedit.msc 화면에는 반영되지 않으므로 위의 코드 실행 후 사용자가 특권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려면 실행 중인 gpedit.msc를 종료하고 다시 실행해야만 합니다. 테스트하기가 여간 귀찮은 작업이 아닐 수 없습니다. ^^;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만약 LsaAddAccountRights가 c000000d(STATUS_INVALID_PARAMETER)를 반환한다면? 제 경우에 GetTokenInformation으로 반환받은 2번째 인자의 Sid가,

LsaAddAccountRights(policyHandle, tokenUser.User.Sid, &userRightsLSAString, 1);

메모리 해제되었기 때문에 발생한 문제였습니다. 지난번에 설명한 것처럼, TokenUser 내부에 SID 정보가 함께 포함돼 있기 때문에 LsaAddAccountRights API를 호출하기 전까지는 GetTokenInformation으로 반환한 구조체 메모리를 해제해서는 안 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26/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4-12-04 07시48분
특권을 조회하는 whoami 명령어

c:\temp> whoami
testpc\testusr

c:\temp> whoami /priv

PRIVILEGES INFORMATION
----------------------

Privilege Name Description State
============================= ==================================== ========
SeShutdownPrivilege Shut down the system Disabled
SeChangeNotifyPrivilege Bypass traverse checking Enabled
SeUndockPrivilege Remove computer from docking station Disabled
SeIncreaseWorkingSetPrivilege Increase a process working set Disabled
SeTimeZonePrivilege Change the time zone Disabled
정성태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011정성태8/27/201926250사물인터넷: 57. C# - Rapsberry Pi Zero W와 PC 간 Bluetooth 통신 예제 코드파일 다운로드1
12010정성태8/27/201919197VS.NET IDE: 138. VSIX - DTE.ItemOperations.NewFile 메서드에서 템플릿 이름을 다국어로 설정하는 방법
12009정성태8/26/201920020.NET Framework: 858. C#/Windows - Clipboard(Ctrl+C, Ctrl+V)가 동작하지 않는다면?파일 다운로드1
12008정성태8/26/201919688.NET Framework: 857. UWP 앱에서 SQL Server 데이터베이스 연결 방법
12007정성태8/24/201918301.NET Framework: 856. .NET Framework 버전을 올렸을 때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
12006정성태8/23/201921792디버깅 기술: 129. guidgen - Encountered an improper argument. 오류 해결 방법 (및 windbg 분석) [1]
12005정성태8/13/201919391.NET Framework: 855. 닷넷 (및 VM 계열 언어) 코드의 성능 측정 시 주의할 점 [2]파일 다운로드1
12004정성태8/12/201927644.NET Framework: 854. C# - 32feet.NET을 이용한 PC 간 Bluetooth 통신 예제 코드 [14]
12003정성태8/12/201919793오류 유형: 564. Visual C++ 컴파일 오류 - fatal error C1090: PDB API call failed, error code '3'
12002정성태8/12/201919143.NET Framework: 853. Excel Sheet를 WinForm에서 사용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5]
12001정성태8/10/201924345.NET Framework: 852. WPF/WinForm에서 UWP의 기능을 이용해 Bluetooth 기기와 Pairing하는 방법 [1]
12000정성태8/9/201923748.NET Framework: 851. WinForm/WPF에서 Console 창을 띄워 출력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999정성태8/1/201918004오류 유형: 563. C# - .NET Core 2.0 이하의 Unix Domain Socket 사용 시 System.IndexOutOfRangeException 오류
11998정성태7/30/201920165오류 유형: 562. .NET Remoting에서 서비스 호출 시 SYN_SENT로 남는 현상파일 다운로드1
11997정성태7/30/201920414.NET Framework: 850. C# - Excel(을 비롯해 Office 제품군) COM 객체를 제어 후 Excel.exe 프로세스가 남아 있는 문제 [2]파일 다운로드1
11996정성태7/25/201923411.NET Framework: 849. C# - Socket의 TIME_WAIT 상태를 없애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995정성태7/23/201927155.NET Framework: 848. C# - smtp.daum.net 서비스(Implicit SSL)를 이용해 메일 보내는 방법 [2]
11994정성태7/22/201921830개발 환경 구성: 454. Azure 가상 머신(VM)에서 SMTP 메일 전송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993정성태7/22/201916517오류 유형: 561. Dism.exe 수행 시 "Error: 2 - The system cannot find the file specified." 오류 발생
11992정성태7/22/201918630오류 유형: 560. 서비스 관리자 실행 시 "Windows was unable to open service control manager database on [...]. Error 5: Access is denied." 오류 발생
11991정성태7/18/201915697디버깅 기술: 128. windbg - x64 환경에서 닷넷 예외가 발생한 경우 인자를 확인할 수 없었던 사례
11990정성태7/18/201917942오류 유형: 559. Settings / Update & Security 화면 진입 시 프로그램 종료
11989정성태7/18/201916783Windows: 162. Windows Server 2019 빌드 17763부터 Alt + F4 입력시 곧바로 로그아웃하는 현상
11988정성태7/18/201919301개발 환경 구성: 453. 마이크로소프트가 지정한 모든 Root 인증서를 설치하는 방법
11987정성태7/17/201925228오류 유형: 558. 윈도우 - KMODE_EXCEPTION_NOT_HANDLED 블루스크린(BSOD) 문제 [1]
11986정성태7/17/201916964오류 유형: 557. 드라이브 문자를 할당하지 않은 파티션을 탐색기에서 드라이브 문자와 함께 보여주는 문제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