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Visual Studio 17.5 (Preview 2) - 포트 터널링을 이용한 웹 응용 프로그램의 외부 접근 허용

2023-02-22: 17.5 버전이 정식으로 릴리스되었습니다.




관련해서 줄줄이 소식이 나오고 있군요. ^^

Use Visual Studio Port Tunneling to handle Twilio Webhooks
; https://www.twilio.com/blog/use-visual-studio-port-tunneling-with-twilio-webhooks

Public preview of dev tunnels in Visual Studio for ASP.NET Core projects 3
; https://devblogs.microsoft.com/visualstudio/public-preview-of-dev-tunnels-in-visual-studio-for-asp-net-core-projects/

Dev tunnels in Visual Studio for ASP.NET Core projects
; https://devblogs.microsoft.com/visualstudio/dev-tunnels-in-visual-studio-for-asp-net-core-projects/

현재 17.5 preview 2에만 포함되었고, 명시적으로 활성화시켜야 하는 옵션(Enable dev tunnels for Web Applications)입니다.

vs_tunnel_1.png

이후 간단하게 Web Application (ASP.NET Core Web App)을 하나 만들고, 프로젝트 시작 유형을 "Dev Tunnels" 메뉴를 이용해 "Create A Tunnel..."을 선택합니다. 그럼 다음과 같이 Microsoft Account 인증과 함께 터널링 관련 정보를 선택하는 창이 뜹니다.

vs_tunnel_2.png

Name은 비주얼 스튜디오 툴바에 위치한 시작 유형 메뉴의 이름으로 제공되는 것이므로 가볍게 입력하시면 됩니다. 그 외, Tunnel Type은 "Temporary"와, "Persistent"가 제공되고, Access 유형은 "Private", "Organizational", "Public"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간단하게 다음의 설정으로 생성하겠습니다.

Name: mytunnel
Tunnel Type: Temporary
Access: Public

이제, 기존 Web Application 프로젝트를 F5 키로 시작하면 첫 화면이 터널링된 주소로 접근하는 페이지로 바뀝니다.

vs_tunnel_3.png

"CONTINUE" 버튼을 누르면 이후의 동작 과정은 일반적인 웹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따릅니다. (위의 화면은 개발자 컴퓨터에서 한 번만 뜨고, 이후로는 곧바로 아래의 화면부터 보여줍니다.)

vs_tunnel_4.png

또한, 해당 URL(위의 이미지에서는 "https://7vhxqtlv-5131.asse.devtunnels.ms/")을 다른 컴퓨터, 심지어 외부 네트워크에 있는 컴퓨터에서도 접근할 수 있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참고로, 프로세스 내의 "VS_TUNNEL_URL"로도 URL 주소가 설정되므로 코드를 통해 알아내는 것도 가능합니다.




사실, 개발자 PC에서 Visual Studio로 실행한 웹 애플리케이션을 다른 PC에서 접근할 수 있는 것이 크게 의미 있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단지, 최근 들어 callbacck 유형으로 web hook을 구현해야 하는 경우에는 제법 유용하게 쓸 수 있습니다. 실제로 "Use Visual Studio Port Tunneling to handle Twilio Webhooks" 글은 그런 사례를 보여줍니다.

암튼, 점점 더 개발 환경은 편리해져 가는군요.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2/22/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071정성태12/9/201923959오류 유형: 582. 리눅스 디스크 공간 부족 및 safemode 부팅 방법
12070정성태12/9/201925395오류 유형: 581. resize2fs: Bad magic number in super-block while trying to open /dev/.../root
12069정성태12/2/201922524디버깅 기술: 139. windbg - x64 덤프 분석 시 메서드의 인자 또는 로컬 변수의 값을 확인하는 방법
12068정성태11/28/201931032디버깅 기술: 138. windbg와 Win32 API로 알아보는 Windows Heap 정보 분석 [3]파일 다운로드2
12067정성태11/27/201922459디버깅 기술: 137. 실제 사례를 통해 Debug Diagnostics 도구가 생성한 닷넷 웹 응용 프로그램의 성능 장애 보고서 설명 [1]파일 다운로드1
12066정성태11/27/201922106디버깅 기술: 136. windbg - C# PInvoke 호출 시 마샬링을 담당하는 함수 분석 - OracleCommand.ExecuteReader에서 OpsSql.Prepare2 PInvoke 호출 분석
12065정성태11/25/201919381디버깅 기술: 135. windbg - C# PInvoke 호출 시 마샬링을 담당하는 함수 분석파일 다운로드1
12064정성태11/25/201923349오류 유형: 580. HTTP Error 500.0/500.33 - ANCM In-Process Handler Load Failure
12063정성태11/21/201922637디버깅 기술: 134. windbg - RtlReportCriticalFailure로부터 parameters 정보 찾는 방법
12062정성태11/21/201921074디버깅 기술: 133. windbg - CoTaskMemFree/FreeCoTaskMem에서 발생한 덤프 분석 사례 - 두 번째 이야기
12061정성태11/20/201921105Windows: 167. CoTaskMemAlloc/CoTaskMemFree과 윈도우 Heap의 관계
12060정성태11/20/201923965디버깅 기술: 132. windbg/Visual Studio - HeapFree x64의 동작 분석
12059정성태11/20/201923573디버깅 기술: 131. windbg/Visual Studio - HeapFree x86의 동작 분석
12058정성태11/19/201923852디버깅 기술: 130. windbg - CoTaskMemFree/FreeCoTaskMem에서 발생한 덤프 분석 사례
12057정성태11/18/201918457오류 유형: 579. Visual Studio - Memory 창에서 유효한 주소 영역임에도 "Unable to evaluate the expression." 오류 출력
12056정성태11/18/201925893개발 환경 구성: 464. "Microsoft Visual Studio Installer Projects" 프로젝트로 EXE 서명 및 MSI 파일 서명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055정성태11/17/201919577개발 환경 구성: 463. Visual Studio의 Ctrl + Alt + M, 1 (Memory 1) 등의 단축키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12054정성태11/15/201921043.NET Framework: 869. C# - 일부러 GC Heap을 깨뜨려 GC 수행 시 비정상 종료시키는 예제
12053정성태11/15/201921405Windows: 166. 윈도우 10 - 명령행 창(cmd.exe) 속성에 (DotumChe, GulimChe, GungsuhChe 등의) 한글 폰트가 없는 경우
12052정성태11/15/201920361오류 유형: 578. Azure - 일정(schedule)에 등록한 runbook이 1년 후 실행이 안 되는 문제(Reason - The key used is expired.)
12051정성태11/14/201925631개발 환경 구성: 462. 시작하자마자 비정상 종료하는 프로세스의 메모리 덤프 - procdump [1]
12050정성태11/14/201922965Windows: 165. AcLayers의 API 후킹과 FaultTolerantHeap
12049정성태11/13/201923323.NET Framework: 868. (닷넷 프로세스를 대상으로) 디버거 방식이 아닌 CLR Profiler를 이용해 procdump.exe 기능 구현
12048정성태11/12/201922678Windows: 164. GUID 이름의 볼륨에 해당하는 파티션을 찾는 방법
12047정성태11/12/201925331Windows: 163. 안전하게 eject시킨 USB 장치를 물리적인 재연결 없이 다시 인식시키는 방법
12046정성태10/29/201919074오류 유형: 577. windbg - The call to LoadLibrary(...\sos.dll) failed, Win32 error 0n193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