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Windows: 220. 네트워크의 인터넷 접속 가능 여부에 대한 판단 기준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5346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네트워크의 인터넷 접속 가능 여부에 대한 판단 기준

작업 표시줄에 있는 네트워크 아이콘에 마우스를 갖다 대면 다음과 같이 풍선 도움말로 개별 네트워크의 인터넷 접속 가능 여부를 보여줍니다.

msft_connect_1.png

위의 경우 "Network 2"가 "Internet access"로 나오는데요, 이 기준이 뭘까요? ^^ 이에 대해 Raymond Chen은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How does Windows decide whether your computer has limited or full Internet access?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221115-00/?p=107399

보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의 공식 문서에 있는데,

An Internet Explorer or Edge window opens when your computer connects to a corporate network or a public network
; https://learn.microsoft.com/en-us/troubleshoot/windows-client/networking/internet-explorer-edge-open-connect-corporate-public-network

윈도우는 이를 위해 (서비스 관리자에 보면 "Manual"로 설정된) "NLA(Network Location Awareness)" 서비스를 운영하는데, 해당 서비스 내에서는 NCSI(Network Connectivity Status Indicator) 구성요소를 사용해 인터넷 연결 여부를 판정한다고 합니다.

그 판별 단계 중의 하나는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르는데요,

1.1 www.msftconnecttest.com에 대한 DNS 풀이
1.2 DNS 풀이가 되었다면 "http://www.msftconnecttest.com/connecttest.txt" 요청 결과가 "Microsoft Connect Test"인지 확인

2. dns.msftncsi.com으로의 DNS 조회

혹시 일부러 위의 조건들을 실패하게 만들면 "No Internet access"를 재현할 수 있지 않을까요? ^^ 아쉽지만, 두 번째 단계가 단순히 DNS 조회 가능 여부이기 때문에 HOSTS 파일을 다음과 같이 변경하는 것만으로는,

127.0.0.1 www.msftconnecttest.com
127.0.0.1 dns.msftncsi.com

첫 번째 단계를 실패하게 만들 뿐, 2번 단계는 성공하므로 재현이 안 됩니다. 굳이 해야 한다면 ^^ 2번 단계 실패를 유도하기 위해 아예 DNS 서버를 잘못된 IP로 지정하는 식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msft_connect_2.png

이후 해당 네트워크를 "Disable", "Enable"로 재시작하면 "Connectivity" 상태가 "No Internet access"로 머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msft_connect_3.png

(달리 말하면, IP 통신은 가능해도 DNS 풀이가 안 되면 네트워크 상태가 "No Internet access"로 됩니다.)




참고로, 해외여행을 해보신 분들은 인터넷 접속 전에 경유되는 포탈 화면에 익숙하실 텐데요, 그런 것을 "captive portal"이라고 합니다. 그런 상태에서는 "captive portal"로는 접속이 되지만 아직 서비스 업체에서 요구하는 인증 등의 과정을 거치지 않았으므로 인터넷 접속은 안 됩니다.

바로 그런 상태인지 확인하는 방법을 아래의 글에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How should I interpret the various values of NLM_CONNECTIVITY?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230112-00/?p=107700

나중에... 언젠가 출장 가게 되면 INetwork­List­Manager::Get­Networks 코드가 작동하는지 확인해 봐야겠습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8/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94정성태12/8/201139943개발 환경 구성: 137. Visual C++ 런타임 구성요소에 대한 디버그 버전 설치하는 방법
1193정성태12/8/201126795오류 유형: 142. Windows Phone SDK 7.1 설치 시 Expression Blend 제거를 요구하는 경우
1192정성태12/8/201129685개발 환경 구성: 136. Windows 7 SP1의 IIS에서 사용자 프로파일을 로드하는 방법
1191정성태12/6/201131142.NET Framework: 280. MVC3에서 JavaScriptSerializer 재정의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90정성태12/6/201134126오류 유형: 141. Visual C++ 컴파일 오류 - error C2275: 'xxxxx' : illegal use of this type as an expression [1]
1189정성태12/6/201141762VS.NET IDE: 70. Visual Studio에서 프로젝트 로드가 안된다면?
1188정성태12/3/201130337개발 환경 구성: 135. 마이크로소프트 TFS 호스팅 서비스 - Preview [3]
1187정성태12/2/201135405개발 환경 구성: 134. Robocopy 오류 및 종료 코드
1186정성태12/1/201137567.NET Framework: 279. WPF - 그리기 성능 및 Blurring 문제파일 다운로드1
1185정성태11/29/201126678.NET Framework: 278. WPF - Content의 Changed 이벤트에 해당하는게 뭔가요?파일 다운로드1
1184정성태11/29/201130856.NET Framework: 277. F#과 WPF가 어울리지 못하는 근본적인 이유 [2]
1183정성태11/26/201125373오류 유형: 140. Visual Studio 2010 - Floating된 에디트 윈도우가 사라지지 않는 경우 [2]
1182정성태11/25/201162218.NET Framework: 276. 중복 없는 숫자를 랜덤으로 배열하는 방법 [5]파일 다운로드1
1181정성태11/24/201132154디버깅 기술: 44. windbg의 mscordacwks DLL 로드 문제
1180정성태11/23/201141932.NET Framework: 275. 레지스트리 등록 및 Interop DLL 없이 COM 개체 사용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179정성태11/22/201132015.NET Framework: 274. ReaderWriterLockSlim은 언제 쓰는 걸까요? [4]파일 다운로드1
1178정성태11/19/201129049.NET Framework: 273. 설치된 .NET 버전에 민감한 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다중으로 어셈블리를 만들어야 할까요?파일 다운로드1
1177정성태11/18/201134212.NET Framework: 272. 소켓 연결 시간 제한 - 두 번째 이야기 [1]파일 다운로드1
1176정성태11/17/201133785.NET Framework: 271. C#에서 확인해 보는 관리 힙의 인스턴스 구조 [3]파일 다운로드1
1175정성태11/16/201131722.NET Framework: 270. .NET 참조 개체 인스턴스의 Object Header를 확인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74정성태11/15/201130847.NET Framework: 269. 일반 참조형의 기본 메모리 소비는 얼마나 될까요? [4]
1173정성태11/14/201126749.NET Framework: 268. .NET Array는 왜 12bytes의 기본 메모리를 점유할까? [1]
1172정성태11/13/201123503.NET Framework: 267. windbg - GC Heap에서 .NET 타입에 대한 배열을 찾는 방법
1171정성태11/12/201140995.NET Framework: 266. StringBuilder에서의 OutOfMemoryException 오류 원인 분석 [4]파일 다운로드1
1170정성태11/10/201130203.NET Framework: 265. Named 동기화 개체 생성 시 System.UnauthorizedAccessException 예외 발생하는 경우
1169정성태11/10/201133124.NET Framework: 264. 다중 LAN 카드 환경에서 Dns.GetHostAddresses(local)가 반환해 주는 IP의 우선순위는 어떻게 될까요? [4]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