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Linux: 57. C# - 리눅스 프로세스 메모리 정보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2326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12개 있습니다.)
Windows: 103. 작업 관리자에서의 "Commit size"가 가리키는 메모리의 의미
; https://www.sysnet.pe.kr/2/0/1850

.NET Framework: 492. .NET CLR Memory 성능 카운터의 의미
; https://www.sysnet.pe.kr/2/0/1852

.NET Framework: 626. Commit 메모리가 낮은 상황에서도 메모리 부족(Out-of-memory) 예외 발생
; https://www.sysnet.pe.kr/2/0/11110

VC++: 107. VirtualAlloc, HeapAlloc, GlobalAlloc, LocalAlloc, malloc, new의 차이점
; https://www.sysnet.pe.kr/2/0/11152

Windows: 136. Memory-mapped File은 Private Bytes 크기에 포함될까요?
; https://www.sysnet.pe.kr/2/0/11159

.NET Framework: 845. C# - 윈도우 작업 관리자와 리소스 모니터의 메모리 값을 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950

Windows: 211. Windows - (commit이 아닌) reserved 메모리 사용량 확인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133

.NET Framework: 2073. C# - VMMap처럼 스택 메모리의 reserve/guard/commit 상태 출력
; https://www.sysnet.pe.kr/2/0/13174

.NET Framework: 2074. C# - 스택 메모리에 대한 여유 공간 확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180

Linux: 57. C# - 리눅스 프로세스 메모리 정보
; https://www.sysnet.pe.kr/2/0/13221

닷넷: 2322. C# - 프로세스 메모리 중 Private Working Set 크기를 구하는 방법(성능 카운터, WMI)
; https://www.sysnet.pe.kr/2/0/13889

닷넷: 2323. C# - 프로세스 메모리 중 Private Working Set 크기를 구하는 방법(Win32 API)
; https://www.sysnet.pe.kr/2/0/13890




C# - 리눅스 프로세스 메모리 정보

리눅스 환경에서 메모리 정보를 구해볼까요? ^^ 우선, 간단하게는 "ps" 명령어의 결과로 구하는 메모리 정보가 있는데요,

// RSS: Resident Set Size
// VSZ: Virtual Memory Size

$ ps -o vsz,rss -p 1950
   VSZ   RSS
  2300   108

What is RSS and VSZ in Linux memory management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7880784/what-is-rss-and-vsz-in-linux-memory-management

C#으로는 이렇게 코딩할 수 있습니다.

private static (long vsz, long rss) GetMemoryInfoFromPS(int pid)
{
    long vsz = 0;
    long rss = 0;

    string cmd = $"ps -o vsz,rss -p {pid} --no-headers";

    ProcessStartInfo psi = new ProcessStartInfo();
    psi.UseShellExecute = false;
    psi.FileName = "bash";
    psi.Arguments = "-c \"" + cmd + "\"";
    psi.RedirectStandardOutput = true;

    Process? runningProcess = Process.Start(psi);
    if (runningProcess == null)
    {
        return (0, 0);
    }

    runningProcess.WaitForExit();

    string text = runningProcess.StandardOutput.ReadToEnd().Trim();
    string[] items = text.Split();
    if (items.Length != 2)
    {
        return (0, 0);
    }

    long.TryParse(items[0], out vsz);
    long.TryParse(items[1], out rss);

    return (vsz, rss);
}

위에서 구한 vsz, rss는 윈도우와 비교하면 "Process Explorer"의 virtual size와 working set에 해당합니다. 그런데 이 정보들은 굳이 ps 명령어의 결과로 추출할 필요없이 Process 개체를 통해 간단하게 구할 수 있습니다.

Process process = Process.GetCurrentProcess();
long vsz = process.VirtualMemorySize64;
long vszKB = vsz / 1024;

long rss = process.WorkingSet64;
long rssKB = rss / 1024;

vszKB, rssKB와 ps 출력의 vsz, rss 값은 정확히 일치합니다.




리눅스의 경우, VMMap과 같은 정보를 /proc/[pid]/maps를 통해 구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 cat /proc/3035/maps
564b14faa000-564b14fb6000 r--p 00000000 08:30 89216                      /usr/share/dotnet/dotnet
564b14fb6000-564b14fcc000 r-xp 0000c000 08:30 89216                      /usr/share/dotnet/dotnet
564b14fcc000-564b14fcd000 r--p 00022000 08:30 89216                      /usr/share/dotnet/dotnet
564b14fcd000-564b14fce000 rw-p 00023000 08:30 89216                      /usr/share/dotnet/dotnet
564b15973000-564b15b80000 rw-p 00000000 00:00 0                          [heap]
7f3b58000000-7f3b58021000 rw-p 00000000 00:00 0
...[생략]...
7f7c98e9f000-7f7c98ea0000 r--p 00000000 08:30 20985                      /usr/lib/x86_64-linux-gnu/ld-2.31.so
7f7c98ea0000-7f7c98ec3000 r-xp 00001000 08:30 20985                      /usr/lib/x86_64-linux-gnu/ld-2.31.so
7f7c98ec3000-7f7c98ecb000 r--p 00024000 08:30 20985                      /usr/lib/x86_64-linux-gnu/ld-2.31.so
7f7c98ecb000-7f7c98ecc000 rw-s 00471000 00:01 1180                       /memfd:doublemapper (deleted)
7f7c98ecc000-7f7c98ecd000 r--p 0002c000 08:30 20985                      /usr/lib/x86_64-linux-gnu/ld-2.31.so
7f7c98ecd000-7f7c98ece000 rw-p 0002d000 08:30 20985                      /usr/lib/x86_64-linux-gnu/ld-2.31.so
7f7c98ece000-7f7c98ecf000 rw-p 00000000 00:00 0
7ffdb8167000-7ffdb8188000 rw-p 00000000 00:00 0                          [stack]
7ffdb819d000-7ffdb81a1000 r--p 00000000 00:00 0                          [vvar]
7ffdb81a1000-7ffdb81a2000 r-xp 00000000 00:00 0                          [vdso]

예상할 수 있겠지만, 개별 라인(예를 들어, "7f7c98e9f000-7f7c98ea0000")에 해당하는 주소 범위를 모두 더하면 정확히 (이전 소스 코드에서 구한) vsz에 해당하는 크기가 나옵니다.

혹시 저 영역 중에 GC Heap은 어디에 포함될까요? ^^ 아래의 글을 보면,

/proc/pid/maps : 파일 프로세스의 메모리 공간
; https://sosal.kr/328

/proc/<pid>/maps
; https://umbum.dev/140

[heap] 영역은 C/C++ 코드에서 new/malloc 등으로 할당한 공간이라고 하는데요, 그렇다면 GC Heap도 거기에 포함되지 않을까요?

이를 검증하기 위해 참조 개체를 fixed 상태로 만들어 구한 주소를,

Program pg = new Program();
fixed (int* ptr = &pg._dummy)
{
    IntPtr addr = new nint(ptr);

    // addr 주소를 /proc/pid/maps와 비교
}

찾아보면 "[heap]"에 속하지 않은 다른 범위의 주소가 나옵니다. 일례로 아래와 같은 범위로,

7ebc12800000-7ebc12831000 rw-p 00000000 00:00 0

메모리 범위의 크기를 보면, 200,704가 나오는데요, 약 196KB에 해당합니다. 또한, 이 영역을 /proc/pid/maps의 전체 출력에서 찾아보면,

56212274d000-562122759000 r--p 00000000 08:20 36634                      /usr/share/dotnet/dotnet
562122759000-56212276f000 r-xp 0000c000 08:20 36634                      /usr/share/dotnet/dotnet
56212276f000-562122770000 r--p 00022000 08:20 36634                      /usr/share/dotnet/dotnet
562122770000-562122771000 rw-p 00023000 08:20 36634                      /usr/share/dotnet/dotnet
562123620000-562123815000 rw-p 00000000 00:00 0                          [heap]
7ebb64000000-7ebb64021000 rw-p 00000000 00:00 0 
7ebb64021000-7ebb68000000 ---p 00000000 00:00 0 
7ebb6c000000-7ebb6c021000 rw-p 00000000 00:00 0 
7ebb6c021000-7ebb70000000 ---p 00000000 00:00 0 
7ebb70000000-7ebb70068000 rw-p 00000000 00:00 0 
7ebb70068000-7ebb74000000 ---p 00000000 00:00 0 
7ebb74000000-7ebb74021000 rw-p 00000000 00:00 0 
7ebb74021000-7ebb78000000 ---p 00000000 00:00 0 
7ebb7a555000-7ebb7a556000 ---p 00000000 00:00 0 
7ebb7a556000-7ebb7ad56000 rw-p 00000000 00:00 0 
7ebb7ad56000-7ebb7ad57000 ---p 00000000 00:00 0 
7ebb7ad57000-7ebb7b561000 rw-p 00000000 00:00 0 
7ebb7b561000-7ebb83556000 ---p 00000000 00:00 0 
7ebb83556000-7ebb83561000 rw-p 00000000 00:00 0 
7ebb83561000-7ebb8b556000 ---p 00000000 00:00 0 
7ebb8b556000-7ebb8b557000 rw-p 00000000 00:00 0 
7ebb8b557000-7ebb8b576000 ---p 00000000 00:00 0 
7ebb8b576000-7ebb8b57b000 rw-p 00000000 00:00 0 
7ebb8b57b000-7ebb8f575000 ---p 00000000 00:00 0 
7ebb8f575000-7ebb8f576000 rw-p 00000000 00:00 0 
7ebb8f576000-7ebb8f585000 ---p 00000000 00:00 0 
7ebb8f585000-7ebb8f587000 rw-p 00000000 00:00 0 
7ebb8f587000-7ebc10000000 ---p 00000000 00:00 0 
7ebc10000000-7ebc10011000 rw-p 00000000 00:00 0 
7ebc10011000-7ebc12000000 ---p 00000000 00:00 0 
7ebc12000000-7ebc12001000 rw-p 00000000 00:00 0 
7ebc12001000-7ebc12400000 ---p 00000000 00:00 0 
7ebc12400000-7ebc12401000 rw-p 00000000 00:00 0 
7ebc12401000-7ebc12800000 ---p 00000000 00:00 0  
7ebc12800000-7ebc12831000 rw-p 00000000 00:00 0
7ebc12831000-7ebc12c00000 ---p 00000000 00:00 0  
7ebc12c00000-7ebc12c01000 rw-p 00000000 00:00 0 
7ebc12c01000-7efc10000000 ---p 00000000 00:00 0 
7efc10000000-7efc10021000 rw-p 00000000 00:00 0 
7efc10021000-7efc14000000 ---p 00000000 00:00 0 
7efc14000000-7efc14021000 rw-p 00000000 00:00 0 
7efc14021000-7efc18000000 ---p 00000000 00:00 0 
7efc18000000-7efc18021000 rw-p 00000000 00:00 0 
7efc18021000-7efc1c000000 ---p 00000000 00:00 0 
7efc1c000000-7efc1c021000 rw-p 00000000 00:00 0 
7efc1c021000-7efc20000000 ---p 00000000 00:00 0 
7efc20000000-7efc20021000 rw-p 00000000 00:00 0 
7efc20021000-7efc24000000 ---p 00000000 00:00 0 
...[생략]...

앞 뒤로 다수의 메모리 블록이 연속해서 메모리가 잡힌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쉽군요, ^^ 딱히 GC Heap 영역이라고 특정 지을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2/20/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856정성태2/15/201521277.NET Framework: 493. TypeRef 메타테이블에 등록되는 타입의 조건파일 다운로드1
1855정성태2/10/201520805개발 환경 구성: 256. WebDAV Redirector - Sysinternals 폴더 연결 시 "The network path was not found" 오류 해결 방법
1854정성태2/10/201521803Windows: 104. 폴더는 삭제할 수 없지만, 그 하위 폴더/파일은 생성/삭제/변경하는 보안 설정
1853정성태2/6/201552069웹: 29. 여신금융협회 웹 사이트의 "Netscape 6.0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오류 메시지 [5]
1852정성태2/5/201522488.NET Framework: 492. .NET CLR Memory 성능 카운터의 의미파일 다운로드1
1851정성태2/5/201523409VC++: 88. 하룻밤의 꿈 - 인텔 하스웰의 TSX Instruction 지원 [2]
1850정성태2/4/201544309Windows: 103. 작업 관리자에서의 "Commit size"가 가리키는 메모리의 의미 [4]
1849정성태2/4/201524194기타: 51. DropBox의 CPU 100% 현상 [1]파일 다운로드1
1848정성태2/4/201519461.NET Framework: 491. 닷넷 Generic 타입의 메타 데이터 토큰 값 알아내는 방법 [2]
1847정성태2/3/201522816기타: 50. C# - 윈도우에서 dropbox 동기화 폴더 경로 및 종료하는 방법
1846정성태2/2/201532028Windows: 102. 제어판의 프로그램 추가/삭제 항목을 수동으로 실행하고 싶다면? [1]
1845정성태1/26/201532908Windows: 101. 제어판의 "Windows 자격 증명 관리(Manage your credentials)"를 금지시키는 방법
1844정성태1/26/201530863오류 유형: 269. USB 메모리의 용량이 비정상적으로 보여진다면? [7]
1843정성태1/24/201521927VC++: 87. 무시할 수 없는 Visual C++ 런타임 함수 성능
1842정성태1/23/201544464개발 환경 구성: 255. 노트북 키보드에 없는 BREAK 키를 다른 키로 대체하는 방법
1841정성태1/21/201519416오류 유형: 268. Win32 핸들 관련 CLR4 보안 오류 사례
1840정성태1/8/201527628오류 유형: 267. Visual Studio - CodeLens 사용 시 CPU 100% 현상
1839정성태1/5/201520535디버깅 기술: 69. windbg 분석 사례 - cpu 100% 현상 (2)
1838정성태1/4/201540240기타: 49. 윈도우 내레이터(Narrator) 기능 끄는 방법(윈도우에 파란색의 굵은 테두리 선이 나타난다면?) [4]
1837정성태1/4/201526361디버깅 기술: 68. windbg 분석 사례 - 메모리 부족 [1]
1836정성태1/4/201526373디버깅 기술: 67. windbg - 덤프 파일과 handle 정보
1835정성태1/3/201526859개발 환경 구성: 254. SQL 서버 역시 SSL 3.0/TLS 1.0만을 지원하는 듯!
1834정성태1/3/201551497개발 환경 구성: 253. TLS 1.2를 적용한 IIS 웹 사이트 구성
1833정성태1/3/201527583.NET Framework: 490. System.Data.SqlClient는 SSL 3.0/TLS 1.0만 지원하는 듯! [3]
1832정성태1/2/201520654오류 유형: 266. Azure에 응용 프로그램 게시 중 로그인 오류
1831정성태1/1/201528535디버깅 기술: 66. windbg 분석 사례 - cpu 100% 현상 (1) [1]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