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12개 있습니다.)
Windows: 63. 윈도우 서버 2012 - Hyper-V의 새로운 기능 Live Migration
; https://www.sysnet.pe.kr/2/0/1356

개발 환경 구성: 211. Hyper-V - Generation 2 유형의 VM 생성 시 ISO 부팅이 안된다면?
; https://www.sysnet.pe.kr/2/0/1603

개발 환경 구성: 236. Hyper-V에 설치한 리눅스 VM의 VHD 크기 늘리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742

개발 환경 구성: 317. Hyper-V 내의 VM에서 다시 Hyper-V를 설치: Nested Virtualization
; https://www.sysnet.pe.kr/2/0/11218

개발 환경 구성: 405. Hyper-V 가상 머신에서 직렬 포트(Serial Port, COM Port) 사용
; https://www.sysnet.pe.kr/2/0/11720

.NET Framework: 798. C# - Hyper-V 가상 머신의 직렬 포트와 연결된 Named Pipe 간의 통신
; https://www.sysnet.pe.kr/2/0/11722

디버깅 기술: 169. Hyper-V의 VM에 대한 메모리 덤프를 뜨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284

개발 환경 구성: 608. Hyper-V 가상 머신에 Console 모드로 로그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859

개발 환경 구성: 664. Hyper-V에 설치한 리눅스 VM의 VHD 크기 늘리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3246

Windows: 259. Hyper-V Generation 1 유형의 VM을 Generation 2 유형으로 바꾸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564

개발 환경 구성: 718. Hyper-V - 리눅스 VM에 새로운 디스크 추가
; https://www.sysnet.pe.kr/2/0/13706

Windows: 280. Hyper-V의 3가지 Thread Scheduler (Classic, Core, Root)
; https://www.sysnet.pe.kr/2/0/13901




Hyper-V에 설치한 리눅스 VM의 VHD 크기 늘리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근래, VHD 크기를 다시 늘릴 일이 있어

$ df
Filesystem     1K-blocks     Used Available Use% Mounted on
udev             1986652        0   1986652   0% /dev
tmpfs             402572     3064    399508   1% /run
/dev/sdb1       57482440 52821204   1929208  97% /
...[생략]...

지난 글을 찾아봤는데요,

Hyper-V에 설치한 리눅스 VM의 VHD 크기 늘리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742

아니, 그새 cfdisk의 동작 방식이 달라졌습니다. ^^; 리알못인 제가... 괜히 설정 잘못했다가 디스크 날리면 곤란하므로 다시 웹 검색을 했습니다.

Expand Ubuntu disk after Hyper-V Quick Create
; http://linguist.is/2020/08/12/expand-ubuntu-disk-after-hyper-v-quick-create/

오호~~~ 세상이 많이 좋아졌군요. ^^ 이제는 볼륨 그룹이니... 하는 것들을 전혀 알 필요가 없게 되었습니다. 단순히 vhdx 공간을 늘린 후, cloud-guest-utils 도구를 설치하고,

$ sudo apt install cloud-guest-utils

우리가 늘려줬던 영역까지 growpart로 파티션을 늘린 다음,

// df의 결과에서 /dev/sdb1이었으므로, 

$ sudo growpart /dev/sdb 1
CHANGED: partition=1 start=2048 old: size=117438464 end=117440512 new: size=167770079,end=167772127

이후 resize 하는 것으로 끝이 납니다. ^^

$ sudo resize2fs /dev/sdb1
resize2fs 1.44.1 (24-Mar-2018)
Filesystem at /dev/sdb1 is mounted on /; on-line resizing required
old_desc_blocks = 7, new_desc_blocks = 10
The filesystem on /dev/sdb1 is now 20971259 (4k) blocks long.

확인해 보면, 이렇게 /dev/sdb1의 여유 공간이 늘어났습니다. ^^

$ df
Filesystem     1K-blocks     Used Available Use% Mounted on
udev             1986652        0   1986652   0% /dev
tmpfs             402572     3192    399380   1% /run
/dev/sdb1       82249372 54150576  24360200  69% /
...[생략]...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2/6/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663정성태2/5/200927621.NET Framework: 123. WPF - Arial Narrow 폰트 문제
662정성태2/3/200923119VS.NET IDE: 59. HyperAddin 도구 사용 설명 [1]
661정성태2/3/200926818오류 유형: 68. msxml6r.dll 설치 오류
660정성태2/3/200925624Windows: 41. UAC 보안 취약 [2]
659정성태2/2/200936750오류 유형: 67. ClickOnce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지 않을 때.
658정성태2/1/200929013Team Foundation Server: 30. 소스 서버 보안
657정성태2/1/200932073Windows: 40. Q1 Ultra + Windows 7 베타
656정성태2/1/200933164디버깅 기술: 24. .NET JIT 최적화 코드 생성 제어
655정성태1/31/200929677Windows: 39. IE8 표준 모드 [4]
653정성태1/29/200924500.NET Framework: 122. XML Serializer를 이용한 값 복사: 성능은 어떨까!파일 다운로드1
652정성태1/22/200925108.NET Framework: 121. WPF - PrintTicket provider failed to bind to printer.
651정성태1/20/200922883.NET Framework: 120. 타입이 다른 배열끼리의 변환
650정성태1/19/200934634COM 개체 관련: 21. C/C++ 프로젝트에 /clr 옵션 적용으로 인한 COM 개체 사용 오류
649정성태1/18/200932281Windows: 38. Q1U UMPC에 Windows 7 베타 설치하기
648정성태1/18/200930805Windows: 37. Windows PE를 USB 메모리에 적용
647정성태1/18/200941065Windows: 36. Windows PE ISO 이미지 만들기 [1]
646정성태1/18/200934113디버깅 기술: 23. COMPLUS_ZapDisable - JIT 최적화 코드 생성 제어 [1]
645정성태1/11/200932624Windows: 35. 서명되지 않은 드라이버 로딩 방법
644정성태1/11/200923581Windows: 34. VPC 설치 후기 [2]
643정성태1/10/200929006Windows: 33. Windows 7 베타와 VMA 충돌 [1]
642정성태1/8/200927680개발 환경 구성: 34. Sysinternals의 모든 툴을 한번에 업데이트 하는 방법 [1]
641정성태1/7/200924670기타: 27. D820 - A09 바이오스 업데이트 프로그램 패치 [2]
640정성태1/4/200926393Team Foundation Server: 29. ClickOnce 응용 프로그램 배포를 Team Build에 추가.
639정성태1/4/200924410Team Foundation Server: 28. PFX 코드 서명을 포함한 프로젝트의 팀 빌드 실패 - MSB4018
638정성태1/3/200927424.NET Framework: 119. WPF - 의존 속성 정의에서 XamlParseException 발생하는 예 [2]
637정성태1/1/200929773기타: 26. 2008년 인기 순위 정리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