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13개 있습니다.)
디버깅 기술: 22. VS.NET SP1 + .NET Framework 소스 코드 디버깅
; https://www.sysnet.pe.kr/2/0/623

개발 환경 구성: 112. Visual Studio 2010 - .NET Framework 소스 코드 디버깅
; https://www.sysnet.pe.kr/2/0/1009

개발 환경 구성: 143. Visual Studio 2010 - .NET Framework 소스 코드 디버깅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243

개발 환경 구성: 297. 소스 코드가 없는 닷넷 어셈블리를 디버깅할 때 지역 변숫값을 확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036

개발 환경 구성: 391. (GitHub 등과 직접 연동해) 소스 코드 디버깅을 쉽게 해 주는 SourceLink
; https://www.sysnet.pe.kr/2/0/11630

VS.NET IDE: 126. 디컴파일된 소스에 탐색을 사용하도록 설정(Enable navigation to decompiled sources)
; https://www.sysnet.pe.kr/2/0/11689

VS.NET IDE: 145. NuGet + Github 라이브러리 디버깅 관련 옵션 3가지 - "Enable Just My Code" / "Enable Source Link support" / "Suppress JIT optimization on module load (Managed only)"
; https://www.sysnet.pe.kr/2/0/12200

개발 환경 구성: 500. (PDB 연결이 없는) DLL의 소스 코드 디버깅을 dotPeek 도구로 해결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281

VS.NET IDE: 153.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서의 "My Code" 범위와 "Enable Just My Code"의 역할
; https://www.sysnet.pe.kr/2/0/12401

VS.NET IDE: 170. Visual Studio에서 .NET Core/5+ 역어셈블 소스코드 확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880

VS.NET IDE: 177. 비주얼 스튜디오 2022를 이용한 (소스 코드가 없는) 닷넷 모듈 디버깅 - "외부 원본(External Sources)"
; https://www.sysnet.pe.kr/2/0/13109

VS.NET IDE: 180. Visual Studio - 닷넷 소스 코드 디버깅 중 "Decompile source code"가 동작하는 않는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3247

VS.NET IDE: 189. Visual Studio - 닷넷 소스코드 디컴파일 찾기가 안 될 때
; https://www.sysnet.pe.kr/2/0/13554




Visual Studio - 닷넷 소스 코드 디버깅 중 "Decompile source code"가 동작하는 않는 문제

최근의 Visual Studio에서 분명히 decompiled 시킨 어셈블리임에도 불구하고,

vs_gen_src_access_0.png

정작 Call Stack에서 해당 코드를 보려고 더블 클릭을 하면 곧바로 소스 코드가 보이지 않고 다음과 같은 창이 뜹니다.

vs_gen_src_access_1.png

"Decompile source code" 링크를 클릭해도 해당 소스 코드가 열리지 않는데요, 디컴파일된 소스 코드 위치를 찾아,

C:\> dir /a/s FileChangesMonitor.cs
 Volume in drive C has no label.
 Volume Serial Number is 7090-BBAB

 Directory of %LOCALAPPDATA%\Temp\.vsdbgsrc\2E5F9520028DF5D1934C4EF28AB8655FBAFE89A456A92B6F3491798DF6DFE690

2023-01-31  오후 04:39            23,277 FileChangesMonitor.cs
               1 File(s)         23,277 bytes

     Total Files Listed:
               1 File(s)         23,277 bytes
               0 Dir(s)  567,419,895,808 bytes free

C:\>

"Browse and find CacheDependency.cs..." 링크를 눌러 위의 위치를 지정했더니 이런 오류 창이 뜹니다.

Find Source: CacheDependency.cs

FileChangesMonitor.cs
You don’t have permission to open this file. 

Contact the file owner or an administrator to obtain permission.

재미있는 건, 실제로 해당 파일에 대한 접근 권한이 없다는 점입니다.

vs_gen_src_access_2.png

게다가 관리자 권한은 물론 시스템 권한으로도 소유권을 가져올 수 없습니다.

c:\temp> takeown /f "%LOCALAPPDATA%\Temp\.vsdbgsrc\2E5F...[생략]...6DFE690\FileChangesMonitor.cs" /a /r /d y
ERROR: Access is denied.

어쩔 수 없습니다. ^^; 이런 경우 그냥 .vsdbgsrc 하위 디렉터리를 전부 삭제하는 식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다행히 파일 자체에 대한 권한이 막힌 것이어서 그것을 포함한 디렉터리는 삭제가 가능합니다. 그다음, 다시 Visual Studio의 Modules 창(단축키: Ctrl+Alt+U)에서,

vs_gen_src_access_3.png

"Extract Source Code" 메뉴를 이용해 DLL로부터 소스 코드 파일을 생성하면 이후 소스 코드 디버깅이 다시 잘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Extract Source Code"를 (실행했던 적이 아닌) 실행한 Visual Studio가 열려 있는 경우, 생성된 소스 코드들은 현재의 Visual Studio가 배타적으로 열고 있어 다른 에디터에서 열려고 하면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The process cannot access the file because it is being used by another process.

만약, 소스 코드 디버깅이 안 돼서 "Extract Source Code" 작업을 다시 해야 하는 경우라면 그냥 Visual Studio를 종료하고 파일 탐색기를 이용해 지우면 됩니다. 혹은, "Tools" 메뉴의 "External Tools..."에,

Visual Studio - External Tools에 Shell 내장 명령어 등록
; https://www.sysnet.pe.kr/2/0/13244

다음과 같은 설정으로 등록해 두면 이후 편리하게 쓸 수 있을 것입니다. ^^

Command: %comspec%
Arguments: /C rmdir /s /q "%LOCALAPPDATA%\Temp\.vsdbgsrc"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20/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141정성태10/17/20227005.NET Framework: 2058. [in,out] 배열을 C#에서 C/C++로 넘기는 방법 - 세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3140정성태10/11/20226335C/C++: 159. C/C++ - 리눅스 환경에서 u16string 문자열을 출력하는 방법 [2]
13139정성태10/9/20226123.NET Framework: 2057. 리눅스 환경의 .NET Core 3/5+ 메모리 덤프로부터 모든 닷넷 모듈을 추출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138정성태10/8/20227455.NET Framework: 2056. C# - await 비동기 호출을 기대한 메서드가 동기로 호출되었을 때의 부작용 [1]
13137정성태10/8/20225796.NET Framework: 2055. 리눅스 환경의 .NET Core 3/5+ 메모리 덤프로부터 닷넷 모듈을 추출하는 방법
13136정성태10/7/20226363.NET Framework: 2054. .NET Core/5+ SDK 설치 없이 dotnet-dump 사용하는 방법
13135정성태10/5/20226627.NET Framework: 2053. 리눅스 환경의 .NET Core 3/5+ 메모리 덤프를 분석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3134정성태10/4/20225347오류 유형: 820. There is a problem with AMD Radeon RX 5600 XT device. For more information, search for 'graphics device driver error code 31'
13133정성태10/4/20225682Windows: 211. Windows - (commit이 아닌) reserved 메모리 사용량 확인 방법 [1]
13132정성태10/3/20225588스크립트: 42. 파이썬 - latexify-py 패키지 소개 - 함수를 mathjax 식으로 표현
13131정성태10/3/20228359.NET Framework: 2052. C# - Windows Forms의 데이터 바인딩 지원(DataBinding, DataSource) [2]파일 다운로드1
13130정성태9/28/20225292.NET Framework: 2051. .NET Core/5+ - 에러 로깅을 위한 Middleware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파일 다운로드1
13129정성태9/27/20225610.NET Framework: 2050. .NET Core를 IIS에서 호스팅하는 경우 .NET Framework CLR이 함께 로드되는 환경
13128정성태9/23/20228257C/C++: 158. Visual C++ - IDL 구문 중 "unsigned long"을 인식하지 못하는 #import파일 다운로드1
13127정성태9/22/20226724Windows: 210. WSL에 systemd 도입
13126정성태9/15/20227361.NET Framework: 2049. C# 11 - 정적 메서드에 대한 delegate 처리 시 cache 적용
13125정성태9/14/20227566.NET Framework: 2048. C# 11 - 구조체 필드의 자동 초기화(auto-default structs)
13124정성태9/13/20227338.NET Framework: 2047. Golang, Python, C#에서의 CRC32 사용
13123정성태9/8/20227758.NET Framework: 2046. C# 11 - 멤버(속성/필드)에 지정할 수 있는 required 예약어 추가
13122정성태8/26/20227658.NET Framework: 2045. C# 11 - 메서드 매개 변수에 대한 nameof 지원
13121정성태8/23/20225564C/C++: 157. Golang - 구조체의 slice 필드를 Reflection을 이용해 변경하는 방법
13120정성태8/19/20227120Windows: 209. Windows NT Service에서 UI를 다루는 방법 [3]
13119정성태8/18/20226681.NET Framework: 2044. .NET Core/5+ 프로젝트에서 참조 DLL이 보관된 공통 디렉터리를 지정하는 방법
13118정성태8/18/20225515.NET Framework: 2043. WPF Color의 기본 색 영역은 (sRGB가 아닌) scRGB [2]
13117정성태8/17/20227726.NET Framework: 2042. C# 11 - 파일 범위 내에서 유효한 타입 정의 (File-local types)파일 다운로드1
13116정성태8/4/20228173.NET Framework: 2041. C# - Socket.Close 시 Socket.Receive 메서드에서 예외가 발생하는 문제파일 다운로드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